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영필 Zho YP Jul 13. 2023

아이코노클라스트

그레고리 번스

감수자의 글


7/ 작곡가 바그너는 이렇게 말했다. "예술작품은 현재에 창조될 수 없다. 예술작품은 오직 혁명적 활동이라는 수단으로 파괴하고 분쇄할 가치가 있는 모든 것을 파괴하고 분쇄한 뒤에야 만들어낼 수 있다."



들어가는 글


10/ 암스트롱은 라디오와 텔레비젼을 탄생시킨 세 가지 기본 기술을 세상에 내놓는 데 누구보다 큰 역할을 했다. 라디오 신호를 증폭시키는 기술인 재생기술이라는 첫번째 발명에 더하여, 그는 고주파를 가청주파로 바꾸는 수퍼헤테로다인 수신장치, 즉 고감도 수신장치를 발명했다. 그후 그는 자신의 최고이자 최후의 업적이 된 FM라디오를 만들어냈다.


12/ 그런데 AT&T사의 한 유명한 수학자가 FM이 AM보다 나을 것이 없음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연구를 발표하면서 사실상 거의 모든 기술자가 그의 연구를 받아들였다. 암스트롱만 예외였다.


13/ '비동조성' '인격특성'과 같은 심리학적 개념이나 혁신에 대한 애매한 개념을 다루기보다는 암스트롱과 같은 상식파괴자들의 상식을 뛰어넘는 시각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리고 상식파괴적인 사고를 하는 데에는 어떤 생물학적 토대, 즉 어떤 두뇌가 필요한디, 평범한 사람들의 경우 그들의 생물학적 토대가 어떻게 창조적인 사고를 방해하는지를 깊이 있게 탐색할 것이다.


14/ 인간이 이드에 이끌려 행동한다는 프로이트식의 구식개념과는 달리 인간의 의사결정은 두뇌의 특정부분에서 뉴런들 간의 점화형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러한 발견들은 신경경제학이라는 분야를 탄생시켰다.


17/ ... 두뇌가 영원히 존재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이다... 여느 기계처럼 두뇌 역시 한정된 자원으로 제약을 받는다. 두뇌는 고정된 에너지 예산을 가지고 있다. 뭔가 복잡한 임무가 떨어졌다고 해서 에너지 회사에 에너지를 더 달라고 요구할 수는 없다. 그래서 두뇌는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자신의 일을 하기 위해 진화한다. 이것이 바로 대개의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는 부분이며, 상식파괴자가 되는 데 가장 큰 장애로 작용하는 부분이다.


18/ 우리가 지각하는 것은 단순히 우리의 눈이나 귀를 통해 뇌에 전달된 것의 산물이 아니다. 광자光子나 음파의 물리적 실재 이상으로 지각은 뇌의 산물이다. 지각은 상식파괴주의의 핵심에 있다. 상식파괴자들은 남들과 다르게 사물을 본다. 말 그대로이다. 그들의 두뇌는 보통 사람들처럼 효율성의 덫에 빠지지 않기 때문에 사물을 다르게 볼 수 있다.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상식파괴자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을 괴롭히는 지각의 지름길을 우회하는 법을 발견할 줄 안다...


19/... 상식파괴적이지 못한 사람들의 경우 '추측'은 다른 사람들의 말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은 전에 한 번도 접한 적이 없는 것들을 두뇌에 퍼붓는 것이다. 새로운 경험은 과거의 경험에 속박되어 있던 두뇌를 해방시켜 자유로운 지각 과정을 통해 새로이 판단하게 만든다... 적어도 성공한 상식파괴자들은 새로운 경험에 대해 호감을 가지고 지각한다...


하지만 새로운 경험은 두뇌의 공포 시스템을 가동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공포fear'는 상식파괴자처럼 사고하는 것을 방해하는 두 번째 장애물이다... 상식파괴적인 사고를 방해하는 두 가지는 불확실성에 대한 공포와 대중의 조롱에 대한 공포다...


20/ 새로운 지각을 얻고 공포를 극복한 사람이 성공적인 상식파괴자가 되기 위해 마지막으로 할 일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들에게 설득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바로 '사회 지능social intelligence'의 개념이 나온다. 하워드 암스트롱이 궁극적으로 실패한 지점이 바로 여기다. 그는 자신의 뛰어난 FM 라디오 기술을...


21/ 상식파괴자 혹은 우상파괴자들은 역사 곳곳에 존재해왔다. 우상파괴자라는 이름은 콘스탄티노플의 황제 레오 3세가 서기 725년에 궐문의 그리스도 황금성상을 파괴했을 때 사람들이 그에게 붙인 칭호였다...



1장 상식파괴자의 눈을 통해


46-47/ 자기공명영상촬영법인 MRI의 발명사에는 한 상식파괴자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MRI의 기반이 되는 기본적인 물리 원리는 사실 1940년대에 발견되었다. 원자가 자기장내에 놓이면 원자는 진동을 하기 시작한다. 이를 핵자기공명NMR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이 진동을 무선 안테나를 통해 잡아낼 수가 있다. 1970년대에 폴 로터버Paul Lauterbur가 혁신적인 생각을 해내기 전까지 모든 화학자들은 화학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 핵자기공명법을 이용했다...


사실 NMR은 정상세포와 암세포 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줄 수는 있었지만 정작 그 위치를 알려주지 못하는 것이 문제였다. NMR은 전통적으로 시험관 샘플 분석에 초점을 맞춘 화학분야에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상식에 묶인 채 언제고 조직 샘플을 NMR 분광기에 넣을 수 있는데 왜 그런 것이 문제가 되느냐고 생각하곤 했다.


그러나 로터버는 다르게 생각했고, 조직샘플에서 문제시되는 위치를 발견하는 데 NMR을 이용할 수 있다고 믿었다. 기술상의 가장 큰 문제점은 균일한 자장의 자석을 만드는 것이었다. 자장이 균일하지 않으면 화학 신호들이 '희미'해졌다. 대부분의 화학자들은 그것을 신호잡음으로 치부했다... 어느날 그는 빅보이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하다가... 냅킨 뒷면에 머릿속의 생각을 휘갈겨 적었다... 어쩌면 그 '희미한' 신호들은 그가 해석할 수 있는 어떤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지 몰랐다. "세상에! 그것으로 사진을 만들 수도 있겠구나!"


51-54/ 1970년대에 퐁Pong을 발명한 놀란 부쉬넬Nolan Bushnell은... 녹음기기 제조회사인 앰펙스Ampex사에서 일하며... 너팅 어소시에이츠Nutting Associates사로 옮겨... '컴퓨터 스페이스Computer Space'라 불리는 게임이 탄생하였다... 컴퓨터 스페이스는 그의 동료 공학자들에게는 호평을 받았지만 그 오락기가 자리하고 있는 곳, 즉 술집에서는 그리 환영받지 못했다...


그 게임기에 실패한 뒤 부쉬넬은... 테드 대브니와 함께 단돈 500달러를 가지고 회사를 차렸다... '아타리'라고 붙였다... 얼마후 부쉬넬은 알콘에게 시험 삼아 비디오 게임용 착구를 만들어보라는 간단한 과제를 내준다...


... 아타리사는 1974년에 업소용 게임기에 내장돼 있던 모든 회로를 포함한 주문형 칩을 가정용 오락기에 적절히 삽입할 수 있었다...



2장 지각에서 상상까지


69/ ... 처음에 나이팅게일은 그들의 죽음이 영양실조 때문이라고 믿었다...


봄이 되어 병영 내의 임시 하수구들을 대거 청소하자 사망률이 잠시 주춤했다. 이 사건은 병사들을 죽이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나이팅게일의 지각을 결정적으로 바꾸어주었다. 그녀는 사망의 원인 및 부상/영양상태/위생과 사망 간의 관계조사를 위해 체계적으로 정보를 수집해나갔다. 이때 그녀를 유명하게 한 것은, 그녀의 지각 변화에 결정적이었던 것은 그녀의 수학능력이었다. 개혁안을 담은 편지를 빅토리아 여왕에게 보내면서 그녀는 새로운 형태의 자료정리법, 대비용 도표, 원 도표와 비슷한 형태의 도표 등을 이용했다. 나이팅게일은 얼마나 많은 병사들이 형편없는 위생 상태 때문에 질병에 걸려 죽어가는지를 도표와 그림으로 입증했다...



3장 공포는 어떻게 행동을 억제하는가


111/ 미지에 대한 공포는 실패에 대한 공포와는 완전히 다른 공포증이지만, 이것 역시 편도체를 통해 처리된다. 공포를 일으켜 행동을 억제하는 조직이 오직 하나라는 것은 좋은 소식이기도 하다.



4장 공포는 어떻게 지각을 왜곡하는가


148-149/ 상식파괴자의 가장 극단적인 형태는 한 명으로 이루어진 소수다... 이럴 때 상식파괴자는 자기 자신을 고립시켜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마주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해결책은 파인만처럼 강한 철갑을 개발해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무시하고 살아가는 것이다...


다행히 극단적인 위험을 무릅쓰지 않고도, 군중에 휩쓸리는 성향이 있는 사람들에게 맞설 수 있는 차선책이 있다. 애쉬는 실험을 반복하면서, 집단이 만장일치로 뭉쳐야만 피실험자를 효과적으로 동조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반대자가 한 명만 있어도 군중 효과는 충분히 깨질 수 있었다. 이는 한 상식파괴자가 집단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략은 자신과 생각이 같은 사람을 한 명 더 끌어들이는 것임을 의미한다... 또 소수의 의견을 허용하는 집단이 만장일치를 강요하는 집단보다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가능성이 높다.



5장 실패에 대한 공포는 왜 우리를 회피적으로 만드는가


177/... 포드가 더블 실린더 엔진에 진지한 관심을 둔 것은 1890년에 이르러서였다.

당시 포드는 에디슨Edison사에서 일하고 있었는데... 초점은 전기에 맞추어져 있었다... 하지만 포드는 이 대세를 거슬렀고, 1899년에 일을 그만두고 자동차업계에 뛰어들면서 상식파괴자가 되었다...



6장 사회적 네트워킹을 위한 뇌 회로


188/... 네트워킹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1950년대의 또 다른 사회심리학자인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에게서 비롯된다...


208/ 한 놀라운 실험에서 에모리 대학교의 영장류 동물학자인 사라 브로스넌Sarah Brosnan과 프란스 드 발Frans de Waal은 흰목꼬리감기원숭이들조차 불공평함을 싫어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흥미롭게도 공평하지 않은 교환을 목격한 후에는 건너편 원숭이의 교환 참여율이 뚝 떨어졌다...


209-210/ '최후통첩ultimatum'이라 불리는 한 고전적인 경제학 게임은 공평함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보여준다... 금액이 얼마가 됐든 두 번째 참여자는 거의 항상 총 금액의 15퍼센트 이하의 제안은 거절할 것이다... 그런 불공평한 분배에 직면할 때 우리의 두뇌에서는 혐오감과 밀접히 연관된 부분인 전방부 뇌섬엽anterior insula이 보다 활성화된다. 이 두뇌영역이 활성화될수록 우리가 제안을 거절할 가능성은 더 높아질 것이다.


사람들이 상대방의 나쁜 행동을 벌주기 위해 기꺼이 공짜 돈을 버린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단 한 번의 기회가 주어지는 최후통첩 게임에서 참여자들은 서로를 모른다. 하지만 좁은 사회에서 비롯된 진화상의 유산 때문에 우리는 호혜주의, 말하자면 생물학적 황금률을 지키며 산다. 우리의 두뇌는 공정함에 민감하도록 짜여 있다...


212/ 그러다가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 사회구성원들이 어느 한 전략을 수용하여 다른 전략이 그것을 대체할 수 없는 전략)에 의해 협력과 속임수 간에 최종적인 균형이 잡힌다. 이는 어떤 사회에서나 협력과 속임수가 섞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13-214/ 런던 정경대의 경제학자인 베티나 로켄바흐Bettina Rockenbach는 사람들이 무엇에 따라 상대방을 신뢰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실험을 했다... 이 게임에서 각 참여자는 공동기금에 돈을 기부해야 했다... 그런데 이 게임에는 공짜로 한몫 낄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실험이 반복될 때마다 참여자들은 그 게임을 그대로 할 것인지, 아니면 무임승차자를 벌줄 방법을 덧붙일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참여자 대부분이 처벌의 가능성 없이 게임을 하길 택했다. 세상에 대한 일종의 이상향적인 시각을 가졌던 것이다. 하지만 몇 차례 반복한 뒤에는 70퍼센트가 넘는 참여자가 게임에 처벌을 허용하기로 했다... 더욱 면밀한 조사를 수행한 결과, 좀더 적극적으로 사회를 단결시키로 잘못한 사람들을 벌하고자 한 몇몇 사람들을 통해 결국에는 과거에 비협조적이었던 사람들조차 흡수될 만큼 협력적인 문화가 확립되었음을 발견했다... 이 실험은 또 다른 면에서 누가 '그림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가(어떤 사람들이 사회를 단결시키는가)를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입증한다. 상식파괴자라면 먼저 바로 그런 사람들이나 그들과 곧장 연결되는 사람들을 겨냥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216/ 상식파괴자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익숙함familiarity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지만, 또한 사회 지능의 두 번째 핵심요소인 평판reputation에도 주의를 기울여 늘 긍정적인 평판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7장 민간 우주여행 - 서로 협력하는 상식파괴자들의 사례연구


226/ 바야흐로 로켓공학에 다르게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했다. 다른 시각에서 로켓 설계에 접근하고 미항공우주국과는 다르게 로켓을 바라볼 수 있는 사람 말이다. 그 시점에서 등장한 이가 바로 버트 루탄Burt Rutan이다.


250/ 상식파괴자라면 새로운 지각, 공포의 해방, 시회 지능이라는 세 가지 원리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이 세 가지 원리를 모두 실천할 수 있는 상식파괴자가 없다 해도 한 가지만이라도 실천할 수 있는 사람들이 팀을 이룬다면 일을 성사시킬 수 있다...



8장 상식파괴자가 우상이 될 때


261-262/ 혁신을 경험적으로 연구한 최초의 과학자인 에버릿 로저스Everett Rogers에 따르면 혁신에는 다섯 가지 속성이 있다... 첫 번째는 그 혁신의 산물이 현존 제품이나 아이디어보다 이점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혁신은 아무리 참신하더라도 여전히 현존 가치체계 및 사회규범과 양립해야 한다. 셋째 혁신의 복잡성은 다른 사람들에게 수용되는 정도를 결정한다. 즉, 혁신의 내용이 복잡할수록 그것에 대한 수용 정도는 낮아진다. 넷째 혁신은 시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잠재적 이용자들이 별 무리없이 아이디어를 시험할 수 있다. 다섯째 혁신의 결과는 다른 이들에게 가시적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 혁신 결과물의 잠재적 이용자들이 그 결과물을 시험하지 않고도 혁신의 상대적 이점들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주로 결정하는 것은... 이점과 양립성이다...


... 에버릿 로저스가 1962년에 선봉적인 책 <혁신의 확산Diffusion of Innovation>을 쓸 당시 사회과학자들은 혁신자를 설명하는 데 다양한 용어를 이용하고 있었다...


264-265/ 퍼듀 대학교 재무학 교수인 프랭크 배스Frank Bass의 이론은 여기에 힘을 보탠다... 배스는 발한다. "혁신자들은 물건을 구매할 때 이미 그 물건을 구매한 다수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지 않지만, 모방자들은 이전 구매자들의 수에 영향을 받는다. 모방자들은 이미 구매한 사람들을 통해 학습을 한다."


267/ 소크Jonas Salk의 백신에서 배울 수 있는 핵심적인 교훈은 양립성의 힘이다... 상식파괴자들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사물을 보는 데 익숙해져 있지만, 대중은 자신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사물을 본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우상이 된 상식파괴자들은 자신에게 익숙하지 않더라도 상대에게는 익숙한 방식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전달할 수 있었던 사람들이다.


272-273/ 이들 두 연구는 도파민과 새로움 추구 성향 사이에 생물학적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상식파괴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대중에게 설득할 때 이 사람들을 가장 먼저 표적으로 삼아야 한다...


274/ 최초의 아이팟은 2001년 10월에 등장했다... 기술에 비해 싼 제품이 아니었다. 애플사는 싼 제품을 만든 적이 없다. 예산을 고려하는 사람들에게는 제품을 홍보하지도 않는다... "어떤 종류의 사람들이 최고로 근사한 장치에 웃돈을 지불할 것인가"...


... 잡스의 천재성은 절반은 그의 디자인 재능에서 나오지만, 나머지 절반은 궁극적으로 그와 대중들을 연결해줄 조기 수용자들과 연결되는 능력에서 나온다...



부록: 상식파괴자의 약전藥典




매거진의 이전글 과학기술과 전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