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eo Jan 23. 2024

스타트업에서 핵심인재는 떠나게 되어 있다.

< 핵심인재의 기준이 잘못정해져 있다?...>

핵심인재를 선정할 때 가장 잘못평가되는 척도가 있는데 "히스토리"와 "업무독점"에 대한 부분입니다.


이 선정 기준에는 C-level, 초기멤버, 오래 일한 사람 등등 해당 인원들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비스에 대해 애정을 가지고 정말 노래를 틀어주는 주크박스 마냥 툭 툭 툭 튀어나오는 사람이 아닌 이상에야 겉 핥기 식으로 히스토리를 꿰고 있다고 해서 이 사람들이 핵심인재라고는 볼 수 없는데도 말이죠.


그리고 정보를 독점하여 과식하는 사람 역시 그 과식을 소화제를 쓰지 않고 잘 풀어 나가며 공유하는 사람이 아닌 이상에는 정보의 독식으로 정보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핵심인재라고 할 수 없습니다.


< 그럼 핵심인재의 기준은?...>

필자가 생각하는 스타트업에서의 핵심인재는 "아이디어에서 그치지 않고 그것을 실행해 성과를 만들어 내는 사람", "조직에 대해 건강한 네거티브 할 수 있는 사람"의 두 가지를 겸비한 사람이 가장 핵심인재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조직에 건강한 네거티브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스타트업에 꼭 필요한 핵심인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은 투자를 받으면 받을수록 그리고 조직이 커지면 커질수록 자신들만의 영역을 생성하는데 이때부터 "정치"라는 것이 시작됩니다.


"우리 조직은 정치 같은 거 없어요"라고 자신 있게 얘기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그럴 리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조그마한 시골동네에도 10~20명의 인원이 서로 파벌을 나누고 이장을 선출하는 세상인데, 무슨 짓을 해도 생겨나는 게 자신들의 밥그릇을 지키기 위한 싸움이고, 이는 스타트업에서 특히 알게 모르게 이미 진행되고 있고 그 부분이 이미 엄청나게 고여 있을 가능성은 누구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정치"라는 것을 박살 내기 위해서는 실행해 성과를 만들어 내는 함양은 기본으로 볼 수 있고 필자가 말한 이 건강한 네거티브를 하는 사람은 정말 조직에 모든 융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키맨으로서의 인재라고 생각합니다.


� 그렇다고... 네거티브만 하는 사람이 핵심인재는 아니니 명심하시길.... (그건 그냥 불만이 많은 사람입니다.)


< 이것에 답할 수 있으면 핵심인재를 붙잡을 수 있다.>



1. 핵심인재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해서 책임과 소명을 가지고 일할만큼의 전권을 가지고 있는가?

2. 성과를 냈을 때 해당 핵심인재가 원하는 만큼의 보상을 타 업체보다 줄 수 있는가?

3. 회사의 성장 그리고 개인도 끊임없이 성장을 추구할 수 있는가?

4. 몰입할 수 있는 조직문화와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가?


위에 답에 "네"라고 대답할 수 있다면 핵심인재는 회사를 떠날 이유가 없습니다.


문제는 위에 해당하는 질문에 "네"라고 답할 수 있는 스타트업은 4%를 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네"라고 답할 수 있음에도 떠나는데 이유가 뭘까? >

2번의 경우는 회사의 재정상황에 따라 당연히 갈릴 수 있으나 이 부분 역시 줄일 것을 줄이고 인재에게 투자해야 하는 부분으로 본다면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이 부분을 오히려 더더더 줄여야지 하는 순간부터 인원들의 이탈은 가속화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준 것을 뺏는 것만큼 나쁜건 어린아이도 알기 때문이죠.. 성과를 냈음에도 보상이 없음에 누가 그 회사에 남아 있을까요?


나머지 1, 3, 4를 놓고 보면 해당 답은 이미 내부에 있을 것입니다. "개별화"와 "비전 및 가치"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끝없는 성장을 이야기하는 공간에서 "성장"이라는 단어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 일을 하고 쳇바퀴처럼 돌고 있음에도 기업과 내가 성장이 멈춰져 있는 공간에 있다면 누가 그 기업에 내 커리어와 인생을 투여할까?라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보면 답이 나와 있다고 봅니다.


보상은 기본으로 중요한 부분이고  "성장"과 "비전"이라는 것은 정말 끝없이 경영진이 고민하고 투여해 줘야만 사명감을 가지고 회사에 투여할 수 있는 부분이고, KPI/OKR을 하고 있으니 끝이다라는 생각은 버리시고 처음부터 다시 고민하시기를 바랍니다.


< 그리고 또 간과하고 있는 것이 있을까?...>

대부분의 C-level들이 간과하는 것이 있는데 개발자를 제외한 나머지 인원은 무조건 대체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특히 가장 위험한 인원을 직무로 나눠보자면 "서비스운영" 인원은 언제든지 대체할 수 있고 시장에도 널려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는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소리, 즉 현장에 기반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위기대응능력이 최우선 적으로 있어야 잘 운영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타트업이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완벽히 갖추지 못한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한 명의 실수나 착오가 조직에게 엄청난 타격을 주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설계하는 사람도 중요하지만 이를 운영하여 효율적 관점을 전달해 주는 “운영” 인원은 정말 중요한 인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명, 한명의 인재는 누구도 대체할 수 없으며, 그 인재는 회사에 발을 들이기 이전부터 회사에 많은 정보를 취득하고 준비를 통해 입사한 인원이라는 것을 명심하셨으면 합니다.


✓ 마치며

스타트업이 망하는 이유를 BM 증명 불가와 자금부족으로 많이들 이야기하지만 핵심인재의 이탈로부터 이어지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핵심인재의 이탈은 조직의 파열음을 내고 회사의 성장을 더디게 할 수도 있으며 스타트업 업계는 너무나 좁기에 핵심인재의 이탈의 소문은 회사의 이미지를 훼손해 추가 인재를 확보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스타트업의 핵심은 늘 "인재라고 생각합니다.


무슨 짓을 해서라도 그 인원이 핵심인재라면 "어쩔 수 없지"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저 인원을 남길 수 있을지 고민하시고 실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작가의 이전글 2024년 CES를 돌아보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