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선후 Dec 23. 2020

"내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붙잡고 있는 것이 있다면?

왜 인문학 소양을 가져야 되는가?

"금년에는 선물이 20억 개나 됐어요.

크리스마스가 점점 힘에 부쳐요"        - 산타



"힘들면 은퇴해요.."   - 산타 아내




"은퇴해서.. 아버지랑 텔레비전으로 스티브나 구경하라고? 그럼 내 존재는?"    - 산타




"당신은 영원히 내 남편이에요. 그리고 아더의 아빠고.."       - 산타 아내




"난 아직 10년은 더 일할 수 있소."      - 산타


     

 < 영화 - 아더 크리스마스 중>




철학 공부를 하면서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을 처음으로 고등학교 때 배웠다. 그때부터 이런 생각을 하는 습관이 생긴 것 같다. "오늘의 나는 도대체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






그때는 공부를 왜 해야 되는지 명확한 이유도 없었고 하루하루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공부를 많이 안 해서 그런 것도 있고 아직 뭘 모르는 나이기도 했다.






 그러나 무의식적인 이런 질문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나의 삶의 농도를 더 짙게 만들었다. 불안함과 아무 생각 없던 내 삶에, 행복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조금은 알 것 같았고 물론 지금도 알아가고 있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에도 조금씩 답이 나오기도 했다. 






저런 질문들이 어디서 나오는지 가만히 생각해보니 철학과 인문학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 같다. 인터넷에 강사들의 강의를 보고 책을 읽으면서 내 삶에 대해 점점 가까이 가고 있었다.






나는 더 나은 삶을 살기를 원하고 있었고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었고 남들과는 다르게 혼자 있는 시간을 잘 즐겼다.






 인문학과 철학책을 읽으면서 내가 던졌던 질문들과 얻게 된 습관들이 나뿐만 아니라 삶을 좀 더 지혜롭고 현명하게 살기 위한 조건들과 많이 일치했다. 






나의 직업도 중요하고 나의 취미생활도 나에겐 큰 행복이다. 하지만 "내가 정확히 어떤 사람인가?"라는 질문에는 아직 확답을 못하고 있지만 정말 많은 답을 알려준 것이 철학, 인문학 서적이다.







갈피 못 잡고 이리저리 흔들리던 나를 붙잡아주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아직도 가르쳐주고 있는 철학과 인문학 책.







과연 저 책을 빼놓고서는 삶의 진정한 행복을 맛볼 수 있을까가 의문이다. 나는 책을 읽을 때 내 존재를 좀 더 사랑할 수 있을 것 같고 나에겐 정말 삶의 필수적인 밥 같은 존재다.







 책은 누구에게나 삶의 정답을 가르쳐주고 있고 가장 감명 깊게 얻은 것은, 삶에선 정답이 없고 자기 자신만의 선택만이 정답이라는 지혜를 얻었다.









작가의 이전글 나에게 '착함'과 '나쁨'은 어떤 의미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