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산문집 『네가 이 세상의 후렴이 될 때: 이서영 포에트리 인덱스』(유미주의) 발간 문장 웹진 「검은 구전과 흘러넘치는 바다」외 6편 발표 5.18 프로젝트 <5월을 기리는 글자들> 작품 발표 공통점 『마음 레코드의 기능상 요건』(공저) 출간 『비릿be:lit』 4호 작품 발표 문학무크지 『공통점』1~5호 공동기획 및 작품 발표 전라북도 교육청 주관 혁신교육 르포에세이 『즐겁게 깨치고 새롭게 꿈꾸는』 저술
공통점, <시 낭독의 예술적 가치 연구: 포에틱 사운드 스테이지> 참여 바림, <최소의 지정학> 레지던시 선정 온/오프라인 공동저작 교환일기 <회원님의 스토리에 답장을 보냈습니다> 기획 및 발표 영화비평지 《scene1980》: 섬이라는 환영과 바운더리 <배틀로얄> 게재 《귄있진》2호: <떠나고 머무는 몸들을 위한 노래와 집짓기-강수지, 이하영 작가/기획자론 >게재 소촌아트팩토리 『vanishing landscape』 flux studio(박상화, 설박, 윤준영) 서문 및 텍스트구성 참여 윤연우 개인전 『하나보단 둘, 둘보다는 셋』, 『재현의 재현』 서문 참여 광주동구인문학당 『시간의 환상통』 展 기획 및 작품 발표 광주여성가족재단 제4회 허스토리 기획전 수상작 『애도는 어떻게 하는 거였더라』 展 작품 참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공감본능』 , 강수지/이하영 「The Blue Notebook ll: 공명의 기술」 협력 참여 『전시보고(報告)-13th 광주비엔날레』 공동비평 참여 문학동인 공통점×시각예술단체 머피 『콘크리토피아』 참여
2022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작가 선정 2023 광주문화재단 지역문화예술특성화 청년예술인지원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