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색내거나 강요하지 않는 삶
《시경》 말하길
“네가 홀로 방 안에 있을 때를 살펴보니, 오히려 방 귀퉁이에도 부끄럽지 않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움직이지 않아도 공경받으며, 말하지 않아도 믿음을 주는 것이다.
詩云相在爾室혼대 尙不愧于屋漏라하니 故로君子는 不動而敬하며 不言而信이니라
시운상재이실혼대 상불괴우옥루라하니 고로군자는 불동이경하며 불언이신이니라
대부분 사람은 남이 보거나 드러나는 곳에서는 남을 의식하며 올바른 언행을 한다. 하지만 남이 보지 않거나 혼자 있을 때 나쁜 생각과 뜻을 가지기도 한다. 하지만 군자는 남이 보지 않는 방 귀퉁이에서 있어도 떳떳하고 당당하다. 남을 속일 수는 있어도 자신은 속일 수 없다. 늘 겉과 속이 같고 한결같은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군자다.
『주역』 「곤괘」에 “군자는 경으로써 마음을 바르게 하고, 의로써 태도를 반듯하게 한다. 경과 의를 세웠으니 덕은 외롭지 않다.”라고 했다. 군자경이직내 의이방외 경의립이덕불고(君子敬以直內 義以方外 敬義立而德不孤) 이러한 경과 의를 실천한 사람이 남명 조식 선생이다.
남명 조식[(曺植) 1501~1572] 선생은 경이직내 의이방외를 실천하기 위해 경과 의를 새긴 칼과 성성자(惺惺子)라는 방울을 지니고 다녔다. 항상 삼가며 안으로 마음을 공명정대하게 하고, 밖으로는 태도와 자세를 반듯하게 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마음이 항상 깨어있었다. 밝고 맑은 마음으로 깨어있어야 한결같은 마음으로 세상을 변화를 통찰할 수 있다. 움직이면 절도가 있고 위엄이 있으며 말을 가려서 하기에 존경과 신뢰를 받았다. 남명 선생은 안으로 단단하고 겉으로 반듯하여 선비정신을 실천했다. 언행이 일치했고, 지행합일하는 삶을 살았다. 동강 김우홍, 수우당 최영경, 망우당 곽재우 등 훌륭한 제자들이 많았다.
《시경》 말하길
“신명(神明)의 강림을 연주할 때 신이 감응하니 말이 없고, 다투는 사람이 없구나.”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가 정치를 하면 백성에게 상을 주지 않아도 백성들이 부지런히 힘쓸 것이며, 군자가 화내지 않아도 백성들이 군자를 날카로운 작두와 도끼보다 두려워하며 더 위엄이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詩曰奏假無言하야 時靡有爭이라하니 是故로君子는 不賞而民勸하며 不怒而民威於鈇鉞이니라
시왈주가무언하야 시미유쟁이라하니 시고로군자는 불상이민권하며 불노이민위어부월이니라
군자는 지극한 정성을 다하는 사람이다. 신이 강림하는 음악을 연주할 때도 장엄하여 신이 감응을 한다. 모든 사람이 조용히 감상하며 감응한다. 군자는 자율적으로 자신의 행위에 책임을 지며 늘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다. 백성들은 솔선수범하는 군자의 모습을 보고 본받는다. 군자는 스스로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다. 이를 보는 백성들은 스스로 감응하여 자신의 역할과 도리를 다한다. 백성에게 포상을 굳이 하지 않아도 자신이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한다. 군자는 백성들의 삶을 보살펴 더 잘 살아가도록 할 것이기 때문에 백성들도 자율적으로 부지런히 힘쓸 것이다. 그래서 군자가 백성들에게 화내지 않아도 백성들은 군자를 생각하며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한다. 즉, 강요하지 않아도 백성들이 스스로 제 일을 다한다. 이는 군자가 정성을 다해 솔선수범하기 때문에 백성들은 자율적으로 감복하여 진심으로 따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