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권경인 Feb 20. 2021

흉년의 먹을 거리, 상수리와 도토리

상실橡實, 곡실槲實

예부터 참나무 도토리는 흉년에 먹을 거리를 제공하는 구황식물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비록 <장자>에서 쓸모가 없어 장수를 누리는 대표적인 나무로 상수리나무(櫟)가 등장하지만, 특히 상수리나무는 열매를 식용할 뿐 아니라 숯의 재료로도 쓰여서 여간 요긴한 나무가 아니다. <본초강목>에도 상실橡實과 곡실槲實이 실려 있는데,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실橡實. 상두橡斗, 조두皂斗, 력구櫟梂, 력목자櫟木子이다. 곡槲과 력櫟은 모두 도토리가 있지만, 櫟을 더 좋은 것으로 친다. … 숯을 만드는 데는 다른 어떤 나무보다도 좋다. ... 곧槲도 도토리가 있지만 작아서 력櫟에 미치지 못한다. … 4,5월에 밤꽃과 같은 꽃이 피는데 황색이다. 여지荔枝 씨와 같은 열매를 맺는데 뾰족하다. 꼭지에 깍정이(殼斗)가 있어서 열매를 반 즈음 감싼다. 그 씨는 연밥의 살과 같은데, 산에 사는 사람들이 흉년에 채취하여 먹을 거리로 여기고 어떤 이는 빻아 물에 담그고 가루로 만들어 먹는다. 풍년에는 돼지를 살찌울 수 있다.*”


상수리나무 익어가는 열매 상수리, 2014.8.31 안동


           “곡실槲實. 곡속槲樕, 박속樸樕, 대엽력大葉櫟이다. … 곡속槲樕은 곡속觳觫과 마찬가지이다. 곡槲 잎사귀가 흔들리는 것이 ‘무서워서 부들부들 떠는(觳觫)’ 모습이므로 곡속槲樕이라고 했다. 박속樸樕이라는 것은 바람에 일어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양인데, 그 나무가 크고 잎이 무성하기 때문이다. 속칭 옷차림이 단정하지 않은 것을 박속樸樕하다고 하는데 이것에서 비롯되었다. … 곡槲은 … 력櫟과 더불어 비슷한 종류이며 도토리도 있지만 작아서 쓸만하지 않다. 숯을 만들어도 력櫟에 미치지 못한다. … 그 열매는 딱딱하고 떫으며 맛이 나쁘지만 흉년에는 사람들도 먹는다. 그 나무 결이 거칠어서 상수리나무(橡木)보다 못하며, 이른바 저력지재(樗櫟之材)는 이것을 가리킨다.**”


떡갈나무 도토리, 2014.8.31 안동


문헌을 상고해보면, <본초강목>의 상橡과 력櫟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uth.)이고, 곡槲과 박樸, 박속樸樕은 떡갈나무(Quercus dentata Thunb.)이다. 본초강목의 위 설명을 보면, 상수리나무 도토리가 떡갈나무 도토리보다 더 크고 맛이 좋으므로 구황식물로 더 적합하고, 숯을 만들어도 상수리나무가 더 좋다. 정약용의 <아억각비>에 참나무와 가나무에 대한 흥미로운 구절을 있는데, 이와 관련이 있는 듯하다.


“우리나라 민간에서 느닷없이 곡두槲斗를 ‘가나무 열매(檟實)’[우리말로 가나무(假南于)]라고 하고, 산핵도山核桃를 추자楸子[우리말로 가래나무(加來南于)]라고 한다. 내가 그 까닭을 생각해보니, 옛날 민간에서 상수리나무(橡)를 진목眞木[참나무(參南于)], 떡갈나무(槲)를 가목假木[가나무(假南于)]이라고 말했는데, 곡두槲斗를 상두橡斗와 비교하여 비슷하지만 같지 않음을 이른 것이다. 가假와 가檟는 소리가 서로 가까웠으므로 와전되어 이에 이르렀다. 추자楸子라는 이름은 전혀 증빙할 만한 데가 없다.*”


신갈나무 도토리, 2020.8.8 창경궁


즉 우리나라 조상들이, 식용을 위해 도토리가 더 크고 더 좋은 숯을 만들 수 있느 상수리나무를 ‘참나무’, 이와 비슷하지만 품질이 못한 떡갈나무를 거짓 참나무라는 의미로 ‘가나무’로 불렀던 듯 하다. 이를 반영하듯 <동의보감> 탕액편을 보면, 상실橡實은 ‘굴근도토리’로, 곡약槲若은 ‘조리참나모닢’으로 한글 설명을 달고 있다. 즉, 상橡은 굵은 도토리가 열리는 ‘참나무’, 곡槲은 도토리가 작은 ‘조리참나무’인데, 이 ‘조리참나무’가 <아억각비>에서 ‘가나무’로 표현된 것일 것이다. 보통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 도토리가 크고 튼실하므로, 이 나무를 참나무로 보고, 참나무 열매를 상수리(橡實)로 봤을 가능성이 크다. (내가 자란 산골 마을에서도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 2종을 주로 ‘참나무’로 불렀고, 떡갈나무나 신갈나무 등은 ‘참나무’로 부르지는 않았다.)


갈참나무 도토리, 2020.8.30 남한산성


참고로, <훈몽자회>에서는 곡槲을 ‘소리참나무 곡’, 상橡을 ‘도토리 샹’으로 설명했는데, 이우철의 <한국 식물명의 유래>를 보면 ‘가나무’를 “떡갈나무의 황해 방언”, ‘소리나무’를 물참나무와 졸참나무의 제주방언으로 설명하고 있다. 제주방언의 ‘소리나무’가 훈몽자회의 ‘소리참나무’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도 같고, ‘소리참나무’와 ‘조리참나무’가 졸참나무(Quercus serrata Murray)의 어원일 가능성도 있다. 


졸참나무 도토리, 2017.8.17 봉화


이후 이 글자들은 <자전석요>와 <한선문신옥편>에 곡槲은 “떡갈나무 곡”, 상橡은 “상수리 상”으로 나오고, <한일선신옥편>에도 곡槲은 “도토리나무 곡”, 상橡은 “상수리 샹”으로 나오며, 현대의 <한한대자전>에도 곡槲은 “떡갈나무 곡”, 상橡은 “상수리 상”으로 설명되어 있어서 일관성 있게 바르게 설명하고 있다. 


벌써 십여년 전, 지금은 독립한 큰아이가 어렸을 때 고향 집에 갔다가 근처 청량산에 오른 적이 있다. 청량산의 최고봉인 장인봉 인근에 도토리가 엄청나게 많이 떨어져 있어서 큰아이와 함께 금방 한 되 정도를 주웠다. 채집생활의 기억이 유전자에 각인되어 있는 것인지, 흉년이 아닌데도 도토리를 주우면서 아주 즐거워했다. 이때의 추억을 떠올리며, 유호인(兪好仁 1445~1494)이 청량산의 도토리를 읊은 시 한 수를 감상한다.


굴참나무 도토리, 2020.8.21 님힌산성


화산십영 중에서 - 花山十詠


瞻彼淸涼山       저 청량산을 바라 보게나

山中多橡木       산 속에 참나무****가 많구나.

今年似去年       올해도 지난해처럼

離離實可拾       주렁주렁 달린 도토리 주울 만 하네

擧家負戴歸       온 집안이 지고 이고 돌아와

舂屑瓮中積       절구 찧어 가루 만들어 독에 쌓아두면

凶年豈殺余       흉년인들 어찌 나를 죽이리

猶可代粟粒       오히려 조밥을 대신할 만 하다네.


(끝 - 2019.2.12.)


*橡實. 橡斗 皂斗 櫟梂 櫟木子也 … 槲 櫟皆有斗 而以櫟為勝 … 為炭則他木皆不及 … 槲亦有殼 但小而不及櫟也 … 四五月開花如栗花黃色 結實如荔枝核而有尖 其蒂有斗包其半截 其仁如老蓮肉 山人儉歲采以為飯 或搗浸取粉食 豐年可以肥豬 (本草綱目 果部 橡實)

** 槲實. 槲樕 樸樕 大葉櫟 … 槲樕猶觳觫也 槲葉搖動有觳觫之態 故曰槲樕也 樸樕者 婆娑蓬然之貌 其樹偃蹇 其葉芃芃故也 俗稱衣物不整者為樸樕本此 … 槲 … 與櫟相類 亦有斗 但小不中用耳 為炭不及櫟木 … 其實僵澀味惡 荒歲人亦食之 其木理粗不及橡木 所謂樗櫟之材者指此 (本草綱目 果部 槲實)

*** 東俗忽以槲斗爲檟實[方言假南于] 山核桃爲楸子[方言加來南于] 余究厥由 古俗橡曰眞木[參南于] 槲曰假木[假南于] 謂槲斗比橡斗 似而非也 假與檟聲相近 故訛傳至此 楸子之名 絶無可憑 (雅言覺非 檟)

**** 橡木은 상수리나무이다. (다시 확인이 필요하지만) 청량산에 올라본 기억으로 굴참나무가 많았던 듯하고, 여기서는 도토리가 튼실한 나무를 뜻하므로 참나무로 번역해둔다.

+표지사진 - 떡갈나무 도토리, 2019.10.3 청계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