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라이킷 12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역차별이란 환상

역차별은 존재하지 않는다.

by 유레지나 Nov 25. 2024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 나는 초등학교 6학년 시절 양성평등 글짓기 대회에 ‘역차별’을 소재로 글을 써 내 상을 탄 적이 있다. 당시 역차별에 대해 알고 있었던 이유는 미디어의 영향이 컸다. 여성인권 이야기만 나오면 기다렸다는 듯 역차별 이야기가 따라 나오곤 했으니 사춘기도 오지 않은 어린이가 그대로 흡수하는 게 무리는 아니었다.


그러나 역차별은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 어찌 보면 차별의 또 다른 이름과도 같다. ‘역’ 차별이란 이름에 걸맞게 사실 차별이 있어야 살아 있을 수 있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역차별이 존재한다는 건 차별이 여전히 잔존한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차별은 그대로 둔 채 역차별만 없애기 위해 하는 노력은 무의미하다. 차별을 없애면 역차별은 자연스레 사라지기 때문이다. 조금만 생각해 봐도 도달할 수 있는 결론이다.


‘세상을 바꾼 변호인’이라는 영화의 내용을 예로 들어 보겠다. 영화의 내용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미국 법전의 성차별적 조항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는 여성 변호사에 대한 영화인데, 이 변호사가 이용하는 사례가 독특하다. 당시 미국 사회에서 법정 보육자는 여성만이 인정되었다. 이 때문에 미혼 남성은 보육자로 인정받지 못해 한 남성이 직장도 나갈 수 없는 상황에 정부로부터 필요한 도움을 받지 못했다. 주인공인 긴즈버그 변호사가 이 상황을 이용해 미국 법전의 ‘성차별’적 요소를 지적하고자 하는 게 영화의 주된 내용이다. 영화 속 사례의 남성은 역차별의 피해자다. 그러나 가만 생각해 보면 이 역차별은 가부장제 속 여성과 남성의 고착화된 역할 분담으로 인해 발생된 모순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애초에 왜 여성만이 보육자로 인정받았을까? 기혼 남성은 왜 사별했거나 이혼했을 경우에만 정부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었을까? 아이를 키우는 것, 시부모를 돌보는 것 모두 여성의 역할이라 여겨졌기 때문이다.


차별이 사라지면 역차별은 자연스레 없는 사실이 된다. 역차별을 없애고자 하는 노력이 사실은 무의미하다는 걸 언제쯤 모두가 알게 될까? 역차별을 반대하는 이들은 그게 얼마나 바보 같은 짓인지 언제쯤 알게 될까? 차별은 없는 존재로 취급하면서 역차별에만 목소리를 높이는 이들은 자신의 모순을 도대체 언제쯤 깨닫게 될까?






작가의 이전글 한국 페미니즘의 수출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