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점복 Jun 07. 2024

반(半) 공일(空日)

쉬는 것도 아니고, 안 쉬는 것도 아니고

그나마  쉬는 데도 얼마나 감지덕지, 이름하여 '반(半)' 공  때 그 요일. 주 오래전 그렇다고 과 몇 해 전...... 애매모호한 대 어디쯤 자리 잡고 있는 역사적 사건이다.


 산다는 미국이나 유럽 쪽 나라들은, 금요일 오후 한  마감하고 주(week)의 끝 (end) 토, 일까지 쭉 이어서 (?)던 때였는데.


그리 되리라곤 딱히 기대조차 사치였던, 어야 할 큰 산 같던 토요일 아니가. 일분일초가 아운데 논다구요? 뼈가 바스러져도, 몸  망가 '잘 살아보세!'를 주문처럼 되뇌며 스라이팅 찍소리도 못하던 시대였.


쉬는 거? 이건 뭐 거의 죄(?)......


여유  맛보길 열받아가며 참 오래도 기다렸. 지금도 물론 그렇지 못한, 힘에 부 언감생심 사치라며 더 비참하게 만들지 말라며 언짢아하는 악한 계층들, 국가들이 여전니 조심스럽다.


한데 이 놈의 욕망적당하게 끝을 맺을 줄 를까. 올라 선 그곳에서 편안과 안락 누리며 베풀 듯도 하건만. 감사 하면서. 우리 인생들 사전엔 만족, 눈 씻고 찾아 봐도 없나 보다.


먹는 것 시원찮고 입 것 또한  촌스러웠다. 기껏 쫓아 욌더니 저만큼 훌쩍 앞서서는 따라올 테면 와 보란다. 꿈(?)에 그리던 주 5일제가 일상이 되었는 데도.


욜로(Yolo)? 딩크(Dink)? 이런 건 여전히 낯설기만 하다. 오전만 근무하는 것..... 그 이후 시간 하사품쯤 누리는 데도, 그 토요일이 이젠 반이 아니라  . 격세지감, 상전벽해가 따로 없다.


한데 정도로는 여전히 배 고프단다. 명함 내밀기 조차 힘들어졌. 주 4일 근무, 출근 지옥 안녕, 재택근무? 일상이 되는 가 싶었는데 벌써 심드렁, 무감각해져 간다. 간사한 게 사람 맘 아니랄까 봐.


축축 늘어지 손가락 하나 까딱으로 해결 못하는 게 없는 세상, 그럼에도 이 욕망의 열차는 오늘도 멈 줄 모른다. 진짜 도리는 없까?

작가의 이전글 엄니! '5월'이 막 가겠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