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95> 宮中詞(궁중사) 2

금삿갓의 漢詩工夫(240715)

by 금운사 Aug 22. 2024

宮中詞(궁중사) 2

 - 王建(왕건)

金吾除夜進儺名

금오제야진난명

○○○●●○◎

금오위가 섣달 그믐날 귀신 쫓는 의식을 거행하니


畵袴朱衣四隊行

화고주의사대행

●●○○●●◎

환칠 바지에 붉은 저고리로 넉 줄로 행진하네.


院院曉燈如白日

원원효등여백일

●●●○○●●

원마다 새벽 등불 대낮처럼 밝은데


沉香火裏坐吹笙

침향화리좌취생

○○●●●○◎

침향 불빛 속에 앉아서 생황을 부네.

* 金吾(금오) : 한(漢) 나라의 무관 이름. ‘집금오(執金吾)’의 약칭으로 밤의 통행금지를 맡아보았음. 임금의 명령을 받들고 국문 등을 관장하는 의금부의 별칭.

* 儺名(나명) : 역귀(疫鬼)를 쫓는 의식. 서경잡기(西京雜記)에는 “집금오가 섣달 그믐밤에 역귀를 쫓는 의식을 펼쳤는데, 그림그린 바지에다 붉은 옷 입고 4줄로 줄지어 행진했다고 기록되어 있음.

* 畵袴朱衣(화고주의) : 화고는 적포(赤布)로 지은 하의를, 주의는 붉은색 상의를 말한다. 특히 수(隋) 나라 궁중의 제도에 의하면, 매년 섣달 그믐날마다 악인(樂人) 240인을 방상씨(方相氏)로 분장하여 붉은 두건(頭巾), 붉은 구의(韝衣), 적포고(赤布袴)를 착용하고 금중에서 역귀를 내쫓게 했다고 한다.

* 沉香(침향) : 침향목. 아열대성 향나무.

* 笙(생) : 생황(笙篁). 아악에 쓰이는 관악기.

此(차)는 驅疫鬼者也(구역귀자야)라. 古有進儺之例故(고유진나지례고)로 隋行此例(수행차례)하야. 十二月晦日夕(12월회일석)에 金吾官員(금오관원)이 率儺而進(솔나이진)할 새, 服色(복색)은 穿畵袴(천화고)하며 衣朱衣(의주의)하고 四隊成行(4대성행)하야. 面目之廣瞠(면목지광당)과 形容之凶獰(형용지흉녕)이 使人有畏厭之心則瘟疫鬼(사인유외염지심즉온역귀)를 可以驅逐(가이구축)이라하야. 有此雜戲耳(유차잡희이)라. 緣渠十六宮院(연거16궁원)에 曉天燈燭(효천등촉)이 光明(광명)이 如白晝而焚沈香(여백주이분침향)하야. 靑烟繞繚之中(청연요료지중)에 梨園樂工(이원악공)의 吹笙之聲(취생지성)이 不絶耳(부절이)라. 上二句(상이구)는 言儺隊行列也(언나대행렬야)요. 下二句(하이구)는 言宮院(언궁원)이 明燭達夜而吹笙於沈香火中也(명촉달야이취생어침향화중야)라.

이 시는 역귀를 쫒는 것이다. 옛적엔 나례를 올리는 예가 있었기 때문에 수나라에서 이 예를 행하여, 12월 그믐밤에 금오위 관원이 나례를 이끌어 진행할 적에, 복색은 채색바지와 붉은 웃옷을 입고, 네 줄로 대열을 이루어 얼굴을 넓게 눈을 휘둥그레하게 분장하여 그 형용이 흉하고 모질게 생겨서 사람들로 하여금 두렵고 싫은 마음이 들도록 만들면 병을 담당한 귀신을 쫓아낼 수 있다고 하여 이와 같은 잡된 놀이를 할 뿐이었다. 16개의 궁원을 둘러 새벽하늘에 불을 밝혀 마치 대낮 같았고, 침향을 태워 푸른 연기가 감싸는 중에 이원(梨園)의 악공들의 생황 부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위의 두 구절은 나례 대원의 행렬을 말했고, 아래 두 구절은 궁원이 밤새도록 불을 밝히고 침향을 태우는 중에 생황을 분다는 말을 하였다

* 王建(왕건) : 당나라 영천(穎川) 사람. 자는 중초(仲初)다. 집안이 영락하여 어린 나이에 위주(魏州)에서 살았다. 헌종(憲宗) 원화(元和) 때 처음으로 벼슬하여 소응현승(昭應縣丞)이 되었다. 태부시승(太府寺丞)과 태상시승(太常寺丞), 비서승(秘書丞)을 역임했다. 代宗(대종) 大曆年間(대력연간, 766~779)에 渭南尉(위남위), 문종(文宗) 대화(大和) 연간에 섬주사마(陜州司馬)로 나가 왕사마(王司馬)로도 불린다. 만년에 벼슬을 버리고 함양(咸陽)에 은거했다. 일생을 한직(閑職)에서 불우하게 지냈다. 악부시(樂府詩)에 능해 장적(張籍)과 이름을 나란히 해서 ‘장왕악부(張王樂府)’라 불렸다. 하층 민중들의 생활상을 시로 노래했다. 특히 궁사(宮詞) 100 수가 있어 인구에 널리 회자되었다. 문집에 『왕사마집(王司馬集)』이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94> 宮中詞(궁중사) 1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