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디미 Readyme Jan 07. 2022

[채용공고 톺아보기] #3 MD와 AMD의 차이점


레디미의 채용공고 분석 콘텐츠

#3 'Mㅝ든지 Dㅏ해요', MD와 AMD



직무 설명을 봐도 도통 무슨 말인지 모르겠을 때,

어떤 스펙을 준비해야 할 지 막막할때,

자소서에 어떤 장점을 부각해야 할 지 고민될 때.


그럴 땐 레디미를 찾아주세요!


매주 금요일 연재되는 채용공고 분석 콘텐츠 <채용공고 톺아보기>

오늘은 MD와 AMD에 관해 알아봐요!




MD는 어떤 직무인가요?



- MD는 Merchandiser라는 뜻으로 기업의 마케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정 상품과 서비스를 가장 효과적인 장소, 시기, 가격, 수량으로 시장에 제공하는 일에 관한 계획과 관리를 하는 사람을 뜻해요.


- 쉽게 말하자면 회사의 제품을 온 오프라인 마켓에 입점시켜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직무로 '어떻게 하면 잘 팔릴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직무예요.


- 단순히 상품 기획 뿐만 아니라 제품 소싱, 판매 프로세스 파악, 판매, 마케팅 등 정말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뭐든지 다한다는 말의 약자라고 불리기도 해요.




MD와 AMD는 뭐가 다른가요?


● AMD는 어떤 직무인가요?


- AMD는 assistant mdMD를 보조하는 역할이에요.


- 주로 새로운 상품을 등록하고 검수하는 일을 하고, 그 외에는 특가 및 기획전 세팅 및 영업, 상품 컨디션 수정, 업체 커뮤니케이션, 경쟁사 모니터링 및 시장조사 등의 업무를 맡아요.


- MD, 업체, CS팀 외 여러 관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꼼꼼함이 가장 중요하고, 꼼꼼하게 스케줄을 관리하고 업무를 처리하는 일이 중요해요.


- 채용 공고를 잠깐 분석해보자면 다음과 같아요!




● MD와 AMD의 차이


- 쉽게 말하자면 AMD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MD의 보조 역할로 MD보다 업무의 폭이 더 넓어요. AMD는 영업 지원이랑 겹치는 업무도 많아요!


- MD가 업체와 컨택해서 상품을 소싱하는 역할에 좀 더 집중한다면, AMD는 그 상품을 온라인 몰에 등록하고 검수하는 업무에 좀 더 집중해요.


- 기업마다 다르지만 규모가 작은 기업은 AMD를 별도로 두지 않고 MD만 두는 경우도 있고, 또한 기업에 CS팀이 따로 없다면 MD나 AMD가 그 역할을 함께 하기도 해요. AMD 업무 숙련도, 근무 평가를 통해 MD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구요.



● MD와 AMD의 공고 비교


아래 두 사진 모두 왼쪽은 MD, 오른쪽은 AMD 공고인데요.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르죠?





MD는 상품 소싱 및 경쟁사 분석, 전략 수립 업무가 주라면, AMD는 쇼핑몰 운영 및 관리, 상품 검수 위주로 업무를 담당하게 되어요.

MD가 큰 방향성을 잡으면, AMD는 이후 보조 업무를 담당하는 느낌이죠.






MD의 주요 업무는 무엇인가요?



MD의 세부 업무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아요.



● 상품 기획

- PB 상품 기획 및 제작 참여



● 상품 관리

- 상품 재고 관리

  • 재고 수급 일정 확인

  • 품절 상품 오더 진행


- 상품 입고 관리

- 상품 구매, 등록 및 발주 관리

  • 상품 등록, 수정, 정보 운영 및 관리


- 상품 소싱, 입점 영업, 판촉

  • 입점 제안

  • 입점 서류 관리


- 상품 판매 기획

  • 구성, 가격, 프로모션, 이벤트 기획


- 상품 모니터링, 경쟁사 분석

- 종합몰, 오픈마켓 등 제휴몰 상품 등록 및 상품 연동, 수정 관리

- 상품 등록 및 관리 최적화 프로세스 구축

- 상품 원가 관리 및 세일즈 예측

- 상품 런칭 이후 마케팅 및 유지관리


- 상품 컨텐츠 기획

  • 상품 상세페이지 기획

  • 상품 패키지 기획

  • 상품 소개서 기획



● 매장 관리




● 어드민을 통한 데이터 관리 및 분석

* 어드민이란? → 쇼핑몰 관리자 또는 쇼핑몰 관리자가 사용하는 전산 시스템, 또는 그 전산 시스템에 로그인 하는 계정을 가르키는 단어로, 쇼핑몰에서 물건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을 말해요.


- 회원, 매출 데이터 분석

- 상품 판매 데이터 분석

- 데이터에 따른 채널별 운영 전략 수립

- 데이터에 따른 채널별 가이드 제작



● 제품 및 트렌드 리서치


- 신규 브랜드 및 상품 리서치, 바잉

- 시장 조사 및 타깃 시장 분석

- 판매 전략 수립

- 경쟁사 분석

- 데이터 분석 디벨롭

- 고객동향 자료 수집

- 소비 트렌드 분석

- 상품의 시장성 분석

- 새 상품 및 파트너사 발굴




● 브랜드 자사몰, 오픈 마켓 운영 관리


- 사이트 정책 운영 및 관리

- 스마트 스토어 운영 관리

- 상품 등록 및 관리

- 광고 키워드 설정 및 효율성 체크

- 자사몰 기획전 및 프로모션 기획, 운영

- 브랜드 운영 및 판촉 총괄

- 오픈 마켓 내 광고 기획

- 외부 채널 관리

  • 상품등록, 수정관리, 3PL 물류 관리, 주문 수집 및 송장 도입, 발송 처리, 발송현황 및 추적관리, CS


- 이커머스 유통 관리

- 각종 노출 구좌 관리 (상품, 배너 外)



● 프로모션, 이벤트 기획 및 관리


- 프로모션 기획

  •월별 프로모션 제품 선정

  •이벤트 실행

  •이벤트 홍보


- 기획전 운영 및 노출 관리

- 체험단 마케팅 진행

- 캠페인, 광고 집행

- 외부에 제품 시딩

- 판매 채널별 프로모션 전략 수립 및 실행

- 바이럴 마케팅 기획

- 성과 분석



● 입점 채널 관리


- 기입점 채널 관리

- 신규 입점 채널 확보 및 관리




● CS


- 상품 판매 CS

- 상품 운영 CS

- 고객 문의 사항 대응

- VOC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

- CX 전략 수립 및 실행



● 협력사 관리


- 제조 업체 관리

  • 국내외 제조사(OEM/ODM) 소싱 및 발주, 상품 출시 핸들링


- 제조 업체 서치

- 협력사 매출 관리

- B2B 영업 관리

- 소셜 커머스, 종합몰, 오픈마켓 등 협력 마켓 관리 및 조율

- 신규 협력 마켓 발굴

- 파트너사 발굴 및 관리

- 파트너사 정산 업무

- 위탁 브랜드 관리



● 고객사 커뮤니케이션

- 고객사 성과 관리




● 매출 및 이익률 관리


- 온라인 판매 전략, 매출 관리

- 담당 채널 매출 기획 및 관리

- 채널별 판매 분석 및 실적 관리

- 수익 관리

- 실적 및 수익성 관리

- 정산 업무

- 목표 매출 수립 및 관리



● 사업 계획 수립


- 상품 판매 및 매출 분석

- 매출 목표, 손익 관리

- 매출, 이익 계획 및 관리

- 시즌별 예산 수립

- 리테일 운영 캘린더 수립

- 카테고리별, 시즌별 상품 가격 전략 수립






나는 MD와 잘 맞는 사람일까?




#트렌드리더 #멀티플레이어


[ 기획력, 전문성, 소통력, 대인관계 능력, 리더십, 마케팅 지식, 분석 능력, 고객 니즈 파악력, 창의력, 외국어 실력, 협상력 ]



MD가 되기 위해서는 트렌드를 정확히 읽어낼 수 있는 분석력, 담당 품목에 대한 관심과 이해력, 협상 및 설득력, 어학 능력이 필요한데요.


국내 MD라 하더라도 해외 바잉 및 외국계 지원시 이점이 있기 때문에 토익, 토익 스피킹, 오픽 등의 점수를 올려 놓는 것이 좋아요.


또한 무엇보다도 MD는 '매출로 모든 것을 말하는' 직무라고 말할 정도로 숫자에 민감해야 하는 직무예요.

매출에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숫자에 대한 감각이 있는지, 숫자에 능한지 여부가 중요해요.


더불어 MD라는 직무는 답이 정해져 있는 직무라기보다는 무언가를 기획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직무에 더 가까워요.


그렇기 때문에 주어진 매뉴얼에 따라 익숙한 업무만 처리하는 사람 보다는, 문제를 찾아내고, 정의하여, 해결 방법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적합해요.






MD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레디미는 '신입' 채용공고에 포함된 자격 요건과 우대 사항을 분석하여 이러한 역량을 파악했습니다.


먼저 자격요건 사항을 정리했어요.


문제 해결 능력

- 문제 인식 및 해결 능력

- 목표 달성 의지

- 목표 지향적 사고

- 적극적인 문제 해결력

- 실행을 통해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

- 끊임없는 문제 도출 능력

- 기존 제품 분석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로 해결책을 제시하는 능력



제품에 대한 이해

- 제품 기획력

- 기획한 것 비주얼화 할 수 있는 능력

- 팔리는 콘텐츠를 만드는 능력

- 제품의 차별화된 포인트로 시장진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

- 제품군에 대한 인사이트 도출 능력



온라인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

- SNS에 대한 이해

- 온라인 커머스에 대한 이해

- 이커머스 시장 및 판매채널에 대한 이해

- 쇼핑 라이브에 대한 이해

- 유통업/제조업 브랜드 관리 및 상품소싱에 대한 관심

- 디지털 마케팅에 대한 관심



데이터 기반 사고 능력

- 논리적 사고 능력

- 데이터 기반 시장 분석력

- 데이터 기반 잠재 수요 파악 능력

- Marketing Funnel 관리 능력

- 데이터 분석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 유연한 커뮤니케이션

-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 능력

- 상황 대처 능력

- 유효한 의견과 피드백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 적극적이며 논리적인 커뮤니케이션

- 협상력

- 고객사, 브랜드사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관련 업무 경험

- 자사몰, 제휴몰 운영 경험자

- 자사몰, 제휴몰 프로모션 경험자

- 오픈 마켓, 소셜 커머스, 종합몰 운영 경험자

- 홈쇼핑 기획 및 운영 경험

- 쇼핑몰 발주 경험

- 제휴마켓 판촉 경험

- 브랜드 채널 운영 경험

- 커머스 플랫폼 등 B2C 서비스에서 마케팅, MD 경험

- MD 소싱 업무 경험

- 상품 기획-생산-출시 프로세스 수행 경험

- 전자상거래 서비스 경험



쇼핑몰 SCM 능숙자



컴퓨터 활용 능력

- 사방넷, 카페24 활용

- 프레젠테이션 능력

- 엑셀 고급 능력

- 데이터 운영을 위한 스프레드시트 및 엑셀 활용



트렌드 서치 능력

- 소비 트렌드에 대한 관심



성격


- 책임감

- 도전정신

- 밝고 긍정적인 태도

- 적극성

- 팀워크 중시

- 꼼꼼함

- 성실

- 상대를 배려하는 뛰어난 공감 능력

- 자율성



자기 주도적 업무 수행 능력

- 능동적인 업무 태도

- 주도적인 기획 능력

-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

- 빠른 업무 습득력

- 업계 트렌드와 새로운 지식을 빠르게 학습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고객 관점 사고

- 집요한 고객 관점으로 고객의 소비 심리를 도출할 수 있는 능력

- VOC에 대한 이해도와 분석력




다음은 우대사항을 정리했어요



커뮤니케이션 능력

- 협업 및 의사소통 능력

- 조직 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역량

- 다른 직군 간 커뮤니케이션/워크플로우에 대한 고민과 노력하는 성향

- 개발자, 디자이너와 같은 프로덕션 파트의 팀원들과 협업 경험

- 적극적이며 논리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



관련 업무 경험

- 온라인 커머스 업계 경험

- 제품 기획 경력

- 스마트 스토어, 자사몰 운영 경험

- 창업 및 사업체 운영 경험

- 제품 기획 및 제작 참여 경험

- 온라인 쇼핑몰 AMD 경력

- 쇼핑몰 주문관리 경험

- 웹 사이트 관리, 머천다이징, 디지털 마케팅 및 고객 경험 향상에 대한 경험

- B2B 고객 영업/성과 관리 경력

- 라이브 커머스 경험

- 쇼핑몰 SCM 활용 경험

- 업체별 정산 (월, 수시) 경험

- 고객 서비스 분야 경험

- 리테일사, 편집샵 경험

- 국내/외 제휴/입점/판매/유통 및 세일즈 마케팅 경험

- 플랫폼 제품 소싱 업무 경력

- 제품 소싱, 매장 관리 경험

- 직매입 및 직접 재고관리 경험

- 온라인 몰/ 앱 상품관리 어드민 경험



데이터 기반 사고 능력

- 논리적 사고

- 데이터 분석툴 활용 역량

- 개인의 경험보다 검증과 숫자로 의사 결정, 판단할 수 있는 능력

- 고객 기반 데이터 분석

- 상품 및 카테고리별 KPI 설정과 ROI 측정 능력



트렌드 서치 능력

- 트렌드에 민감한 사람

- MZ세대 고객의 취향에 대한 이해도

- SNS 활용 능력

- 시장 트렌드 분석력



컴퓨터 활용 능력

- 포토샵, 프리미어, 일러스트 활용 능력

- 엑셀 등 MS Office 활용 능력



문서 작성 능력

- 기획서 작성 능력

- 판매 상품 카피라이팅 등 콘텐츠 마케팅 역량



업무에 대한 이해

- 쇼핑몰 내부 광고 및 행사구좌 관련 높은 이해도

- 매입/발주에 대한 이해



주도적인 업무 수행 능력

- 업무 진행 및 이슈해결에 대한 적극성과 책임감

- 본인만의 브랜드를 기획하고 런칭할 계획이나 의지



네트워크 보유

- 국내외 제조사(OEM/ODM) 네트워크 보유

- 국내외 유통사 네트워크 보유

- 브랜드사 네트워크 보유



고객 관점 사고

- 고객을 돕는 것에 희열을 느끼는 태도






MD의 신입, 경력 채용 비중은 어떤가요?



MD 역시도 신입보다는 1년차 이상의 경력직의 채용 비중이 높았어요.

자세하게 설명드리자면,


신입 58건

1년차 86건

2년차 148건

3년차 216건

4년차 216건

5년차 243건

6년차 189건

7년차 171건

8년차 145건

9년차 117건

10년차 111건으로


가장 많은 채용은 5년차 이상의 경력직 채용이었으며, 이후에는 3년차와 4년차, 6년차 순이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직무들은 3년차 이상의 경력직 채용이 가장 많았다면

MD는 5년차 이상의 경력직 채용이 3년차 이상보다 더 많았다는 점,

그리고 신입 MD채용이 2년차 이상 경력직 채용의 절반 이하라는 점이 신선하네요.






MD의 연봉은 어떤가요?



원티드에서 제공하는 자료에 따르면 신입 MD의 예상 연봉은 약 2,798만원이에요.


해당 데이터는 채용 정보에 포함된 직무별 요구 경력과 연봉을 바탕으로 추정한 예상 연봉 데이터라고 합니다.


연차가 쌓일수록 연봉은 올라가게 되는데,

1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3,054만원

2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3,083만원

3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3,375만원

4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3,521만원

5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3,866만원

6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4,264만원

7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4,423만원

8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4,728만원

9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5,019만원

10년차 MD의 예상 연봉은 5,292만원이라고 해요.






MD 직무 희망자가 쌓을 수 있는 특별한 스펙은?



1. 스마트 스토어

스마트 스토어는 직접 상품을 기획, 구매(또는 제작), 홍보, 판매할 수 있는 경험이에요. 또한 CS 업무도 경험할 수 있죠. 네이버 스토어팜 등을 활용한다면 어렵지 않게 스토어를 오픈할 수 있어요.


직접 상품을 제작하지 않더라도 도매 사이트에서 구매한 상품을 스마트 스토어에 판매하는 방법도 있답니다.

또한 직접 상품을 만들고자 한다면 액세서리, 파워포인트 템플릿, 노션 템플릿, 이력서 템플릿 등을 제작해 판매하는 것을 추천해요.



2. 크라우드 펀딩



최근에는 스펙을 쌓기 위해 텀블벅이나 와디즈와 같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통해 제품, 콘텐츠를 판매하는 이들도 있다고 해요.


크라우드 펀딩 역시 직접 상품을 기획, 제작, 홍보, 판매할 수 있는 경험으로 무언가를 판매하게 되면 수치적 성과가 드러나기 때문에 면접이나 자기소개서에서 어필하기 좋아요.



☞ 이러한 두 활동을 할 경우에는 상품을 기획하게 된 이유, 상품을 기획, 판매, 홍보하며 겪었던 어려움, 내가 세웠던 판매 전략과 그 근거, 판매를 통해 얻게 된 것(정신적, 내적인 성장, 느낀 점)등을 꼭 기록하도록 해요.






MD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1. 기업체 등의 MD 교육 과정을 수료해요.



MD의 경우에는 직무에 대한 이해, 업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해요.


MD 교육 과정을 수료하며, 혹은 MD와 관련된 직무 부트 캠프를 통해, 또는 개인적인 공부를 통해 MD는 정확히 무슨 일을 하는지, AMD와는 무엇이 다른지를 파악해야 해요.


또한 구매, 생산, 기획, 온라인, 영업, 유통 MD 중 내가 관심 있는 직무를 선택해

그 분야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좋아요.



2. 담당하고자 하는 제품군에 관심을 갖고 공부해요.




또한 MD의 경우에는 식품 MD, 패션 MD, 뷰티 MD 등 제품군에 따라 분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나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담당하고자 하는 제품군에 더 특별히 관심을 갖고 공부하는 것이 중요해요.



3. 오픈 마켓에서 판매자를 등록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통해 직접 물건을 판매하면서 프로세스를 파악해요.



MD의 경우에는 직접 물건을 판매하는 경험이 어떤 직무보다도 중요한데요.


스마트 스토어를 직접 운영해보거나, 판매 아르바이트를 한다면

좋은 자기소개서 소재, 면접 소재를 만들 수 있을 거예요.


또한 판매 프로세스를 익히는 데에도 도움이 되구요.



4. 다양한 전시회, 박람회, 세미나에 적극적으로 참석하고 사진, 동영상과 같은 근거 자료를 준비해요.



MD의 경우에는 산업과 시장의 동향, 소비 트렌드에 대해 꾸준히 파악해야 해요.

나의 관심을 드러내기 위해 전시회, 박람회, 세미나에 적극적으로 참석하는 것이 좋겠죠?



5. 인턴 경험을 쌓아요.



또한 MD는 다른 직무보다도 실무 경험을 중요시 여겨요.

MD가 하는 업무의 경우 대학 전공 수업 프로젝트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업무들이 많기 때문에

인턴을 통해 직무 경험을 쌓는 것을 추천해요.







오늘은 이처럼 MD 직무의 공고를 분석해보았는데요.

앞으로 궁금한 직무가 있다면 언제든 댓글 달아주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많이 부탁드려요!








IT 인재 인큐베이팅 서비스

[레디미 온보딩 바로가기]


*언더패스는 21년 9월 13일자 이후로 "레디미 온보딩"으로 리뉴얼 되었습니다.





참고사이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249032&memberNo=31752908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583712&memberNo=31752908


작가의 이전글 [스타트업 뜯어보기] #4 내 손 안의 영화관, 왓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