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는 이런 대목이 있다. '바사니오'의 대사다.
"나는 학창 시절, 화살 하나를 잃게 되면 그것을 찾으려고 꼭 같은 방향으로 다시 쏘았네."
실수에 대처하는 자세.
누군가는 잃어버린 화살에 좌절하고 잃어버릴 화살에 두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좌절과 두려움은 과거와 미래, 둘 다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 단지 행동하지 않는 오늘에 영향을 끼칠 뿐이다. 실수에 대한 능동적 대처는 중요하다.
첫째,
받아 들인다.
인정한다.
수용한다.
누구나 실수할 수 있고 잘못 판단할 수 있으며 실패할 수 있다. 그것을 인정하지 않으면 다시 사용할 두 번 째 화살은 그 두려움에 과감하게 당겨질 수 없다.
잃은 화살을 '담담'히 받아드릴 자신감, 다음 화살을 거침없이 사용하는 행동력이 그것이다. 과거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중요하다.
몇 번의 큰 실수를 했다. 실수라기도 실패에 가깝다. 사람은 실수하지 않고도 실패할 수 있다. 내가 그렇다. 나는 실수하지 않았다. 그러나 실패했다. 그것이 잘못됐다는 판단은 활이 내 손을 떠났을 때는 알지 못했다. 그것이 나아가는 방향을 공포에 떨며 바라봤다. 잘못된 방향으로 날아가는 화살을 보며 공포에 떨었다.
매몰비용의 오류, 이미 나아간 진행 방향을 그대로 유지했다. 그것은 화살 뿐 아니라, 화살을 바라보는 나의 감정도 마찬가지다. 이미 사용된 감정에 '본전 가치'를 찾았고 다시 뒤로 무르기엔 지나치게 나갔다.
일단 진행하고 '실패'라는 끝을 알고 달려갔다. 그리고 그 끝이 닿는 극점에서 공포의 극한을 보았다. 무수하게 쪼개지는 극한의 극한. '적분값'은 내가 흘린 눈물과 쏟은 시간, 그리고 모든 감정의 총합이었다. 단순한 실패나 성공을 넘어, 내가 걸었던 모든 발자취와 그과정에서 겪은 모든 경험의 집합체였다. 그것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두 눈으로 지켜봤고 그 끝을 알고 그 끝을 경험했다.
매몰비용의 오류를 범하면서도 나는 그것이 단순히 비합리적인 집착이 아니라고 여겼다. 끝에 나를 기다리던 '실패'가 '실수'가 아니라 어쩌면 내가 가고저 했던 '성공'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결국 나는 실수로 실패를 한 것이 아니라, 실패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그 적분값 만큼을 도돌이표로 돌려 없애는데는 꽤 많은 시간이 걸렸다. '바사니오'의 두 번째 화살처럼 즉각적으로 능동적인 대처를 했으면 어땠을까. 두려움에 아껴둔 두 번째 화살은 한참이나 지나도록 사용하지 못했다. 나의 시간과 노력은 첫번째 화살을 찾느라 소모됐고 결국은 찾지 못했다.
결국 매몰비용의 오류를 통해 얻은 교훈은 실패를 통해 배운다는 것이다. 실패를 통해 내가 배운 것은 이렇다.
담담히 받아 들인다.
무감정하게 다음 행동을 실행한다.
결국 그 실패는 내 깨달음으로써 가치를 얻었다. 실패가 헛된 것이 아니라고 현재는 증명하고 있다.
'베니스의 상인'은 단순한 희극이 아니다. 인간의 복잡한 감정과 관계를 깊게 다룬다. 바사니오의 대사는 이런 깊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가벼운 마음으로 읽다가 묵직하게 들어오는 대사 하나를 급하게 스마트폰으로 촬영했다.
기껏해봐야 몇 그램되지 않는 작은 종이와 활자지만 나의 공포의 적분값이 고스란히 쌓여 있었다.
거울을 보고 똥이 묻었는지, 겨가 묻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책을 보고 자신이 보였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다시 도전하는 용기, 신뢰와 우정의 중요성, 그리고 사랑을 위한 결단과 희생. 이 메시지는 작품이 왜 시대를 초월하는지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