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프레즌트 Sep 19. 2022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부러우면 지는 걸까?

최근에 오랜만에 통화가 된 지인 두 명의 이야기를 들으며 분명히 잘 된 일인데 집에 돌아왔을 때, 통화를 끊었을 때 왠지 모를 답답함과 기운 빠지는 감정에 휩싸였다. 그들이 잘 된 것이 내가 잘 안 된 것도 아니고 사실 지인이 잘 되는 것이 결국 나에게도 좋은 것일 텐데... 이 비교의식, 열등감, 질투 -> 삼총사는 항상 같이 붙어 다니며 사람을 치사하고 추악하게 한다.


예전에는 그런 감정을 누르고 싶었다. 그런 감정을 느끼는 것조차 싫었다. 선한 사람이 되고 싶은 소망이었겠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그 감정들을 들여다보게 된다. 


내가 왜 그런 감정에 휩싸일까?


그때마다 내가 하는 것은 감정을 일단 그랬구나 수용하고

그런 감정이 든 이유를 생각해본다.

그리고 그런 감정에서 벗어날 현실적인 건강한 방법을 찾아본다.


감정을 누르면 다른 쪽으로 쏠리고 더 오래 지속되어 자신을 옭아맨다.


감정은 누르거나 없애는 게 아니라 잠깐 인사하며 강물처럼... 흘려보내는 것이다.


자신의 감정을 건강히 처리하지 않으면 자기 자신에게 가장 해롭다.


질투심, 열등감, 비교의식에 1~2시간 정도 휩싸이면서 (오래 빠지지 않기 위해) 글을 적었었다.


1. 지인의 부모님들이 경제적으로 풍족하게 되신 상황을 보면서 우리 부모님의 노후에 대한 걱정과 염려가 밀려왔다.

(나와 연결시켜버림으로 현실을 좀 더 어두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정작 우리 부모님은 노후 준비가 되지 있지 않고

사실 자녀인 나와 동생은 그에 대한 부담감이 어느 정도 깔려있다.

(수면 위로 그것을 순식간에 끌어올리면서 다운되는 감정이 나왔다.)


2. 내가 이루어놓은 것이 없다는 생각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내가 하고자 하는 일.. 그 일은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일이 아니고 난 의미와 가치가... 그것(돈)보다는 다른 것(보람, 기쁨)에 있었다.


각자의 삶의 방향이 다르고 추구하는 목표점은 하나의 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다. 

돈을 잘 벌고 싶었다면 처음부터 다른 시도를 해야 했다.

일을 시작하게 된 동기로 다시 돌아가 보기.


"내가 지금일을 왜 하고 싶었지?"


3. 지금 현재에 불만족하는 부분에서 틈이 생기면 아무래도 남의 삶에 대해 더 관심이 생긴다.

(남을 삶을 들여다보기 시작하면

비교에 순식간 발을 담그게 된다.)


내 삶에서 열정이 줄게 된 이유를 찾아보았다.

최근 들어 에너지가 없어진 이유?

스트레스가 있었는지?

적절한 쉼이 있었는지...?

(나를 돌보는 시간)


4. 행동보다는 생각이 너무 많다.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쇄적으로 몰아가는 것을

끊어내기) 감정은 달래주면 진정되지만

생각은 따라잡기도 힘들 만큼 추격도 어렵다.

잠시 스탑 타임 하기.


stop! 아침에 괜찮았는데 타인의 몇 가지 말로

내가 이렇게 휘둘리는 건 말 안 된다.


한쪽이 잘 풀려도 또 다른 부분에서는 어려움이 있는 게 삶이다.

삶이 그렇게 만만한 것도 아니고 그들의 성공이라는

일면만을 보고 그들의 삶이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이 행복한 것이 나를 불행하게 하는 게 아니다. 

(이성적으로 생각해도 말도 안 되는 연결이다.

전혀 관련성 없는 비교라 엉터리 연결이다.)


사람마다 고유한 존재이고 서로 다르기에 가치가 있는 것이다.

나 답게 살고 있다면... 잘 가고 있는 거다.



누군가의 행운과 성공에...

가식적으로 무한 박수를 쳐주지도 못하겠지만

별개로 생각하고 가던 길을 가는 사람이 되고 싶다.

#비교의식 #질투 #열등감 #자존감


누군가가 부러워도 된다. 다만 흔들리지 않을 정도로만 부러워하자!

매거진의 이전글 당신은 카톡 친구가  몇 명쯤 있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