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주과장 Sep 03. 2024

영원에 대한 고찰

2024년 9월 2일

조금 더 어릴 때 ‘영원도 모르는 것’ 이라고 써놓은 시가 있다.

내 아무리 전달하려 해도, 온전히 내 마음을, 영원히 떠들어도, 영원히 전달하지 못한다는 것에 대한 깨달음에서 받은 상처를 거름삼아 피어난 시였다. 성경 속의 예수도, 구전 속의 이야기에서도 우리는 늘 다른 해석을 내놓고 추측하듯이 말이다.


내 상처받고 흉터난 이 자국을 보라고, 세상에 존재하는 온갖 표현을 영원토록 떠들어도, 다른 사람은 절대 온전히 알 수 없다. 신화 속 하늘의 별자리 되어 영원히 이야기를 이어나가는 그들처럼, 내가 되고, 네가 되어도 서로의 시간을 무지의 상태에서 다 겪어보아도, 아마 절대 온전하게 알 수 없을 것이다. 그러니 우리만의 이해를 해야 하는 것이겠지.


그리고 문득 ‘찰나가 영원이 될 때’라는 노래 제목처럼 영원은 어느 순간이 영원하게 될 때를 말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나 감히 영원의 본질도 이해하지 못한 채 원망했구나 싶다. 영원할 수 없는 것도 영원히 계속되고, 영원하리라 하던 것도 영원할 수 없다는 게 영원이니까.

나의 또 다른 시에는, 영원하지 못하더라도 '다시'를 약속해달라고 하지만 그 약속이 영원히 변치 않기를 바래서, 영원한 것을 바라지 않으려 하다보면 또 다시 영원을 바라게 된다는 구절이 있다. 영원은 구속하고 바라는 게 아니라는 걸 이렇게 뒤늦게 깨우친다.


물고기자리는 신화를 모티브로 두 물고기가 튀어오르는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별자리 이름이다. 나는 그 별자리가 민들레 홀씨 터트려놓고 바람에 흩날리지 않고 버티는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또 나만의 신화를 써내려 가본다.

영원하지 않아 아름다운 예술과 영원에 가까워서 추앙받는 다이아를 생각해본다. 그러나 모습이 변하지 않으면 그 가치나 의미가 변하고, 모습이 변해도 그 가치나 의미가 변하지 않는 것도 생각한다. 변질도 영원의 과정이라 생각해본다.


나의 사랑, 나의 부모님은 영원치 않으나, 나에겐 영원히 사랑하는 가족임은 영원한 것이라고 생각하며, 중요한 것은 그것이라고 깨달은 9월 2일.

이전 01화 9월의 첫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