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음악 선호를 결정하는 내 몸 안의 유전자 프로그램

음악에 희열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생존과 번식과는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음악이 인류와 지금까지 이어지고 희열을 느끼는 이유는 과학계의 수수께끼이다. 이런 사람에게 음악을 들려주면 뇌의 활동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인간은 음악을 들으면 뇌의 청각회로가 보상회로를 자극하여 즐거움과 기쁨을 느끼게 해준다. 음악이 뇌 보상회로를 자극하는 방식은 음식, 돈, 술, 중독성 물질이 자극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다.


어떤 사람에게 음악이란 지루하고 시끄럽고 혼란스런 것이다. 어떤 사람에게는 음악을 인생의 전부일 정도로 좋아한다. 음악에 흥미나 쾌감을 갖지 않고 무감각한 것을 음악적 무감증세(musical anhedonia)라고 부르는데, 전 세계 사람의 3~5% 정도가 이에 해당된다고 한다. 이러한 차이는 선천적인 면도 있고 후천적인 요인도 있을 것이다. 모든 사람이 음악을 좋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음악적 재능도 차이가 있다. 리듬감이 좋고 박자를 잘 맞추는 사람은 어릴 적부터 배운 것이지만 일부는 선천적인 요인도 있다.


음악에 대한 선호도는 뇌 구조와 관련이 있다. 청각피질과 보상회로 영역인 선조체의 연결성이 음악의 선호도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가 그 점을 시사한다. 뇌 구조에 따라 어떤 사람은 음악을 아주 좋아하고 어떤 사람은 관심이 없다.


몸치나 음치인 사람이 노력해도 잘 안 된다면 유전자 탓이다. 2022년 박자를 잘 맞추는 것과 관련된 69개의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리듬감을 결정하는 유전율이 15% 내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유전의 대부분은 뇌에서 나타났다. 음악성이 뇌가 선천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소리는 신체 크기와 호르몬에 의해 형성된다. 그래서 여자의 목소리가 높다. 목소리는 관련 유전자의 영향도 받는다. 인간 목소리에 대한 최초의 대규모 유전자 연구결과 성별에 관계없이 고음의 목소리와 관련된 하나의 유전적 요소가 확인됐다.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bq2969


절대음감(perfect pitch)을 가진 사람도 유전적인 요인이 클 가능성이 크다. 10년 이상 음악교육을 받은 사람과 일반인의 청각피질 크기가 차이는 나지 않는다. 그런데 모차르트, 베토벤, 바흐 등 음악재능을 가진 사람은 청각피질이 약 50% 더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청각피질 크기와 절대음감이 유전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음악 장르는 각양각색이다. 성격과 좋아하는 음악도 관련이 있다. 다른 사람을 잘 이해하고 공감하는 사람은 포크음악 같이 감미롭고 부드러운 음악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다.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사람은 펑크, 헤비메탈 등과 같은 난해한 음악을 좋아하는 성향이 높다.


난 음악을 잘 못하고 희열을 별로 못 느낀다. 산골에서 자라 음악을 접할 기회가 없었다는 환경적인 요인도 작용했을 것 같다. 유전적인 면은 말 모르겠다. 음악을 모르니 음악에 대한 ‘열등감’ 같은 것이 늘 있어왔다. 점점 클래식음악이 좋아진다. 그것도 유전적인 면이 있는지 모르겠다. 노래를 부르고 악기를 다루고는 싶다. 종종 시도해보았지만 중요한 것은 몸과 마음을 다할 만큼 좋아하지는 않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7천 년간 지속된 흑사병의 ‘흑’ 역사(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