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인환 Aug 19. 2024

[육아]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첫통지표_생활통지표

오다율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평소 책 읽기를 즐겨하여 독서 기록을 꾸준히 하며,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나 궁금한 점이 생기면 바로 질문하는 등 학습에 임하는 자세가 좋음. 예절 바르게 행동하며 수업태도가 바르고 학교와 학급의 규칙을 잘 지키는 모습이 바람직함. 학교에서 어려운 일이 생기면 당황하고 눈물을 보이는 경우가 있었으나,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을 배우고 마음을 표현하는 연습을 해보며 잘 적응함.


오하율 '행동특성 및 종합 의견'


학습 태도가 바르고 발표를 적극적으로 하며 과제를 해결할 때 성실한 태도를 지님. 늘 웃음을 머금고 밝게 인사를 잘하며 쾌활하고 긍정적인 힘이 있어 주변 친구들에게 친화력 있게 다가가 원만한 교유관계를 유지함. 색종이를 오리고 접어 다양한 만들기를 하거나 자신이 만든 종이 창작물을 이용한 놀이를 즐기며 주제가 잘 드러나게 그림을 그림.


 아이가 학교에서 '첫통지표'를 받았는데 혼자만 보다가 스캔으로 저장했다. 아무래도 초등학교 통지표는 특히 저학년의 경우에는 부정적인 표현이 거의 없고 장점을 위주로 써주신다고 하던데 그런 듯 보인다.


 어린 시절, 그러니까 내가 초등학교 1학년 시절에는 통지표에 '수우미양가'가 있었다. 거기에 종합의견에도 긍정적인 표현과 부정적인 표현이 가감없이 들어가 있었는데, 격세지감 요즘에는 아동 교육에 대해 많은 변화가 있었던 듯 하다.


 초등학교 1학년 때 나를 맡았던 남자 선생님은 통지표에 '소심하고 내성적'이라고 쓰셨다. 그전까지는 한번도 그런 생각을 못해봤다. 친구가 폭넓게 많은 편은 아니였지만 마음 맞는 친구 여럿이 항상 모여 다니는 편이었고 따돌림을 당하거나 하는 편도 아니였으며 수업시간에는 입을 다물고 있다가 친구들끼리 있을 때는 말이 많이 하는 편이긴 했다.


 우연히 어머니가 싱크대 서랍 속에 넣어둔 통지표를 보는데 거기에 쓰였던 '내성적'이라는 말의 뜻을 그때 처음 알았고 '나'에대해 그렇게 정의를 내리기로 했던 모양이다. 실제 초등학교 생활 중 '내성적'이라는 표현이 정체성으로 자리 잡을 정도로 내 주변을 맴돌았다. 다만 크게 다시 돌이켜보면 그닥 내성적이라기보다 내숭적이었다는 생각이든다.


 어른들 앞에서는 조용히 입을 다물고 있다가 또래들 앞에서는 까부는 편이었다.


아이의 통지표를 보내는데 가만히 옛날 생각이난다. 이때야, 공부를 잘하고 못하고가 어디 있으며, 이때 잘하는 것은 또 무슨 의미가 있으랴.


 나는 선생님과의 면담에서 '공부는 못해도 괜찮습니다. 예의 바르고 책은 좀 읽고 살았으면 좋겠습니다.'라고 말하고 나왔다.

 거기에는 거짓 하나 없는데 이유는 그렇다.

공부를 잘하고 못하고는 분명 중요하긴 하다. 다만 돌이켜 보건데 초등학교 5학년 때, '도무지'라는 단어를 이용하여 짧은 글을 쓰지 못한 친구 녀석은 60대가 다 되신 남자 선생님께 안경이 날아갈 정도로 귓방망이를 맞았다. 그렇다고 그 녀석이 형편없는 놈이 됐냐하면 그렇지는 않다.


 친구중에는 '서울대'에 입학한 이도,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졸인 친구도 있다. 이 둘의 급여 차이는 있었겠으나 그렇다고 둘 다 남 밑에서 직장생활하는 것은 별반 다르지 않다. 되려 초중고등학교 시절, 생각없이 '게임'하고 신나게 놀던 친구들이 '농사'나 '사업'을 하면서 잘 지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


 다들 6시면 퇴근하고 돌아와 넷플릭스나 돌려보고 자식 재워 놓고 '처'와 맥주 한잔 하는 평범한 일상을 살고 있고 거기에 출퇴근할 때나 타고 다니는 자동차에 '엉따'가 있는지, 없는지, 고급 시트가 깔려 있는지, 아닌지 정도의 의미 정도만 있을 뿐이다.


 여타 육아서적을 보면 아인슈타인'은 어떻고, '스티브 잡스', 일론 머스크', '빌 게이츠'가 어떻다고 이야기 한다. 이들 모두는 각각 이혼을 경험했고, '일중독'에 아이들이 크는 과정을 지켜보지 못했다.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일기에 '자신을 불행한 남자'로 기록했으며 스티브 잡스는 자신의 딸을 죽기 직전까지 인정하지 않다가 끝끝내 마지막에서야 인정하고 생을 마감했다.


 열심히 공부를 하고 부자가 되라는 것은 '인류'와 '사회'를 위해 분명 좋은 일이지만 개인의 행복을 위해서라면 '영재'나 '천재'가 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 그것도 필사적으로 말이다.

 모짜르트는 8살에 이미 천재였다. 그는 엄청난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마흔도 되지 않고 단명했다. 대단한 사람은 대단한 사람들이나 하면 된다.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정치인들은 좋은 옷을 입고 어깨에 힘을 주지만 그 인상이 항상 구겨져 있다. 그들이 과연 행복한가를 생각해보면 잘 모르겠다.


 굉장히 이기적일 수도 있겠지만 우리 아이는 대단한 천재나 대단한 업적을 이룬 사람이 아니라 그냥 모든 일에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으면 좋겠다.

 그냥 예의바르고 책을 좀 읽고 살았으면 좋겠다. 그냥 저냥 행복한 사람이면 좋겠다.

 그게 가장 큰 욕심일수도 있겠지만 그리고 나중이 되면 '그때 공부를 좀 시켰어야 했는데...'라는 후회가 있을 수는 있지만 기본적인 철학을 잡아주면 나머지는 본인이 알아서 할 몫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