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작이 Oct 28. 2024

기준을 낮추고 계속 써야 합니다.

네 번째 명언: 기준을 낮추고 계속 써라.

기준이라는 것은 기본이 되는 표준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이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겠느냐, 고 했을 때 바로 '이 정도'라는 것이 기준이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이 정도라는 최소한의 기준이 충족되어야 나름의 구색을 갖추게 될 거라는 뜻이겠습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아마도 글을 쓰는 사람들은 그 나름의 기준을 갖고 글을 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문 작가는 두말할 것도 없고, 작가지망생인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이 정도'라는 선에 간신히 걸쳐야 자신이 쓴 글을 발행하게 되지 않겠나 싶습니다.


굳이 말하지 않아도 사람마다 그 기준은 다를 것입니다. 저처럼 한 편의 글이 완성되면 그것이 질적으로 얼마나 괜찮은 글이냐 아니냐를 따지기도 전에 발행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떤 분들은 쓸 때의 그 신중함이 글의 발행 때에도 이어지기도 할 것입니다. 발행하기 위해서 기껏 써놓고도 정작 그 순간이 오면 발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어쨌건 간에 글의 발행의 기준이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실 글을 발행하려 할 때 신중해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그만큼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글을 발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일 테니까요. 그렇다면 이런 생각을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 신중함이 극에 달해 발행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되는 건가 하고 말입니다. 물론 모든 글의 목적이 발행은 아닙니다. 따지고 보면 쓴다는 것이 목적이고 한 편의 글을 완성한다는 것이 글을 쓰는 목표가 되는 것이지, 발행이 최종 목적은 아닐 테니까요. 그러나 발행하지 않는 글을 가득 쌓아두기만 하는 것도 그다지 좋은 건 아닌 듯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가 한 번쯤은 생각해 볼 말이 있습니다. 48세에 첫 시를 발표했다고 하는 미국의 시인 윌리엄 스태포트는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기준을 낮추고 계속 써라.
당신이 오늘 잘 썼는지 못썼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는 우리에게 기준을 낮추라고 합니다. 거기에 한 발 더 나아가서 계속 쓰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도자기를 굽는 장인을 생각해 보면 될 듯합니다. 그들에겐 타인이 이해하지 못하는 어떤 예술적인 기준이 있습니다. 누가 뭐라고 하든 간에 그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도자기가 나오면 가차 없이 깨뜨려 버립니다. 주변에서는 이만하면 질 좋은 도자기라고 말하지만, 장인에겐 조금의 위안도 되지 않습니다. 오직 자기 내적인 기준만이 판단의 근거가 될 뿐입니다.


글쓰기에서도 어쩌면 이런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윌리엄 스태포드가 이런 자기 내적인 판단 기준이 틀렸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다만 어쩌면 그는, 예로부터 글을 잘 쓰는 데 있어 필수 요건으로 알려진 구양수의 말이 보다 더 합리적이라고 말하는 듯합니다. 


다독, 다작, 다상량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여기에서 문장의 길이를 약간 줄여보겠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될 것입니다.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많이 써야 한다.


충분히 경험해 보셨겠지만, 많이 쓰려면 어느 정도는 욕심(?)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일필휘지로 글을 쓰겠다는 생각도 버려야 하고, 누가 읽든 그 어떤 비난 혹은 혹평을 하지 않을 만큼 완벽한 글을 써야겠다는 욕심도 버려야 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묵묵히 생각한 것을 글로 옮기는 것뿐입니다. 여기에서 어쩌면 가장 우리가 경계해야 할 욕심은 '내 마음에 드는 글을 쓰겠다'는 생각인지도 모릅니다.


지극히 사견 하나를 말씀드릴까 합니다. 언젠가 한 번 제 마음에 쏙 드는 글을 쓴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그 글이 얼마나 제 마음에 들었던지 주변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그 글을 읽히게 해주고 싶은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당일 저녁에 읽어 보니 글이 형편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다 다음 날 아침에 다시 읽어 보니 이만하면 그럭저럭 잘 썼다 싶기도 했습니다. 물론 저녁에 한 번 더 읽으니 또 다른 마음이 들더군요. 즉 제가 설정한 제 나름의 기준도 전혀 믿을 것이 못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명언을 다음과 같이 바꿔서 생각해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기준을 생각하지 말고 계속 써라.
당신이 오늘 잘 썼는지 못썼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결국은 많이 써보는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많이 쓴 것들 중에서 더러는 마음에 드는 것도 있고, 또 몇몇은 함량 미달인 글도 있을 것입니다. 앞서 말한 저조차도 못 믿을 기준으로 굳이 제 글을 제단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저보다 글을 더 잘 쓰는 누군가에게 검사를 받고 발행을 한다는 것도 이치에는 맞지 않는 일입니다. 그러니 일단 평가는 나중으로 미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기준을 낮추고 지속적으로 글을 쓰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입니다. 거기에 한 걸음 더 진전이 가능하다면 기준을 생각하지 말고 지속적으로 글을 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글을 쓰려면 넘어질 걸 각오해야 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