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위혜정 Jan 01. 2024

제목만큼 중요한 목차구성 언제?

 

제목 다음으로 타깃 독자들의 주머니를 열게 하는 두 번째 요소는 목차이다. 두 번째라는 것 작가의 유명세와 인지도를 배제한다는 조건 전제한. 내로라하는 작가유명인들의 책은 출간 전 예약판매부터 베스트셀러 등극하기 때문이. 이 특수한 경우는 책의 상품성 목차 상관관계로 엮을   보인다. 대중에게 노출된 셀럽들의 인생 자체가 보장된 목차가 아닐까 싶다. 제목과 함께 예비 독자를 가장 처음 만나게 되 목차는 책의 내용을 아름답게 배열하여 구매 가치를 높여주는 메뉴판과 같다.


"이런 상차림으로 요리된 책인데 주문하시겠어요?"


목차 펼쳐놓은 메뉴가 마음에 들면 허기진  탐색가들은 풍기는 글맛을 떠올리며 군침을 삼킨다. 일목요연하게 구성된 맛깔스러운 소제목들에 눈이 고, 머릿속에서 맴돌게 될 지적 사유와 정서적 감흥의 진미를 상상하며 책을 집어든다. 나 역시 책을 구매하기 전, 목차부터 쭉 훑어본다. 강렬한 제목으로 끌렸다 하더라도 그 후광효과로 여과되지 않은 콘텐츠의 유용성(나 개인에게 해당되는 쓸모) 목차거름망으로 걸러낸다. 내용의 표식이자 집합체인 파트별 목차구성이 엉성하면 체에 걸러 통과되지 않 입자와 같이 열외 처리된다. 밀도 있게 꽉 들어찬 이만 마음을 움직이는 압이 되어 거름망을 통과  최종 구매 장바구니 흘러들어 간. 목차는 독자의 지갑을 여는 방아쇠이다.





렇다이렇게 중요한 목차구성 과연 언제 해야 할까? 글쓰기 전, 목차 구성부터 먼저 하도록 권유하는 경우가 많다. 목차가 있으면 어느 정도 글 전체의 틀이 잡혔다는 측면에서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을 조심스레 적용할 수 있 때문이다. 글만 쓰면 되니 반은 온 셈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둘 다 경험해 본 결과, 저자의 상황과 글의 장르에 따라 다를 수 있겠다 생각이 든다.


예비 저자의 경우, 혹은 에세이를 쓰는 경우, 목차구성 해놓고 글을 쓰기 시작해야 한다는 강박을 가질 필요는 없. 목차에서 발목이 묶여버리면 진도는 나가지 않은 채  멈춰 설 수 있. 겨우 목차라는 골격을 잡았다 하더라 기획한 틀에서 살짝 벗어나면 다시 쓰고 지우고를 반복할 수 있는 시간의 허비가 따를 수 있다. 글은 계획과 다르게 흘러가는 경우가 더 많다. 이렇게 쓰려고 마음먹고 시작해 저렇게 마침표를 찍는 경우가 다반사다. 테두리 안에 갇히지 않고 여기저기 생각이 넘나들다 보면 더욱 자유로운 글이 탄생한다. 목차 갇힌 사고의 경직성 보다 일탈 유연성생각과 글생기를 불어넣는 요소가 된다. 중요한 것은 완벽한 목차가 아니라 무엇(주제)대해, 누구를 대상(타깃 독자)로 쓸 것인지 글의 주제와 방향 단단히 잡는 것이다.   가지의 기준 구체화되었다면 목차 없이 그냥 쓰는 것나쁘지 않다.


첫 에세이쓸 때, 공저 에세이를 쓸 때도 그랬다.   중인 에세이 그렇다. 주제와 대상라는 기준점만 세팅한 후, 머리와 가슴을 활짝 열어 놓고 자유롭게 일상과 사유를  먼저 . 어느 정도 글이 모이면 큼직하게 묶을 수 있는 카테고리들이 생겨난다. 유목화할 수 있는 양이 있기에 가능하다. 시중에 출간된 에세이들의 목차를 살펴보면 글과 글 사이에 온도차가 크지 않다. 분명 실용서와 다른 지점이다. 글을 쓰다 보면 희뿌연 안개가 걷히고 방향이 조금씩 잡혀가는 효과를 체험하기도 한다.  따라서 소소한 일상을 활자로 입혀가는 예비 저자라면 목차구성에 앞서 글을 쓰는 것이 먼저여도 . 글의 꼭지들이 채워지면 그다음에 분류하면 고, 분류하여 묶으면 목차가 완성된다.


반면, 실용서는 다르다. 에세이와 확연 결이 구별되는 장르. 서는 논문을 작성할 때와 같이 글의 전체 흐름과 내용 골격을 쫀쫀하게 잡 출발하는 것이 안전하다. 글 쓰는 것만큼 목차 구성에 공을 들여야 한다. 세팅값이 흔들리면 글이 흔들려 산으로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집필을 완료 학부모 교육서 영어 학습서 모두 목차구성을 하게 한 이후에 글쓰기를 시작, 영어 필사책 역시 전체틀을 먼저 짠 후에 집필 후 수정 과정을 거쳤다. 중간중간 추가나 삭제 등의 변경이  하지만 전체 흐름은 처음 기획대로 일관되게 유지다. 명확한 지도가 있으니 글 쓰는 데 길을 잃지 않고 도달 지점까지 쭉 달려가기만 하면 된다. 




책의 요약본인 목차는 중요한 만큼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목차구성 자체가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실용서가 아닌 이상, 글을 먼저 쓰는 것이 선행되는 것도 괜찮다. 글의 분량이 차면 유목화하여 힘을 크게 빼지 않고 목차를 구성하는 단계로 넘어 수 있다. 목차구성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다음 발행 글에서 다루어 보려 한다.


https://brunch.co.kr/@169bcd7563aa448/70


매거진의 이전글 출간 계약 시 출판사 선택의 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