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roana Dec 03. 2024

독서, 취미의 발견 2편

고등학교에 올라와 우연한 계기로 내 관심 분야는 한 순간에 전환점을 맞았다. 고2 때였나 보다. 우연히 '토드 부크홀츠' 작가가 쓴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라는 책을 읽고 나는 마치 무엇에 홀린 듯 경제도서에 빠지게 었다. 애덤 스미스, 케인즈, 마르크스, 밀턴 프리드만 등 그들의 생애와 철학을 접하는 것에 막대한 관심을 쏟아냈다. 선택과목은 경제였으며 원하는 과도 당연히 경제학과 였다. 지금 생각해보면 신의 한 수로 평가 받을 정도로 나는 극적으로 경제 상식을 교양으로 삼을 수 있는 밑거름을 지닐 수 있었다.


대학교에서는 경제 도서, 더 나아가 사회과학 분야 책을 다양하게 읽어가던 시기에 맞춰 신문 읽기, 경제 라디오를 종종 청취 및 구독했다. 이러던 중 관심 분야는 조금 더 깊숙해져 금융 관련 쪽으로 향하게 되었고 이는 실용학문인 회계를 접할 수 있는 기회로까지 확대 되었다. 반면에 학교의 교양은 또 죄다 철학 관련 수업으로 도배를 했다. 서양 철학사, 미술사, 동양 철학사, 사회와 윤리 등 세상을 알아가는 기본 질서, 어떤 법칙 등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했다. 경제학자들은 사회 현상을 경제 논리로 풀어간다는 꽤 그럴듯한 이유(?)가 있었다는 데 도대체 철학을 논하는 사람들은 무슨 생각으로 그리 어려운 용어를 써가며 자신들만의 세상 법칙을 만들려 했는지 궁금했다. 이는 또 정치의 영역으로 까지 확대 돼 자연스럽게 시사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가져다 주었고 팟캐스트 '나꼼수'는 이러한 내 행위에 불을 지핀 결과가 되었다.


생각해보면 대학교 때(또는 그 이후에도) 수많은 철학서(주로 철학서의 흐름, 또는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등을 읽으면서 나는 어떤 가치관으로 살아야 하는지에 많은 고민을 했던 것 같다. 내가 움직이는 동력은 무엇이며 원하는 가치관을 얻기 위한 삶을 살아야 할지, 아니면 다양한 가치관들에 중립을 지키는 삶을 살아야 하는 지 등 삶을 지탱해줄 나만의 것을 찾는 것에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나름대로 블로그에 삶의 기준 또는 어떤 원리로 내가 가치판단을 하는지에 관한 생각들도 종종 옮겨봤다. 그러던 중 읽었던 유시민 작가의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책을 통해 존경해온 인물의 가치관과 내 생각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살아가는 데 있어 나만의 기준이란 것들을 조금씩 정립하고 있다.


사회과학 도서(주로 경제도서지만)를 제외하면 현재 내가 읽고 있는 책의 대부분은 에세이다. 20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부터는 현상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 보단 개인의 삶 자체를 다룬 책에 더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인물이 보고·듣고·경험한 것을 글로 적어 그들의 생각을 접할 수 있는 것이 나에게 큰 위안을 주고 많은 공감을 불러 일으킨다. 우울할 때는 우울한 책, 기쁠 때는 즐거움을 주는 책, 게으른 삶에 자극이 필요할 땐 인물의 성공 스토리를 읽어가며 그들을 마음 속 심리 상담가로 받아들인다. 소설을 읽진 않아 상상력이 자극되진 않아도 지친 삶에 새겨진 상처 정도는 가볍게 치유할 수 있는 내적 항생제는 꽤 센 편이다. 어쩌면 독서 활동이 내게 있어서는 외로움을 달래주면서도 겸손함을 유지하는 내성적인 친구라는 생각마저 든다.


한바탕 부모님간의 물고 뜯기는 혈투가 끝나고 나면 종종 내 멘탈은 부서지기 일쑤였다. 흔한 부부싸움일지라 하더라도 어린 나이에 마주한 잔혹한 현실들은 절대 모두가 같을 수 없었고 그 '엿함'은 결코 수치화가 되지 않는다. 이런 나를 다독였던 건 게임도 아니요, 영화, 스포츠, 친구와의 수다도 아니다. 도서관에 가서 관심 가는 분야의 책 제목과 목차를 넘겨보는 행위야말로 나에게 큰 위안을 주었고 삶의 여유를 느끼게 해준 순간들이었다. 어디를 갈 때는 늘 몇 권 챙겨야 안심이 생길 정도로 책은 나에게 일종의 애착 인형이었다. 글을 쓰고 있는 노트북 옆에도 에세이 권이 놓여 있다. 서점에는 5권의 책을 빌린 상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