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슬 Dec 25. 2023

"경천철에 발그스레한 애벌레가 기어 다니는 것 같다."

성탄절을 보내면서...




고층에서 내려다보니 경천철에 발그스레한 애벌레가 기어 다니는 것 같다. 그 밑 도로에는 나무사이에서 가려져선 다시 나타나곤 하는 차들의  불빛이 반딧불이로 보인다. 반대방향의 차로엔 꽁무니에 빨간 불빛을 매단 반딧불이다.



나이가 든다는 것은 점점 감정을 숨기면서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



성탄이브가 되면 늘 교회에서 축하 공연을 했다. 학창 시절엔 연극과 노래를. 직장인이 되어서는 주일학교 교사가 되어 내가 했던 것을 가르치고 무대에 올렸다. 때론 끼를 죽이지 못하고 독무대로 1인 [기창이]라는 인물로 태어나 성도를 울고 웃기기도 했다. 친구네에 갔다가 초중학교 시절 성탄극이 끝난 뒤 강대상에 모여 브이를 그리며 찍은 사진들이, 내가 얼마나 많은 공연을 했는지 알게 됐다. 예수 그리스도, 동방박사, 마리아, 요셉이 항상 등장하는 그런 형태였다. 잊히지 않는, 없는 사진의 한토막은 국민학교 2학년인데 누군가 빌려준 교복을 입고- 한 5학년은 되어 보이는 덩치로 어깨에 닿는 긴 단발로 -무대 중앙에 서서 합창을 하는 모습이었다. 누가 흰 와이셔츠에 무릎 약간 위에 올라가는 검정 교복 치마를 빌려 줬을까.


성탄이브가 되면 시골교회에서는 주일학교 친구들의 모든 집에 새벽송을 하러 다녔다. 할머니는 통이 커셔서 새벽에 5-6명이 우리 집 대문에서 노래를 마치고 나면, 라면을 끓여서 큰 노랑 양동이에 담아서 안방에 갖다 놓고 모든 친구들을 다 불러서 먹였다. 친구들이나 인솔자 어른은 정말 좋아하셨다. 맛은 말할 것도 없다. 라면도 귀하던 시절인데 어디서 그렇게 많은 라면을 끓여내셨는지 모르겠다. 교회에서도 우리는 불우이웃에 속해서 너구리같은 라면을 박스채로 갖다 주기도 했다.



참으로 마음이 쓸쓸한 성탄연휴에 이렇게 꺼낼 추억이라도 많아서 다행이다. 브런치에는 모든 이야기를 다 꺼낼 수가 없다. 내 마음이 어디에서 흐르고 있는지, 어디를 다녀왔는지, 어린아이처럼 얼마나 울고 돌아다니는지. 어른이 되면 아무대서나 울 수도 없다. 불과 얼마 전인데도, 이제는 사람들 앞에서 눈물을 흘리는 아이처럼 성장하지 못한 채 머무른 행동을 할 수도 없다. 상대적인 박탈감은 더 크다. 여기저기 돌아다녀도 더 그렇다. 돈은 있다가도 사라지지만 사람과의 관계는 더욱 그렇다. 모든 게 내 탓이다. 한번 끊어낸 관계는 회복하고 싶지도 않다. 참으로 쓸모없는 생각으로 침잠하는 나를 본다.



5-7분여 사이로 움직이는 경전철이 보이지 않는다. 반딧불이처럼 꽁무니에 불빛을 단 자동차도 이젠 아주 드문 드문이다. 라디오 디제이는 생뚱맞게 혼자 떠들고 웃고 있다. 다들 디제이들이 생방송으로 일하고 있다고 떠들어 댄다. 그리고 커피쿠폰과 케잌 쿠폰을 쏜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해해줘.. 신경 너무 쓰지 마. 다 자기 밥줄이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