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식재료로써 밀가루의 보급
수제비, 칼국수, 인스턴트 라면 등.
서민 음식하면 떠오르는 음식들 중 대부분이 밀가루를 주재료로 하고 있다.
허나 생각해 보면, 한국은 전통적으로 벼를 재배하는 국가이고, 벼의 재배가 용이한 환경에는 밀을 재배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어렴풋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조선시대까지만 하더라도 밀가루는 가루 중에서 가장 좋은 가루를 의미하는 ‘진말’라고 불리며 귀하게 여겨졌다. 귀한 만큼, 밀은 모두가 누릴 수는 없는 식재료였던 것이다.
전통적으로 밀을 재배하지 않는 한국에서, 도대체 언제부터 밀을 주재료로 한 음식들이 자리 잡고, 널리 퍼지게 된 것일까? 밀가루는 도대체 언제부터, 한국인의 식탁에 오르게 된 것일까?
1954년, 미국에서는 ‘농산물 교역발전 및 지원법(PL480)’이 발효된다. 농업 기술 발달함에 따라 미국 내 잉여 농산물 문제가 주목받던 상황에서, 남는 식량자원을 저개발 국가에 원조하여 대외관계를 향상하고자 하는 의도였다. PL480을 통해 미국에서 남아돌던 밀은 한국 사회에 대량으로 유입되고, 이는 막대한 파급효과로 이어진다.
수입 밀이 유입되며 국내 농산물 가격은 하락했고, 이를 기반으로 펼쳐진 저곡가 정책은 60~70년대 경공업 중심의 산업화 과정에서 저임금 노동체제 유지를 가능하게 했다. 이로 인해 농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은 커져만 갔지만, 값싼 밀로 만든 라면과 국수는 장시간 일하는 노동계급의 주린 배를 채워주었다.
밀에 대중화에는 국수가 특히 큰 역할을 담당했다. 소규모 제면소에서 생산된 값싼 소면은 멸치 국물과 김치에 곁들여졌다. 일본에서 인스턴트 라면이 개발된 이후 한국 삼양사에서는 역시 끓여 먹는 라면을 출시했다. 한국식 '중국집'의 짜장면은 인기를 얻으며 물가지수 계산에까지 편입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국수들은 대중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밀 소비 증가 현상의 이면에는, 쌀 부족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정부와 학자들의 적극적인 장려가 있었다. 특히 1963년에 북한이 쌀 자급 달성했으며 남한에게 식량을 원조할 의향이 있다는 선언을 했을 당시, 남한은 쌀 자급자족을 이루지 못한 상황이었다.
체제경쟁의 측면에서 쌀의 소비를 줄여야 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를 위해 쌀 이외의 곡식의 소비가 장려되었다. '혼분식 장려 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모든 음식점에서는 쌀 50%에 잡곡과 면을 각각 25%씩 혼합 조리해야 했다. 학교와 방송에서는 쌀을 먹으면 머리가 나빠지고, 밀가루에는 영양이 가득하다며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분식의 날'이 지정되기도 했으며, '분식권장궐기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에 힘입어 밀가루 소비량은 1960년대에 거쳐 꾸준히 증가했다.
밀로 만든 빵을 먹는 한 끼는 풍족한 삶을 염원하던 한국인들에게, 서양의 선진적이고 근대적인 삶의 상징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60~70년대 박정희 정부의 주도 하에 근대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던 당시, 미국식 아침식사는 합리적이고 선진적인 서구의 문화를 상징했던 것이다.
한국 밀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는, 한국을 밀 원조 중단 이후에도 전통 지역 주식의 소비 대신 상업적으로 수입된 밀에 의존하도록 하는, 식량주권을 위협하는 ‘밀의 덫’으로 이끌기도 한다.
빵이나 국수로 끼니를 때우고, 과자를 간식으로 먹는 분내 가득한 현대인의 삶. 지금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접하는 밀가루 음식들이 우리의 일상에 녹아들기까지의 과정은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김철규, 『음식과 사회: 사회학적으로 먹기』, 세창출판사(2020)
.
YECCO 콘텐츠기획팀 심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