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하연 Apr 01. 2024

너무 사랑하지 마세요.

나무는 대체로 일정한 굵기로 자라는 줄 알았다. 아니었다. 볼륨감 있는 몸매의 나무가 세상에 존재한다는 걸 처음 알았다. 국립세종수목원에서 <케비아 물병나무>를 보았다. 꽃병처럼 나무 기둥의 중간이 불쑥 튀어나와 있다. 이 나무는 에콰도르, 페루 등 남미가 원산지이고, 몸통을 가시가 뒤덮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덕구리란>란 식물도 특별했다. 멕시코 원산의 식물로 사막처럼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데, 줄기 끝부분에 물 저장고가 있어서 땅에 있는 줄기가 크게 부풀린 코끼리 발 모양이다. 식물 아래가 모래 언덕을 쌓은 듯 커다랗고 그 위로 우리가 보던 식물의 기둥 모양이었다. 빨간색 닭 벼슬 모양의 꽃이 피는 <닭벼슬 나무>도 이름이 재치있었다. 수목원 내부는 2층의 산책로도 조성되어 있어서 식물들을 다양한 높이에서 감상할 수 있었다. 비행기 티켓없이 식물로 세계여행을 하는 기분이었다. 봄마다 화훼농장을 찾아 여러 식물을 눈에 익혔는데, 국립세종수목원의 식물들은 대부분 처음 보는 것이었다. 


다 둘러보고 나오니, 전시실 밖에는 식물 상담소가 마련되어 있었다. 최근 산 만냥금의 초록 잎이 노란색 빛으로 변하더니 떨어졌다. 분갈이가 잘못되어 죽어가는 건지... 식물은 말이 통하지 않으니 추측할 뿐이었다. 영양제를 꽂고, 바람을 쐬이고, 해를 보여주며 정성으로 간호했지만, 만냥금이 어디가 아픈 건지 알 수 없었다. 그래서 식물 상담소가 반가웠는데 그 안에 사람이 없었다. 아쉬운 마음에 어슬렁 거리는데, 자원봉사자 한 분이 다가와 이용 시간을 알려주었다. 남편은 그분을 붙잡고 만냥금의 증상을 이야기했다.

 


“분갈이에 적응하려면 시간이 필요해요. 좀 지켜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남편이 영양제를 꽂아 두었는데, 괜찮은가요?” 내가 물었다.

남편은 어느 영상에서 분갈이 후 영양제를 꽂아 두란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 내가 생각했을 때, 식물이 자생하도록 시간을 두어야 하기에 영앙제는 필요 없을 것 같았다.

“영양제를 줄 때에는 식물의 뿌리 가까이에 꽂지 마시고, 뿌리에서 최대한 멀리 놓고 꽂으셔야 해요.”

“그래요? 듬북 먹고 잘 자라라고, 영양제를 뿌리 가까이에 두었는데... (모든 식물에 영양제를 꽂는다)”

“사람도 그렇고 식물도 그렇고 너무 사랑하면 안 됩니다.”     



너무 사랑하면 안 된다. 자원봉사자가 떠나며 한 말이 마음에 남았다. 식물이든 사람이든 사랑이라는 명목하에 그 존재의 뿌리까지 관여해서는 안된다는 이야기처럼 들렸다. 때로는 멀리서 지켜보다가 슬며시 다가가는 방법도 필요해 보였다. 말 없는 식물의 사랑도 어렵지만 사람 간의 사랑도 어려웠다. 모든 것이 아리송해서 문제였다. 사람은 식물과 달리 말을 할 수 있지만, 마음을 말로 표현하는 건 어려웠다. 식물은 언어가 없어서 사람과 오해는 있지만, 갈등은 없다. 하지만 사람 사이에는 오해와 갈등, 모두 존재한다.


내가 주는 사랑이 상대에게 어떻게 가 닿는지 알 수 없다. 식물은 떨어지는 잎으로 자신의 상태를 이야기하지만, 사람은 그렇게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넘치는 사랑이 버거워 사람의 뿌리가 썩어가기도 한다. 돌이켜 보면 내가 살면서 가장 힘들 때는 나의 뿌리를 건드리는 사람들이었다. 내가 나로 살고 싶은데,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간섭을 하거나, 원치 않은 행동을 하게 했다. 그러면 나는 곪아갔다. 뭐가 잘못인지도 모른채 말이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다가오면 거절하기도 힘들기에 그 상황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그렇기에 사랑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진짜 사랑은 어느 누구도 괴롭지 않다. 

 

부모님, 부부, 자녀, 회사 동료, 지인들의 관계에서 우리는 너무 사랑하면 안된다. 사랑이 없어서 문제지, 사랑은 무조건 좋은 것 아닐까?라는 생각은 종종 했지만, 넘치는 사랑이 문제가 될 거라고는 생각해 본 적 없었다. 생각해보니 넘치는 사랑은 보이지 않는 그물이었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짠 그물. 상대가 움직이고자 하는 것을 막는다. 개인의 자유를 제거한다.


사랑이라고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다. 사랑을 줄 때, 섬세해야 한다. 상대가 원하는 사랑을 주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상대의 머릿속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 이상 딱 맞는 사랑을 전하기란 어렵다. 최선의 사랑은 무엇일까? 연한 사랑을 전하는 것이다.


식물의 뿌리에서 먼 곳에 영양제를 꽂는 것처럼, 상대가 편안한 상태에서 스며드는 사랑을 해야 한다. 상대가 힘겨울 때, 알아차리고 슬며시 안부를 전해오는 사람. 그들은 너무 사랑하지 않는 법을 알고 있는 사람아닐까?          



닭벼슬 나무
매거진의 이전글 거절은 회전문처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