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에서 운영하는 레지던시 프로그램
서울시립미술관에서는 2006년부터 한강난지공원 한켠에 유휴시설을 개조하여 예술가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년 입주 작가들의 작품을 공개하고 직접적으로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작업실 개방', 즉 오픈 스튜디오를 진행합니다. 해외에는 부스윅 아트 페스티벌, 덤보 아트 페스티벌 등 지역 주민과 예술가들이 교류하는 장으로써 오픈 스튜디오가 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술가의 작업실을 들여다 보다, 난지 오픈스튜디오(상)
75명의 작가의 작업실을 소개하는 <유니언 아트페어 2016 - Welcome to studio> 보러가기
▶
작은 방에 버섯 구름, 밀려드는 파도, 족쇄 등의 모양으로 깎인 스펀지와 스케치가 놓여져 있는 방입니다.
성유삼 작가는 스펀지를 조각해 버섯구름을 형상화 합니다.
버섯 구름 -> 원자 폭탄(습관적 지각 방식)
'버섯구름은 작은 사물을 태울 때도 생기는 흔한 형상이지만, 그것을 지각하는 일반적인 시선은 원자폭탄을 떠올리는 겁니다. 작가는 습관적 지각 방식을 비틀며 미디어에서 소비되는 파국의 이미지와 이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현대인의 수동적인 지각구조에 대해 질문합니다'
예술작업의 결과 그 이면에는 어떠한 일이 진행되는가?
마찬가지 맥락에서 휴양지가 그 모습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이면에서는 어떠한 일들이 벌어지는가?
과연 예술과 노동, 여가와 노동은 분리될 수 있는가?
효과음을 디자인하는 폴리아티스트 이창호씨가 휴가지에서 들을 수 있는 10가지의 소리를 내는 모습을 찍은 비디오를 보여줍니다.
영상과 작업 노트를 볼 수 있었습니다.
75명의 작가의 작업실을 소개하는 <유니언 아트페어 2016 - Welcome to studio> 보러가기
▶
작업만으로 생계를 이어나갈 수 없기에 많은 예술가들이 부업을 합니다.
이정형 작가는 전시장에서 시공, 설치, 철거 등을 또 다른 직업으로 삼으며, 전시 과정 자체를 온전히 지켜봐왔습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설치 작업과 노동, 전시 과정 자체가 이정형 작가의 작품이 되었습니다.
작업장에서 볼 수 있는 콘크리트, 전시 구성물, 작업장 뒤 켠에 있는 모습들이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이 과정들을 즉각적으로 담을 수 있는 사진 작업들이 많이 보여집니다.
'과정'이 담겨 있는 이정형 작가의 방입니다.
조은비 큐레이터의 방에는 '자문자답'이 붙여져 있습니다.
- 여기서(난지 창작스튜디오)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나요?
도착해서 가장 먼저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빈다. 곧바로 커피를 내려서 잔을 채우고, 생각해둔 "오늘의 할 일"에 따라 책을 펼치거나 노트북을 붙잡고 있습니다. 제 일의 성격이, 일종의 연구와 기획, 만남과 같이 같이 쓰고 읽고 생각하고 대화하는 비물질적인 행위들로 작동하는 만큼, 여기서 저는 최대한 단순해지려고 합니다. (중략)
- 이 공간에서는 누굴 자주 만납니까?
가장 자주 마주치는 분은 청소하시는 아주머니고, 시간대가 어긋나서 자주 만나질 못해도 옆방의 심소미 큐레이터를 종종 만납니다. 아, 그리고 가필드를 닮은 고양이들
그리고 해외 작가들도 참여해 자신들의 작품을 전시해두었습니다. 그러나 많은 작가들이 상주해있진 않은듯 했습니다.
75명의 작가의 작업실을 소개하는 <유니언 아트페어 2016 - Welcome to studio> 보러가기
▶
일시 : 2016.10.5 - 2106.10.9
장소 : 이태원 블루스퀘어 복합문화공간 네모 (용산구 이태원로 294)
카카오톡과 뉴스레터를 통해 매주 예술과 관련된 소식을 전달해 드립니다.
가까운 곳에 있는 전시 소식과 직접 즐길 수 있는 예술 관련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 소식을 주로 소개합니다.
'새로운 영감을 주는' 예술 프로젝트, 장소, 전시 컨텐츠를 정기적으로 받아보세요
7Pi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