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진채 Sep 13. 2023

괜찮으시죠?

“괜찮으시죠? 

내가 철들 무렵까지도 이건 우리 사회에 조석 간에 주고받는 일상적인 인사였다. 5.16 후에도 한참이나 이런 인사를 주고받은 것으로 기억한다. 이 말을 뜯어보면, 내용 불문하고 무슨 일에 관계하지 않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괜찮다는 단어는 ‘관계하지 않았다’라는 준말이라 했다. 이어령 교수의 글에서 알게 된 지식이다.

내막을 알았던 몰랐던 관계한 일이 잘못되면, 아니 잘못 엮이기라도 하는 날이면 숱하게 안녕하지 못한 일이 수시로 벌어지던 시절이었다. 당연히 보신(保身)의 가장 확실한 방법은 눈을 감고 사는 것뿐이었을 것이다. 그에 더해 나 말고, 나하고 가까운 저 사람이 어떤 일에 관계한 것으로 몰리면 자신도 한 그물에 쌓인 물고기가 될 수 있어서 항상 확인할 수밖에 없었겠다. 

그래서 상대의 안녕도 궁금하고, 저 사람 때문에 내가 괜찮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섞인 확인이 일상의 인사가 되었다는 슬픈 해석이었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이어령 교수님의 이 책이 내게 미친 영향은 대단했다. 내가 젊었다기보다는 어렸을 때 아는 사람의 집에서 이 책을 잠시 읽었다. 그리곤 심한 충격을 받았다. 

그때는 내가 부산에 살던 때라 묻고 물어서 보수동 헌책방 골목을 찾아가서 그 책을 샀다. 그 후 주머니에 돈이 있으면 정말 열심히 보수동으로 달려갔다.     

 

그렇게 책을 열심히 읽을 시절에는 나도 글 쓰는 사람이 되고 싶었는데 결국은 관계하지 못했다. 그래서 지금도 여전히 그 부근을 배회하면서도 감히 관계치 못하고 있다. 

그때 내가 소설을 쓰겠다고 머리띠를 동여매고 골방에 주저앉았더라면, 그때 이미 알고 지내던 지금의 마누라님도 안녕이 전혀 장담할 수 없었을 것이다.  

    

작년에 대통령이 새로 선출되고 그 대통령이 탄생하는데 일등 공신인 어느 사람에게, 새로 탄생한 높은 분의 최측근이 ”아무 말 않고 있으면 아무 일도 안 생긴다“고 해서 듣는 사람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었다. 입을 닫고 있지 않으면, 그러니까 관계하고 나서면 무슨 일이 생길지 장담할 수 없다는 뜻으로 읽혀 등골이 서늘했다. 그때 깜냥도 안 되는 나도 내 입을 슬그머니 만진 적이 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그런 느낌이다.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무슨 일이든 관계해서는 안 되고 무슨 일이 있더라도 함부로 말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이, 동해 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지켜져야 할 신조(信條)가 된 것일까? 앞으로도 계속 그 전통이 이어질 것인가?     




 

작가의 이전글 안쓰러운 유산(遺産)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