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재제 Oct 19. 2024

비임상시험연구원 2

독성시험과 약리시험

비임상시험을 GLP(Good Laboratory Practice)가 잘되어 있는 외부 CRO에 맡기는 회사가 많은 현실을 고려해서, 제약회사에서 비임상시험 연구원이 현실적으로 하는 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비임상시험 연구원의 제약회사에의 업무를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비임상 외주업체(CRO) 관리, 2) 비임상 시험 수행 그리고 3) 전반적인 운영에 대한 업무 

회사에서 비임상시험팀을 운영한다는 것은 비임상 시험의 과정에 있는 후보 물질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어느 정도 효과가 기전적으로 확인이 된 물질이 있다는 의미로 임상시험에 적용하기 전에 비임상시험인 독성시험이 필수입니다. 

독성시험

독성시험을 하기 전에 식약처에 승인이 필요하진 않지만, 나중에 IND, 허가 신청을 위해서 독성 시험 자료가 필요합니다. 신약이 아닌 그 외 의약품을 개발할 때도 허가 요건으로 독성시험 자료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규 복합제 개발 시에는 13주 반복독성자료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비임상시험 중 특히 독성시험 자료의 수준이 중요합니다. GLP로 관리하는 시험기관에서 수행된 독성시험이어야 합니다. 연구원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는 GLP시험 기관의 관리가 있습니다. 독성시험을 수행할 기관을 검토하여 선정하고 계약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GLP 시험 기관의 선정부터 비임상시험의 진행 전반을 CRO에 의뢰하여 진행합니다.

먼저 국내외 대표적인 CRO 기관을 소개하겠습니다. 국내에서는 바이오톡스텍, 안전성평가연구소, 디티엔씨알오 등이 있습니다. 해외에서 비임상을 의뢰해 진행하기도 하는데, 해외에는 국가마다 정말 다양한 기관이 있어 잘 알아보고 선정해야 합니다. 찰스리버코리아도 다국적 CRO 중 하나입니다. 

 GLP기관에서 CRO를 거쳐 비임상에 대한 Protocol을 작성하여 오면 연구원은 이를 검토하는 업무 합니다. 회사의 목적에 맞게 약물의 용량을 선정했는지, 비임상시험의 기간이 적정한지, 동물의 수와 연령 등이 적절한지 검토합니다. 이후 계획서 대로 독성시험 등 비임상시험이 진행되면 이를 관리하고 이슈가 발생했을 때 해결하는 일도 비임상시험 연구원의 업무입니다. 

독성시험의 비용을 대략 공유드리면, 장기로 진행하는 13주 반복독성은 5억 ~ 15억 정도 발생하는데, 이렇게 범위가 넓은 이유는 비임상시험의 종류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GLP의 유무, 실험동물의 종류(토끼, 비글, 마우스, 렛트, 원숭이), 질환 종류 등 시험의 종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합니다. 그 외 독성 시험 종류 중 반복 독성 시험 외 유전 독성, 생식발생 독성, 발암성, 국소 독성, 항원성 시험 및 면역 독성, 기타 독성 있는데, 여기서 유전 독성은 좀 저렴한 편입니다. 생식발생 독성, 발암성, 국소 독성, 면역 독성 등은 필요에 따라 진행하는 독성시험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발암성 시험은 규정상 임상 용법이 6개월 이상 장기 복용하는 의약품이거나 유전독성 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3상 전이나 허가 전에 수행합니다. 

비임상시험 개발 요건에 따라 시험 진행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결과보고서가 나오면 결과보고서를 검토하는 것도 연구원의 업무입니다. 

약리시험

약리시험으로 설명하면  효력 시험, 일반약리 및 안전성 약리,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 시험, 약물상호 작용에 관한 시험 중에 안전성약리시험이 허가를 받기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할 시험입니다. 물론 효력, 약리 시험 등도 의약품 개발을 위해 필요한 비임상시험이기 때문에 허가 시 자료로 제출하지만 필수 조건을 아닐 수 있습니다. 아무튼 안전성약리시험은 CRO에 맡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허가 자료를 위한 퀄리티가 중요해서입니다. 

나머지 효력 시험과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 시험(ADME) 시험, 약물 상호작용 시험은 회사의 목적에 의해 필요한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한 화합물들을 이용해서 원하는 용량으로 타깃 기전을 맞춰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실험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연구실에서 직접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포 실험과 동물 실험을 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는 전반적인 운영에 대한 업무입니다. 예산 관리를 한다거나 세포들을 관리한다거나 실험동물들을 관리 하는 등 만약 대학원을 다녔던 사람이라면 경험했을 업무들을 하게 됩니다.


이전 27화 비임상시험 연구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