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리탐험가 김홍채 Mar 16. 2022

주관적 의미의 구축을 강조한 커리어 구성 이론

커리어 구성 이론(career construction theory)- 1

[커리어 구성 이론(career construction theory) 개요]


 사빅카스(Mark L. Savickas)의 커리어 구성 이론(career construction theory)은 파슨스, 홀랜드 등의 커리어 특성요인론 그리고 수퍼의 커리어 발달이론 등을 통합 발전시킨 것입니다. 특히 구성주의/구축 주의 (Constructivism), 맥락주의(Contextualism) 등의 개념도 받아들여 의미, 해석, 이야기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 커리어 구성 이론은 변화가 심한 최근의 사회현상을 반영하여 현대의 직업인의 일하는 방식에 걸맞은 유용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커리어에 대한 사비카스의 입장은 Career as carrier of meaning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직업 행동에의 주관적인 의미부여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경험에 의미 부여하고 앞으로의 직업인생에 자기 나름의 새로운 의미를 추구해 나간다고 하는 일련의 과정이 커리어라고 하는 것입니다.


 사비카스는 여러 가지 커리어 발달이론을 통합하여 자신의 이론을 확립했습니다만 여기서는 2가지 주요한 것만 소개합니다.


(1) 도널드 수퍼의 커리어 발달이론


 수퍼의 초기 주요 이론인 직업 발달이론은 전통적인 특성요인 이론에 기반한 직업심리학에 발달적 관점을 추가한 것입니다. 그 후 수퍼는 자기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한 발달적 자기 개념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나아가  life span, life space이론에서는 위의 두 가지 이론을 통합하여 개인이 여하히 인생의 역할 속에서 일을 위치시키고 개인적인 가치관을 충분히 반영시킨 인생을 살아가는가 하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바탕 위에 사비카스는 수퍼의 이론을 통합하면서 21세기의 커리어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이론 속에 포함시켰습니다.  그것은 개인이 정체성을 잃어버리지 않고 여하히 변화하는 조직과 직업과의 타협을 해나가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현재 노동자는 글로벌한 노동력의 이동과 직업 리스트럭쳐링, 다문화적인 관리 통제에 직면해 있고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사비카스는 특정의 조직에 오래 몸담고 있으면서 공헌을 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고 조직과 직업의 변화를 전제로 한 유연성을 중시하는 커리어의 구축을 노려야 한다는 것을 주장했습니다.


(2) 사회적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


 사비카스는 커리어 구성 이론의 메타 이론으로서 사회적 구성주의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구성주의에서는 자연과 자기자신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설명이라고 하는 것은 사회 과정의 산물일 뿐이고 사람들 사이에서 구성된 것이다라고 생각합니다(McNamee & Gergen, 1992).


[참고] 구성주의 (構成主義, Constructivism): 교육심리학이나 교수 설계에서 구성주의 (Constructivism)는 인간이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지식과 의미를 구성해낸다는 이론이다. [구조주의(Structuralsim)와 다르다. 주의할 것)]

구성주의는 학습을 인지구조의 재구성이라고 보는 것이다. 인지구조를 재구성할 때 요인으로는 개인의 경험을 결정하는 사회문화적 요인, 개인 특유의 경험, 생물학적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사회문화적 요인을 강조하는 것이 사회적 구성주의 분파이고, 개인 특유의 세계 인식과 단절성을 강조하는 급진적 구성주의 분파, 이렇게 현재는 두 구성주의의 흐름이 나타난다. 그러나 상호보완적인 면에 주목하는 학자(Cobb)들도 많이 있으며, 응용된 교육학 분야에서는 두 구성주의의 보완적 접근이 강조된다.

사회적 구성주의(社會構成主義, social constructivism)는 인간의 사회적 현상이나 의식이 사회 속에서 인간과 다른 사람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는 이론이다.(위키백과)


 사비카스의 커리어 구성 이론에 있어서도 지금 일어나고 있는 사건의 해석과 개인이 놓여 있는 환경 등 사회와의 관계성에 대한 나름대로의 구성을 중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커리어는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것입니다. 주관적인 커리어는 단지 직무경험의 연속이 아니라 과거의 직업경험과 현재의 경험을 돌아보고 재정리함으로써 그 경험에 개인적인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주관적인 사실을 재 구성하는 것으로 만들어지며 나아가 장래의 전망에 연계하는 것을 포함한 것입니다.

 개인은 스스로 커리어를 스토리텔링함으로써 Narrative Truth(현실과는 다소 다를지라도 충분히 의미 있고 믿을 만한 내용)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나아가 사비카스는 성격이론을 구조화하기 위해 McAdams(1995)가 제시한 3가지 관점을 차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여러 커리어 발달이론을 통합하고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


McAdams(1995)는 삶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탐색할 수 있는 내러티브 정체성을 제안하였다. 내러티브 정체성(narrative identity)은 “과거를 재구성하고, 현 재를 수용하며,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통합하여 삶에 통일감과 목적, 의미를 제공하는 자기 내적인 이야기(McAdams, 1995, p. 365)”를 의미한다.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접근은 두 가지 측면에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첫째, 내러티브는 자기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자기가 누구인지를 이해하게 하고, 둘째, 자기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변화해가는 시간 속에서 과거를 재해석하고 과거의 경험들을 현재의 자기와 의미 있게 연결함으로써 자기반성이 나타나게 되며 이는 개인의 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 특성으로서의 개인차(individual differential in trait)


어떤 직업이 자신에게 적합한가라고하는 것은 직업 행동에 있는 ‘what’의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고 ‘직업 퍼스낼러티’에 의해 개인차를 다룬다.


2. 발달과제와 대처 방략(developmental tasks & coping strategies)


어떻게 하여 직업을 선택하고 적응해 나갈 것인가, 즉 어떻게 하여 직업상의 발달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태도나 능력을 발달시킬 것인가 하는 것은 직업 행동의 ‘how’ 측면이고 이것을 ‘직업적응성 career adaptability’로 설명한다.


3. 심리 역동적 동기부여(psychodynamic motivation)


왜 나는 그러한 직업을 선택하는가, 왜 일을 하는가 라는 것은 직업 행동의 ‘why’ 측면이고 이것을 ‘라이프 테마 life theme’로 설명한다.


커리어 구성 이론(career construction theory)- 2에 연결됨

매거진의 이전글 커리어(Career)와 생애발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