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망아빠 May 10. 2019

몹쓸 v의 저주를 넘는 한 가지 Tip.

사진을 담으며. '예쁘게' 를 넘는 '자연'스러움

'아이 사진이 참 예뻐요.'

'소망인 참 잘 웃어요. 어쩜 그리 표정이 자연스러워요?'


으레 던지는 형식적 인사치레에도

바보 아빠자, 사진에 취미를 둔 나로선 미소를 감출 길이 없다.


그러던 중 하나의 걱정거리가 생겼다.

'바로 몹쓸 v의 습관!'

<다카페 일기>의 모리 유지도 무릎을 꿇었고,

<윤미네 집>이 전몽각 선생도 포기할까 생각했던 질풍노도의 사춘기가

아닌 다음에야 아빠 진사들의 가장 큰 적이 아닐까?

보통 카메라를 보게 하거나, 웃게 하기 위해 요구하는데,,

문제는 안 예쁘다는 것이다. 


여기서 몹쓸 V의 저주를 뛰어넘는 한 가지 팁을 공개한다. 

'예쁘게~'를 주문하며 한컷에 다 담으려 말고, 

자연스레 계속 말을 걸어주는 것이다. 

'하나, 둘, 셋 찰칵!'이 아닌, 말을 거는 그 시간 동안 계속 사진을 담는 것이다. 

(누군가는 프로정신, 사진을 모른다 얘기할지 모르지만, 맞다. 난 사진을 모른다. 

대신 디카의 장점은 잘 알고 있다.)


윈스터 처칠, 카잘스의 사진은 유섭 카쉬가 제일이지만,
메카트니의 사진은 단연, 린다 메카트니일 것이다.

출처 : 대림미술관 (http://www.daelimmuseum.org/att/mobileapp/1415237673895_51294.htm)

피사체를 바라보는 시선, 피사체가 카메라를 보는 눈빛.

즉 함께한 시간과 교감이 다르니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 일 것이다.


피사체를 보는 시선과 거장의 영감을 따라갈 순 없지만,

거장도 범접할 수 없는 아이와의 거리, 교감이 있다.

배병우 작가가 처음 소나무를 접하고 한 해에만 10만 km를 답사했고,  

알함브라 궁전에 2년 머물렀다 하지만, 우리 아이와의 시간을 보낸 것은 아니다.

아이와의 교감은 거장도 따라가기 어려운 것이다.  



<어린이집, 몹쓸 V의 예시> 그럴 리도 없겠지만, 배병우 작가, 아니 산타클로스가 온다 해도 아마(아니 분명!) 소망이는 울어버릴 것이다.

이처럼 아이 사진은 아빠, 엄마에게만 허락되는 영역이 있다.

이 것은 꼭 비행기를 타거나, 부담스러운 곳에서 비용을 지불해야 얻을 수 있는 건 아다.


오히려 소중함은 일상에 있다. 

앞서 언급한 모리 유지는 대인공포증으로, 집에서, 가족사진만을 찍었지만,

많은 사람에게 감동을 줬다. 

서른이 넘은 내 삶에 좋은 추억들을 꺼내어봐도, 떠오르는 특별한 순간은 비용과 거리에 비례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어느 한 장면으로 단정할 수 없는 마치 공기의 온도와 같은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예쁘게~'를 요구할 때, '예쁘게'는 갇혀버린다. 

그리고 대부분 '안 예쁘게' 된다.
 경험상, 적어도 아이(우리 소망이)의 사진은,
'연출'의 'Frame'보다는 '자연스러움'의 '날 것'이 더 좋다.


아이의 사진을 가장 잘 찍어줄 수 있는 것은 단연 아빠이다.

부디 아빠를 바라보는 시선에서, '자연스러운 이쁨'이 묻어나길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야채와 서먹한 너에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