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경환 May 25. 2024

흔(釁)


흔히 쓰는 한자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흔종(釁鐘)”이라고 하는 말이 그래도 좀 쓰이는데, 새로 주조한 종에 희생의 피를 바르고 신에게 제사지낸다는 뜻이다. 이때 “흔”은 “희생의 피를 기물에 발라 제시하다”라는 의미다.


그런데 “틈” 혹은 “기회”라는 뜻도 있다. 그런 용례를 허균이 쓴 <호민론(豪民論)>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호민은 나라의 허술한 틈을 엿보고 일의 형세가 편승할 만한가를 노리다가, 팔을 휘두르며 밭두렁 위에서 한 차례 소리 지르면, 저들 원민이란 자들이 소리만 듣고도 모여들어 모의하지 않고도 함께 외쳐대기 마련이다. 저들 항민이란 자들도 역시 살아갈 길을 찾느라 호미ㆍ고무래ㆍ창자루를 들고 따라와서 무도한 놈들을 쳐 죽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흔역(釁逆)”은 “반란”을, “흔수(釁首)”는 그 “반란의 우두머리”를 말한다.


각설. 빈틈을 살피는 것은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 비겁한 짓이다. 정면으로 맞서지 않고 뒤에서 상대의 빈틈을 공격하는 것은 일종의 전술이라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정정당당한 것은 아니다.

작가의 이전글 실기(失期)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