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마르 왕자 Nov 07. 2022

교육 불평등과 대한민국의 위기 7

왜 학과가 그 모든 책임을 져야 하는가?

 오늘날 지역대학의 입학처장 자리는 욕먹는 자리이자 누구나 기피하는 보직의 하나가 된 지 오래다. 해마다 반복되는 입학 경쟁률의 하락과 중도탈락률의 심화는 등록금 수입에 재정의 60% 이상을 의존하는 많은 대학들을 한계점으로 몰아가고 오랫동안 동결된 대학 등록금으로 인해 누적되는 적자를 메우기 위해 각 대학들은 피 말리는 비용절감을 실시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대학의 시설이 노후화되어 발생하는 감가상각비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시작조차 못하고 있다. 


 신자유주의로 대변되는 '시장주의'의 침투가  대학에 들어와 학문공동체라는 대학의 정신을 훼손시키고 학생과 교수와의 관계를 학연이 아닌 '소비자'와 '서비스 제공자'로 둔갑시킨 이후 대학은 자본에 종속되어 학생들의 취업을 학교의 존재 이유로 내세우기에 이르렀다. 이와 더불어 취업률이 낮은 학과에 대한 공개적인 모욕(취업률, 입학성적, 입학 경쟁률, 중도탈락률의 공개적인 공개)과 함께 그것을 매개로 다시 학과평가를 하고 줄 세우기를 하여 이중적인 제제를 가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모습은 대학의 개별 학과가 마치 기업의 기획, 영업, 회계, 인사와 같은 부서로 취급되고 졸업생들은 한낱 생산된 제품으로만 평가받는 '소외'의 그것이 아닌가? 


 이러한 소외의 모습을 긍정한다고 하더라도 대학이 수험생들에게서 외면받아 벌어진 미달과 같은 일을 왜 개별 학과가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기업의 실적이 악화되고 영업이익이 줄어들어 기업의 가치가 떨어질 때 그 책임을 떠 앉는 사람이 과연 그 기업의 인사부장인가? 아니면 영업부장인가? 대부분 경영을 책임진 사장단과 임원들이 그 책임을 지고 자리를 떠나며 새로운 운영진이 교체되는 게 당연한 일처럼 받아들일진대 대학의 총장, 부총장 그리고 그들이 임명한 보직인원들 중 어느 하나도 대학의 미달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 오히려 미달이 벌어진 학과에 모든 책임을 지우고 미달사태를 막지 못할 경우 폐과를  한다는 규정을 만드는 등 아랫사람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전형적인 책임회피 수법을 취하고 있다. 


 그동안 척박한 환경- 무너진 지식기반 혹은 척박한 지식 불모지-에서 지역사회를 위해 외로운 등대 역할을 해 온 각 학과의 고뇌를 알지 못한 체  인구감소라는 예견된 미래를 내다보지 못한 리더의 책임을 아랫사람에게 전가하는 조직에 과연 미래는 있는가? 내가 아니면 이러한 사태 수습의 적임자가 없다는 태도로 자리에서 버티는 사람들에게 사람들이 던지는 싸늘한 시선과 비난을 보면서 새삼 우리 대학의 총장과 부총장, 그리고 보직교수들이 떠오른 것은 책임지지 않는 이러한 태도가 제네시스나 벤츠와 같은 '사장님' 세단을 타고 다니는 사람들에게 보이는 '검은 세단 증후군'은 아닌지 의심해보게 된다.  



작가의 이전글 쓸모를 묻는 당신에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