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형태소 Nov 12. 2023

기꺼이 가까이

사랑에 대하여 1 : <가슴 뛰는 소설>을 읽고

조현철 감독의 영화 <너와 나>에서는 ‘갈변하지 않은 한 입 베어 문 사과’가 자주 등장한다. 감독은 이것이 사랑하던 이가 내 곁에 머물고 있음을 뜻한다고 이야기했다. 언제나 함께 있음을 그려낸 것이다. 비록 직접 볼 수 없더라도.


조현철 감독의 영화 <너와 나>에는 ‘갈변하지 않은 한 입 베어 문 사과’가 자주 등장한다. 감독은 사랑하는 이가 내 곁에 머물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과 언제나 함께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비록 직접 볼 수 없을지라도 여전히.


이처럼 사랑의 본질에는 그리워하는 마음이 담겨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보고 있어도 보고 싶은 그대”라는 말처럼, 누군가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사랑의 시작일 것이다. 황정은의 「대니 드비토」 역시 이러한 그리움에 본질을 둔 사랑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대니 드비토」는 ‘유라’가 자신의 죽음을 인지하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유라가 죽기 전, 유라와 유도는 죽음에 대한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서로 중 한 명이 먼저 죽게 되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대화였다. 유도는 죽어서도 남을 쓸쓸함이라면 그 무엇으로도 남고 싶지 않다고 이야기했다. 유라는 죽어서도 쓸쓸할 테니 유도에게 붙을 거라고 말했다.


“정수리부터 발가락까지, 내키는 곳에 내키는 대로, 붙어 다녔다. 유도 씨의 정수리와 오른쪽 팔이 가장 좋았다. 유도 씨는 오른손잡이니까, 거기 붙으면 이리저리 흔들렸다가, 기울었다가, 늘어질 수 있어 좋았고, 정수리에선 여러 가지를 광범위한 각도로 엿볼 수 있었다.”


 죽기 전 했던 말처럼, 원령이 된 유라는 유도에게 붙는다. 유도를 지켜보며 다시 만날 날을 기다리기 시작한다. 뭘 기다리는지조차 잊어버린 채 기다리기도 했지만, 유라는 계속해서 기다렸다. 자신과는 다르게 계속해서 삶을 살아가는 유도를 하릴없이 지켜보기만 한다.


“감상도 염원도 없이, 그저 유라,가 반복될 뿐이었다. 나는 그저 말로, 아무것도 바랄 것도, 기댈 것도 없는, 두 음절의 말로서, 유도 씨의 입버릇이 되었다.”


유도는 유라가 죽은 뒤, 그녀의 이름을 버릇처럼 불렀으며, 그럴 때마다 유라는 틀림없이 대답을 했다. 남겨진 이와 원령의 기묘한 대화가 반복되었지만 그는 들을 수 없었다.  

“나는 집에 남았다. 머물렀다. 어째서 여기 있는 걸까. 벌을 받고 있는 걸까, 하고 생각했다.”


유라는 평범한 일상을 보내는 유도를 계속해서 기다렸다. 그녀와 달리 유도는 혼잣말하는 버릇을 멈추게 되었고, 유라를 점점 잊기 시작했다. 자신의 존재조차 잊어가는 사람을 바라보기만 하며 그저 다시 만나게 될 날을 기다린다. 기다림이 지속되자 자신과 달리 오래도록 살아있는 유도에게 분노하기도 하고, 벌을 받고 있는 건 아닐까 고민하기도 했다.


“그저 바랄 뿐이었다. 유도 씨가 죽은 직후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기를. 유도 씨가 죽고 난 다음에 무엇으로도 남지 않기를. 말끔히 사라질 수 있기를.”


이후 유도는 새로운 사람을 만나 결혼을 했고, 아이를 가졌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며 유도 역시 늙고 병들게 되었다. 다시 만나게 될 날을 기다리던 유라는 그를 바라보며 또 다른 걱정을 품기 시작한다. 자신이 유도를 얼마나 오래 기다렸는지 생각하며, 길고 긴 외로움을 그가 겪지 않길 바란다. 재회의 순간보다, 그가 말끔히 사라질 수 있기를 바랄 뿐이었다.


“유라. 양지바른 곳에서, 유도가 말했다.”


이야기의 마지막, 유도는 유라의 이름을 다시 부른다. 유라 자신조차 잊고 지내던 이름을 내뱉는다. 어쩌면 유라의 길고 긴 기다림이 유도에게 닿았을지도 모른다.


원령이 된 유라, 유라의 이름을 부르는 유도. 비록 서로를 볼 수 없더라도 이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기다림을 품고 있었다. 죽은 이가 남겨지게 되기도 했고,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이가 남겨지기도 했다. 어떻게 해야 닿을 수 있을지 몰라도, 얼마나 기다려야 할지 알 수 없어도. 기꺼이 가까이 다가가고 싶은 마음. 이것이 사랑 아닐까.




by. 선인장

작가의 이전글 회복 불가능한 사랑 : 사랑의 본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