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란하마 Sep 03. 2021

사랑에 대한 단상

- 사랑이 뭔데?

  사랑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지만 한자어 사량(思量)에서 왔다고 하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상대를 생각해주는 것, 그게 사랑의 본질이라는 면에서 동의가 됩니다. 사랑은 배려하고 강요하지 않는 것이니까요. 

  사랑은 무엇보다 관념보다 그것을 행하는 행위에서 의미를 드러내기 때문에 사랑이 뭐냐? 할 때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전적 정의보다는 실제로 실천하는 데서 찾는 게 중요합니다. 우리가 사랑을 이야기할 때도 대개의 경우는 사랑이란 관념보다는 사랑의 행위에 초점을 맞추기 마련이죠. 관념은 그저 거들 뿐입니다. 그래서 가끔은 [sarang]이란 기호에 대해 유감이 있습니다. 사랑의 행위가 [sarang]이란 기호에 편의적으로 갇히게 되다 보면 사랑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지나치게 단순화시키고, 때로는 왜곡도 하게 됩니다. 더구나 관념의 유희가 되거나 말의 잔치에 머물게 되기도 하죠. 아가페나 에로스나 다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니까 [sarang]의 말은 아주 가볍고 사소하게 하고, 행동은 무겁고 진지하게 하는 게 사랑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거라 생각합니다. 

  관심은 선택입니다. 호기심은 도박적인 기대죠. 호기심은 도박적인 기대이기 때문에 따뜻한 눈빛에 차가움도 함께 동반합니다. 사랑은 관심과 호기심을 뛰어넘습니다. 시시함도 단점도 다 포용하죠. 그래서 어느 한순간 운명적으로 오는 게 아니라 참고 기다리면서 상대를 배려하며 키워가는 거라고 봅니다. 사랑이 한순간 운명적으로 오는 것이라면 오랫동안 참고 기다리면서 사랑을 키워온 분들한테는 미안하죠. 

  그렇게 이룬 사랑에도 어떤 잔인함이 있습니다. 어느 순간 증오로 바뀌는 건 시간문제죠. 그게 사실이 아닐지라도 그걸 사실로 만들어버려야 하는 이유는 그러고 나면 파국이 왔을 때 덜 상처 받게 됩니다. 덜 상처 받게 하는 것도 자신을 사랑하는 일입니다. 세상에서 자신을 사랑하는 것만큼 중요한 일도 없습니다. 

  금요일입니다. 코로나 시국에도 저녁이 되면 강남 사거리와 홍대입구, 그리고 대학로에는 청춘들이 나누는 사랑의 밀어들로 시끌벅적하겠죠. 그게 자신과 관계없는 일이고 보면 하나의 소음에 지나지 않습니다. 뜨거운 그들에게 ‘에잇! 결혼이나 해버려라.’ 악담을 퍼붓고 싶기도 하죠.    

  사랑이 모든 걸 해결해주지도 않고, 그게 구원도 아니지만 그래도 아무리 사소한 거라도 거기에 슬쩍 한 번쯤 희망을 걸어보는 게 또한 사랑이 아닐까 싶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