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의글 Jul 27. 2022

피드백과 보완, 압도적인 박력 <한산: 용의 출현>

단 한편만에 이뤄낸 보완의 쾌거

<한산 용의 출현>은 <명량> 이은 김한민 감독의 이순신 3부작 중  번째 작품입니다. <명량> 관객  1,700 명이라는 한국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기 때문에 이번 <한산 용의 출현>에 대한 기대도 컸지만 <명량>에서 선명하게 드러났던 단점들에 대한 우려 또한 존재했습니다. 단편적이고 비장함만을 내세우는 캐릭터들, 민족주의적 메시지를 주입하려는 작위성 등이 대표적이었습니다.

그런데도 해상 액션은 짜임새가 있었기 때문에 <한산 용의 출현> 역시 해상 액션을 기대하며 관람했습니다. 그러나 영화가 끝나고의 감상은   편만에 이뤄낸 피드백과 보완의 쾌거였습니다.


두 세력에 모두 통하는 주제 의식

<명량>의 많은 문제점은 서사에서 드러났습니다. 현재 이순신의 지위와 상황만을 단편적으로 표현하고 왜군에 대한 묘사 역시 영화 속에서 이순신에 대한 인식과 오만함을 나타내는 선에서 그쳤습니다. 이에 따라 인물들의 감정에 이입이 쉽지 않았고 단조로운 인상이 남았습니다. 특히 종반부에 등장하는 충의에 대한 장면들은 작위성이 짙었습니다. <한산 용의 출현>은 이러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보완하여 서사적 연출에 짜임새가 자연스러웠습니다.


영화에서 중요하게 나타나는 주제 의식 ‘의와 불의의 싸움입니다. 단순히 전쟁이라는 행위를 전시하기 위해 인물들이 행동하는 것이 아닌  인물들이 전쟁에 나서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유를 영화에서 다룹니다. 이를 구체화하는 것이 ‘항왜 ‘의병입니다. ‘항왜 왜군에 있을  자기 상관에게서 보았던 불의가 이순신과 의병에게서 보았던 의와 대비됩니다. 항왜의 발자취를 따라가면서 영화의 메시지에 도달하게 되고, 이로써 영화가 취하는 태도는 조선과 왜의 전쟁이라는 구도를 넘어 ‘항왜라는 입체적인 인물을 다뤄 배경에 의미를 더합니다.


<명량>에서 이어지는 ‘두려움 대한 이야기

김한민 감독이 <명량>과 <한산 용의 출현>에서 이순신이라는 존재를 바라보는 관점은 두려움을 용기로 바꾸는 자입니다. <명량>에서 12척이라는 왜군과 압도적으로 대비되는 전력과 파도의 두려움을 이겨냄으로써 용기를 끌어냈다면 <한산 용의 출현>에서는 이순신의 거북선이 두려움과 용기를 동시에 상징합니다. 또한 <한산 용의 출현>이 <명량>보다 뛰어난 지점이 여기서 나타납니다.


<한산 용의 출현>의 오프닝에서부터 왜군의 시점이 다뤄지는데 왜군들은 거북선을 ‘복카이센’(심해의 괴물)이라고 칭하면서 거북선의 위력에 두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왜군을 이끄는 역할로 등장하는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거북선에 두려움을 느끼는 병사를 두고 “두려움은 전염병이다”라는 생각을 드러내며 아군의 목을 벱니다. 이는 두려움을 용기로 바꿀 수 있다고 믿는 이순신과는 분명 대비되는 태도입니다. 왜군이 잠시나마 거북선의 설계도를 얻게 되어 단점을 파악하고 거북선을 장님의 배라고 칭하지만, 실제 전투에서는 단점을 보완한 거북선에 허를 찔려 다시 한번 거북선은 왜군에게 다시 한번 복카이센이라는 두려움의 상징으로 떠오릅니다.


반면에 조선의 입장에서 거북선은 적진으로 돌격하고 적군의 흐름을 끊고 압도적인 내구성과 단단함으로 박력을 보여주기 때문에 하나의 배가 갖는 위력 자체가 두려움에 휩싸여도 용기가 되는 존재입니다. 이러한 거북선이라는 왜군과 조선 모두에게 의미를 부여하는 상징이 효과적으로 영화에서 작용하면서 <한산 용의 출현>은 서사에 깊이를 더합니다.


또한 거북선 자체가 영화에서 나타내는 스펙터클이 <한산 용의 출현>의 액션의 중심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거북선의 무게감을 잘 표현했으며 조금은 느릴지언정 <명량>과 비교했을 때 배와 배가 충돌할 때의 박력을 명확하게 드러냈습니다.


인물의 입체화의 중요성

<한산 용의 출현>의  다른 장점은 인물이 다양해졌음에도  입체화를 이뤄냈다는 것입니다.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변요한 배우가 연기한 와키자카였습니다. 이순신에 대해서 충분히 경계하고  수를  보자는 신중함  적군의 리더로서 위협적인 인물이었습니다. 또한 실제 전투 중에서도 감정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닌 전략적인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자신의 세력을 키워가는 이야기에서 주도적이고 지략 적으로 행동했기에 관객의 입장에서  존재를 명확하게 인식할  있었습니다.


앞서 서술한 의병과 항왜, 그리고 첩자라는 존재들 역시 메시지의 입체화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입체화는 관객이 인물들에게 더 이입할 수 있게 하고 영화의 후반 하이라이트에서도 감정선을 따라가면서 두려움과 비장함을 느끼고 뒤바뀌는 전개에 감탄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외에도 바다에서의 전투와 안개의 서늘함이  드러났고 왜군과 조선군의 의상, 장비 그리고 장소  미장센이 전작보다 발전했습니다. 음악은 조금 과장된 느낌이 있지만 사용되는 타이밍과 웅장함은 절묘했습니다. 조금은 반복되는 듯한 전투 방식이나 작위적인 장면이 분명 존재했지만 <명량>보다 전체적으로 보완된 인상과 스펙터클한 액션에 감탄했던 <한산 용의 출현>이었습니다. 노량해전을 다룬 다음 작품도 기대하게   같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최동훈 감독의 야심이 질주하는 [외계+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