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흰샘 Feb 02. 2024

흰샘의 漢詩 이야기

인간 세상 찾아온 봄 초목이 먼저 아네

立春偶成(입춘우성)  입춘에 우연히 짓다  

   

律回歲晚冰霜少(율회세만빙상소) 절기 돌아 세밑에 얼음 서리 적어지니

春到人間草木知(춘도인간초목지) 인간 세상 찾아온 봄 초목이 먼저 아네.

便覺眼前生意滿(변각안전생의만) 별안간 눈앞에 생기 가득 넘쳐나고

東風吹水綠參差(동풍취수록참치) 동풍이 건듯 불어 푸른 물결 일렁이네.

[번역: 흰샘]     


중국 남송의 유학자인 장식(張栻, 1133~1180)의 작품입니다. 입춘에 세밑이니 꼭 요즈음이었을 터입니다. 시의 첫 글자인 율(律)은 본래 음악 용어이기도 하고, 절기를 뜻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입춘에서 시작한 24절기가 한 바퀴 돌아 대한(大寒)에서 끝나고 다시 입춘으로 돌아왔다는 뜻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 시에서 가장 아름답고 심오한 구절은 바로 두 번째 구절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봄이 와도 조금만 추우면 두터운 옷을 껴입으면서 ‘봄은 개뿔’ 어쩌고 하며 투덜거립니다. 하지만, 초목들은 긴 겨울 동안 빈 몸으로 봄을 기다리지요. 그들은 아무리 추워도 봄이 올 것을 절대 의심하지 않습니다. 정작 봄은 초목들의 간절한 기다림과 믿음 때문에 오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제3구와 제4구는 초목을 통해 봄을 감지한 시인의 헌사(獻辭)일지도 모릅니다. 근엄하기 짝이 없는 이 유학자도 봄 앞에서는 속수무책입니다. 봄은 만물을 무장해제시키는 힘이 있습니다.

고향에 내려가니 양지쪽엔 벌써 풀들이 돋아나고 보라색 봄까치꽃이 피어났습니다. 그 꽃을 보며 이 시를 떠올렸고, 이 시를 읽다가 또 못난 시심(詩心)이 동하여 끄적여 봅니다.          



<봄까치꽃>          


말이 입춘이지 봄은 코빼기도 안 보인다 했는데

보인다

양지쪽 눈 녹은 자리에 보라색 봄까치꽃     


한없이 여리고 부드러워 

너는 그리도 자신만만한 것이구나     


강함을 힘이라 믿는 세상 권력은

자신이 없어 날마다 칼을 갈고 철문을 잠그는데,

작가의 이전글 雪國이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