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종교의례(무속)
강릉에서 단옷날(수릿날)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축제입니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행사이며 대관령 산신 제례, 무당굿, 탈놀이, 민속놀이, 문화행사, 난장 등이 펼쳐집니다.
단옷날을 전후하여 거행하는 굿으로 강릉단오굿이라고도 합니다.
단오굿과 여러 의례가 합쳐져서 연행됩니다.
경북 경산시 자인면 지역의 수호신인 한장군을 위한 의례를 중심으로 단오절에 행하는 마을굿입니다.
전남 영광군 법성포에서 단오절에 거행하는 지역축제입니다.
이름과 같이 규모를 갖추어 크게 벌이는 굿입니다.
제청(제사를 지내는 장소) 벽에 당클(신을 모시는 자리)을 여럿 매달고 마당에 큰대를 세워서 여러 날에 걸쳐 벌이는 굿입니다.
무당이 될 사람이 신병(몸에 신이 내린 병)을 앓게 되면 신을 받아서 무당이 되기 위해 행하는 굿입니다.
신내림은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힘들지만 청동기시대 샤머니즘에서 시작되어 역사가 매우 깁니다.
신굿, 신내림굿, 신명굿, 강신제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죽은 영혼을 다른 세계로 넘어가게끔 해 주는 의례입니다.
천도의례, 사령굿, 진오기굿, 새남굿, 씻김굿, 오구굿, 황천해원경, 시왕맞이굿, 수왕굿, 망무기굿 등으로 불립니다.
새남은 '새로 태어남'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의 천도굿을 진오기굿이라고 하며 진오기굿의 가장 큰 규모가 새남굿입니다.
이승(망자 생전의 삶)과 저승(극락 천도의 과정)을 나누어 이틀에 걸쳐 두 번의 굿을 합니다.
동해안은 강원도 고성에서 부산까지를 포함하며 오구굿은 해당 지역의 마을에서 망자의 영혼을 인도하는 굿입니다.
망자의 원한을 풀어주고 과오와 죄업 등을 씻어서 영원한 안식처에 정착하도록 안내하며, 가족의 모든 근심과 재앙을 없애 길복을 누리게 하는 의식입니다.
씻김은 이승에서 맺힌 원한을 지우고 씻어준다는 뜻입니다.
전남 진도에서 죽은 이의 영혼을 위로하고 천도시키기 위해 행하는 망자굿입니다.
자리를 걷어낸다는 의미의 자리걷이는 망자가 기거한 집의 부정을 털어내는 행위로 집가심 또는 넋걷이라고도 합니다.
서울, 경기 일대에서 망자의 발인을 치른 날 묘지에서 돌아와 집에서 행하는 무속의례이며 경기 부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수(운수)가 형통하기를 빌며 행하는 굿입니다.
도신굿 또는 천신굿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가족과 자손의 평안, 복, 부귀, 무병장수 등을 비는 무속 제의입니다.
독경은 불교와 도교에서 유래된 경문을 읽는 행위입니다.
즉, 법사라고 불리는 연행자가 앉아서 독경을 하며 앉은굿 또는 좌경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황해 평산지역의 큰굿인 경사굿의 하위 굿거리인 제석굿에 포함된 굿놀이입니다.
우마숭배와 가내안녕, 풍농기원을 목적으로 연행됩니다.
뱃사람들이 수신(바다를 관장)과 선신(배를 관장)에게 배의 안전, 뱃길의 수호, 뱃사람들의 무탈, 풍어를 기원하면서 거행하는 굿입니다.
황해, 경기, 충청 일대의 서해안 지역에서 뱃사람들이 배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거행하는 굿입니다.
무당이 집전하는 마을 단위의 굿으로 유교식 제관의 제사 또는 농악대의 놀이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굿입니다.
부군당은 조선시대 관아 부근에 놓인 신당을 가리킵니다.
서울에는 부군당이 마을제당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여기서 마을굿 형식으로 마을신을 모십니다.
봉화산은 서울 중랑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진구 아차산과 이어져 있습니다.
봉화산 정상의 산신할머니를 모신 도당에서 열리는 마을굿으로 중랑구의 대표적인 문화행사입니다.
삼각산 주변 마을인 서울 강북구 우이동에서 도당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위해 지내는 마을 제의입니다.
경기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정기적 무속 의례입니다.
경기 구리시 갈매동에서 음력 3월 2~3일에 도당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위해 지내는 마을굿입니다.
잿머리 마을(경기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산 76) 성황당에서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과 부인 홍씨부인 그리고 장모 안씨부인을 주신으로 모시고 행하는 마을굿입니다.
군자봉은 경기 시흥시와 안산시에 걸쳐 있으며 이곳 성황단에서 매년 10월 3일에 지내는 마을굿입니다.
잿머리성황제와 마찬가지로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을 주신으로 모십니다.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마을들(정포마을, 대정마을)에서 풍농풍어와 마을의 안녕과 태평, 번영을 기원하며 격년제로 진행합니다.
주신인 득제장군(고려시대 외포리와 연고를 가진 장군으로 추정)으로 모시고 음력 2월 초 길일에 굿판을 벌입니다.
동해안 어촌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마을의 평화와 안녕, 풍요와 다산, 뱃사람들의 안전을 빌기 위해 집안 대대로 굿을 해 온 무당들을 청하여 벌이는 대규모 굿입니다.
풍어제 또는 풍어굿이라고도 하며 2~3년 혹은 10년마다 열립니다.
남해안의 일부 지역인 경남 통영과 거제에서 거행되는 마울굿입니다.
집전자는 300년을 넘게 이어온 세습무 집안의 후손으로 마을의 안녕, 평안, 풍어 등을 기원합니다.
전북 부안군 위도면 대리마을에서 정월 초사흘 어민들의 풍어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마을굿입니다.
남해, 동해, 서해안의 별신굿과 함께 대표적인 풍어제입니다.
볏짚으로 만든 띠배를 풍어제 마지막에 바다로 띄워 보냅니다.
제주 건입동 칠머리당에서 어촌계 해녀와 선주들이 벌이는 마을굿입니다.
영등달인 음력 2월 14일에 진행되며 마을의 무사안녕과 생업풍요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