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호세 Sep 03. 2024

언어 감수성

1. 소통능력을 ‘자신의 생각이나 뜻을 상대방에게 잘 전달하는 능력은 물론 상대의 생각이나 뜻을 오해 없이 잘 파악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실 소통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은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다.



2. ‘신언서판’이라는 말이 있다.


신언서판은 훌륭한 인재가 갖추어야 할 네 가지 핵심능력을 간략하게 추린 말로,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선발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삼았던 기준이다.


1) ‘신’ 은 신체, 즉 풍채와 용모를 말한다. 외모의 수려함이 아니라 외적으로 풍기는 그 사람의 됨됨이를 말한다.


2)’언’은 언변이다. 발음이 똑똑하고 말에 조리가 있고 언변이 좋아야 한다는 뜻이다.


3)’서’는 글씨체를 말한다. 글씨체가 그 사람의 됨됨이를 보여준다는 말인데, 세상 최고의 악필인 나는 훌륭한 인재는 아닌 게 확실하다. 쿨럭


4) ‘판’은 판단력을 말한다.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논리나 기준을 가지고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3. 과거에는 소통 능력이 몇몇 인재에게만 요구되는 능력이었을지 몰라도 현재 우리가 사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소통능력은 민주 시민이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능력이다.



4. 이를 위해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목소리에 제대로 담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하고, 또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다른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줄 알아야 한다.


내가 옳은 만큼 상대도 옳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하고, 상대가 틀린 만큼 나도 틀릴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성숙한 민주사회가 성숙한 소통이 가능해야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유다.



5. 행복이란 주변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즐겁게 지내는 것인데 그 관계는 말로 시작되고 유지된다.


결국, 우리가 소통을 고민하는 이유는 바로 행복해지기 위해서였던 것이다. 우리의 행복지수가 소통능력에 비례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소통의 중심인 ‘말하기’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해야 한다.



6. 우리는 흔히 ‘그 사람과 코드가 맞는다, 안 맞는다’고 말한다. 코드가 안 맞는 사람과 이야기를 하면 이야기가 계속 빗나가고 엇나가는 느낌을 받는다. 반면에 코드가 잘 맞는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면 말을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코드를 맞춘다는 것은 언어의 주파수를 맞춘다는 뜻이다. 이런 맥락에서 소통이란 사람마다 다른 언어의 주파수를 맞춰가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7. 우리가 따뜻한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런 말을 많이 듣고 자라지 못해서였다. 그런데 듣지 못했다고 하지 않는다면, 다음 세대도 우리처럼 따뜻한 말을 듣지 못하고 자라게 될 것이다. 그 결과 우리처럼 따뜻한 말을 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러니 이제부터라도 우리는 말에 온기를 불어넣어 따뜻한 말의 새길을 내야 한다.


새길을 낸 후에는 그 길이 익숙한 길이 되도록 계속 다녀야 한다. 그래야 그 새길이 우리 다음 세대에게 익숙한 길로 이어질 수 있을 테니 말이다.



8. 뼈 맞는 이야기지만 발언권이 이전보다 많이 생긴 내 상황에서 리더들은 사람들이 자신의 말을 경청하는 이유가 자신의 권력 때문인지 자신의 말 때문인지를 분별할 줄 알아야 한다. 만약 이것을 분별하지 못하면 권력자는 자신의 말에 사람들이 보이는 거짓반응 때문에 자신이 말을 잘한다는 착각, 사람들이 자신의 말을 재밌어하고 듣고 싶어 한다는 착각에 빠지게 된다.



9. 말을 고칠 수 있는 나이에는 발언권이 없고, 발언권이 생긴 나이에는 말을 고치기가 어렵다. 그래서 지금부터라도 언어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해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소한 것들로 하는 사랑이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