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록빛 Nov 17. 2022

똑똑한 부모보다 칭찬하는 부모

유연근무하는 아빠

아빠생각, 똑똑한 부모보다 칭찬하는 부모가...


똑똑하지만 불안해하고 의심하는 부모보다는, 부족하지만 무한정 칭찬해 주는 부모에게서 훌륭한 아이가 나오는 건 아닐까?


아빠는 아침 출근길에 ebs라디오를 듣습니다.


오늘은 아이의 피아노레슨을 지켜보는 아이엄마에 대한 내용입니다. 

집에서 아이의 피아노 교습을 지켜보다가, 아이엄마도 선생님의 권유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데, 피아노를 배우는 이유가 놀랍게도... '아이가 잘 치고 있는지.. 실력이 어느정도인지.. 이 부분에서 틀린 지, 맞는 건지.. 알려면, 엄마도 피아노를 듣는 귀가 있어야 한다'라는 니다.


라디오를 듣다가 아빠는 생각합니다. 아이를 키우며 변화된 내 생각들, 그 전에 내가 아이에게 했던 후회들이 뇌리를 스칩니다.


이가 피아노, 바둑, 태권도, 그림 ...등을  재미보다는 콩쿠르, 시합, 대회를 목표로 한다면,  예민하게 귀를 열고 아이가 어느부분에서 틀리는지, 어느부분이 약한지, 저건 저렇게 하면 안 되고..하며 분석을 해 주어야 할겁니다. 그래야 그 다음에 그런 실수를 안 하겠지요. 아이를 잘 가르치려는 부모의 뜻이 이해가 됩니다.


근데, 부모가 아이에게 지나치게 관심을 갖는다면, 아이의 부담은 얼마나 클까요? 또 부모는 아이를 위해 이 부분이 틀린 것 같고, 저 부분은 이렇게 하는 게 맞지 않냐며 지적을 한다면, 그게 정말이지 아이에게 도움이 될까요? 독이 될까요?


또 부모가 귀를 열고 아이가 치는 피아노를 맘속으로 따라 친다면 그 부모님은 얼마나 힘이 들까요? 아이가 배우는지 부모가 배우는 건지 헷갈릴정도가 된다면, 부모의 피로도가 얼마나 크겠고, 다 사람인지라 그 피로도가 자연스레 아이에게 화로 전가된다면 그게 아이에게 도움일까요? 안하느니만 못한 걸까요?


상황을 좀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본 면이 없지 않긴 합니다. 물론, 엄마아빠가 아이에게 잘 한다~ 잘 한다~ 우리아이 잘 한다~ 잘한다~ 잘한~다 라고 무한 칭찬을 해 주면서 아이의 일거수일투족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보인다면 그보다 좋은 게 없을 것입니다. 그렇게만 할 수 있다면 최고입니다.


그런데 사람이란 게 참 우습습니다.


모르면 가만히 있는데, 알게 되면 아는 척을 하고 싶고 잔소리가 툭툭 나도 모르게 튀어 나오게 되니 말입니다. 부모가 모르면, 내가 모르니 해 줄 말고 없고 내 아이가 그저 천재인 양 잘 하는 것처럼 보이고 그래서 그져 믿고 지켜보게 됩니다. 자연히.


그러나, 부모가 알면, 아이에게 이 부분 설명해 주고 싶고 저 부분도 알려주고 싶고 그런 마음이 생깁니다. 비록 아이에게 멋져보이거나 잘난척 하려는 게 아니라도 아이가 이거 알았으면 저거도 덤으로 알았으면 하는 욕심이 생겨서 입니다.


그게 부모의 마음인데 문제는 그걸 자식이 바다와 같은 부모의 깊은 뜻을 모른다는 겁니다.

아이는 참 순진합니다. 그 고마운 마음을 모릅니다. 귀에 거슬리는 잔소리로 받아들입니다. 재밌게 하고 있는데 그 재미를 딱 멈추게 하는 지적으로 받아들입니다.


아빠엄마는 나한테 화만 낸다고 합니다. 화를 내지도 않았는데, 나한테 지적만 한다고 합니다. 칭찬은 안 해 준다고 합니다. 예전 아이가 아빠에게 많이 했었던 소립입니다.

@


ebs 라디오에 그런 프로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판소리, 승무, 가야금 등 명인 또는 무형문화재 명인들을 인터뷰하며 그분들의 살아온 삶을 조명하는 라디오 프로.


한 명인이 그럽니다.

"예전에...보통은... "엄마, 저 밖에 무당 굿하는 것 배우고 싶어요. 승무하는 게 배워보고 싶어요. 판소리 배우보고 싶어요~ 라고 하면, 여자 애가 그 딴따라 들이나 하는 걸 왜 배워? 못 써. 공부해야지~" 라고 하는데, 제 엄마는 장사만 해서 그런  잘 몰라서 그런지 "그래? 한번 해 봐라. 우리 딸 뭐든지 배워봐라, 잘 한다~"라고 해 주셨던 게 지금 생각하면 내가 행운아였구나 생각하게 되더군요." 고 하였습니다. 그 아이는 엄마의 지지속에서 자심감있게 이것도 배워보고 저것도 배워보고 하여 나중에 한국의 가야금 명인이 됩니다. 좋은 대학은 덤으로 가게 되었고.


이 이야기를 듣고 아빠는 생각합니다.


혹시 어쩌면 똑똑한 부모보다는 다소 부족하지만 아이를 믿고 지지해 주는 부모 밑에서 훌륭한 아이가 나오는 건 아닐까? 똑똑하지만 불안해하고 조급해하고 남과 비교하고 의심하는 부모보다는 부족하거나 어리숙한 부모에게서 훌륭한 자식이 나오는 건 아닐까?


모르면 모른다고 하고, 알더라도 모른 척 아이를 기다려주고 믿어주고, 또 알더라도 감정을 빼고 힘을 빼고 알려주고, 알려주는 거에 10% 폭풍칭찬해 주는 거 90%로 아이를 대하는 부모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똑똑함과 불안함, 조급함, 지적과 비판은 아이가 성장하는 힘을 기르는 초등, 중등, 고등 청소년기에 독이 되면 되었지 득이 될 수 없습니다. 우연히 어떤 한 아이가 그렇게 성공했다 해서 그걸 전부가 다 그렇다고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아야지 싶습니다.

@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어른인 내가 뭔가를 배우고 있는데, 옆에서 이건 이렇고 저건 저렇고.. 옆사람이 도와준다고 하는 얘기가 내게 고맙게 들리던가요? 아~ 고마워라~ 그런 생각이 들던가요? 아님, 지적질로 들리고 짜증이 나고 칭찬을 해 줘도 될 까 말 까 하는데 왜 지적질을 하고 난리야? 한창 재미 부치려 하는 참이었는데, 흥미 딱 떨어지게 하고 그래? 이런 생각이 들던가요? 어른도 그런데, 아이도 똑같을 겁니다.


아빠는 생각합니다. 그져 아이가 재밌게 뭔가를 하도록 해 주고 싶다. 그져 잘한다, 잘한다, 우리아이 잘한다, 뭐 또 해 줄까? 우리아이 재능이 있나 보네. 대단한데~ 라며 기를 세워주고 싶다고. 지적하지 않아야겠다. 칭찬을 아낌없이 주어야겠다.


2022-가을


사진 픽사베이


매거진의 이전글 비교하면 안 된다. 다양성을 인정해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