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브랜딩인가HR인가 Nov 14. 2020

'나는' 이라는 말로 시작되는 문장이 중요한 이유

feat. 파커 J 파머 / 가르칠 수 있는 용기 

어릴 적, 국민학교 시절 

(나는 국민학교 세대다;)


선생님께 이런 충고를 들은 적이 있다.



"일기장에 꼭 '나'라는 말을 많이 쓰는 학생들이 있다. '내가~','나는~'어쩌고, 저쩌고. 누가 내가 썼는지 모르나. 일기장은 당연히 '나'가 쓰는 것인데 굳이 '나'라는 말을 쓸 필요가 있나."



그 이야기를 들은 이후로, 나 역시도 일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글쓰기에서 '나'라는 주어를 의도적으로 쓰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어떤 이들의 글쓰기에서 '내가' '나는'이라는 말이 보이면 무슨 이유로 굳이 '나'라는 말을 붙었는지, 해당 문장을 여러 차례 읽으며 곱씹어 보기도 했다. 



미국의 교사들의 교사라고 불리는 교육 지도자 파커 J 파머는 이에 대해 이렇게 언급한다. 




주관성에 대한 학계의 편견은 우리 학생들에게 신통치 않은 글("나는 믿는다"라고 쓰지 않고 "...라고 믿어진다"라고 쓰는 것)을 쓰게 만들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과 그들이 살고 있는 이 세상에 대한 생각도 왜곡시키고 있다.
...
학생들을 내면적인 삶과 절연시킨 것이다
...
우리가 그들에게 주관적인 자아는 가치 없고 비현실적이라고 가르치기 때문이다. 




파커 J 파머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자아의식'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가르침의 태도가 우리 사회에서 주관적 느낌이나 감정은 의심스럽고 오염된 것으로 폄하하고 객관적 지식 형태만 숭상하게 만든다고 지적한다. 그 결과, 내적 진실로부터 멀어진 거리감이 다양한 왜곡을 만들고 나아가 자아를 소외시켜 자기분열까지 이르게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눈에 보이는 객관적인 실체와 대상들에 더 큰 권력을 부여하고 모든 문제는 반드시 기술적인 해결 방식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방식이 우리를 현실의 구속에서 벗어나는 자유를 줄 것이라고 맹목적으로 믿어버렸다.  



눈에 보이지 않는 영역들 - 이를테면 마음이나 내면의 세계 - 은 그저 환상이자 도피처로 여긴다면 우리의 자아는 어디서 인정과 존중을 받을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온전한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우리 세상의 의미 있는 변화는 외부적인 요소, 가령 예산과 방법론, 커리큘럼, 제도적인 개편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에서 나온다.


우리의 마음, 

반성하는 능력, 

온유함, 

책임의식, 

깨달음, 

감당해보겠다는 의지. 



그래서, 

지금보다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나는...'이라는 말을 시작으로 인생의 글쓰기에서 각자의 첫 문장을 시작했으면 좋겠다. 



우리는 지금 보다 조금 더, 각자 스스로 겪고 있는 과거와 현재의 인생 경험의 모든 측면들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 



나의 국민학교 시절 일기장에서, 마무리는 역시 '나는 마음속으로 생각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다시, SK워커힐 아카디아. 교육을 마치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