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의택 Jul 07. 2023

사용자 정성 데이터 분석법

정성적 경험 데이터의 분석과 시각화 방법

요즘 IT 매거진에 기고한 내용입니다.


사람은 언어라는 고유한 매개체를 통해 생각하고 소통합니다. 사용자는 이러한 언어를 이용해 말이나 글로 우리 서비스에 대한 그들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데요. 우리는 인터뷰나 온라인에 남겨진 고객의 소리(VOC)를 수집해,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의 어떤 부분이 불편하고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내곤 합니다.


이렇듯 주로 텍스트로 이루어진 정성 데이터(Qualitative Data)는 새로운 서비스를 기획할 때 사용자의 니즈를 탐색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재의 서비스를 개선하는 과정에 활용되는 것과 같이 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폭 넓게 활용됩니다. 특히 정성 데이터는 수치적 정보를 제공해 주는 정량 데이터에 비해 사용자와 그들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풍부한 맥락적 정보를 제공해주는데요. 이러한 정성 데이터 분석을 통해 우리는 사용자를 깊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이번 글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정성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고 시각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고객의 소리 <출처. Freepik>

자세한 내용은 아래 요즘IT 원문에서 무료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109/


매거진의 이전글 사용성 평가로 생생한 유저 피드백 수집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