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야 Dec 31. 2022

12월 31일 탄생화 /노송 (편백) 나무

오늘의 탄생화 


12월 31일 탄생화 노송나무


노송나무라고 해서 노송(老松)인 줄 알았다. 그런데 편백나무를 노송나무라고 부른단다.


편백나무는 피톤치드가 나오는 나무로 가구와 집 지을 때 내부 마감재로 많이 사용한다. 그러고 보니 우리 집에도 편백나무 가구가 있다.

돌침대 프레임을 편백나무로 맞춰 사용하고 있다. 예전에 편백나무 칩으로 된 베개도 사용했지만 편하지 않아 지금은 사용하지 않지만, 반원 모양의 편백 베개는 가끔 사용한다.

노송나무(Chamaecyparis)


노송나무는 겉씨식물 구 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학명은 Chamaecyparis obtusa이다.

일본 이름은 "히노끼"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노송나무라고 부르는 편백나무는 높이 40m, 지름 2m에 달하며, 가지는 수평으로 퍼져서 원뿔형의 수관을 하고 있다.

수피는 적갈색이고 섬유성이며 세로로 얇게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고 두꺼우며 길이 1~1.5mm로 비늘같이 작고 뒷면의 기공조선(氣孔條線:잎이 숨 쉬는 부분으로 보통잎 뒤에 흰 선으로 나타남)은 Y자형이다. 또한 잎 표면에 1개의 선(腺)이 있으며 뒷면에 흰 점이 있다.

열매는 구과(毬果)로 둥글고 지름 10∼12mm이며 홍갈색이고 8개 내외의 실편으로 구성된다. 각 실편에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종자는 길이 3mm 정도이고 2개의 지낭(脂囊)이 있으며 좁은 날개가 있다. 일본 특산종이며, 재질이 좋으므로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의 조림수종으로 재배한다.


자료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편백 [扁柏]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편백나무의 효능


편백나무의 피톤치드는 해충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물질로 천연 항균 효과가 있어 비염과 천식을 예방해 주고, 세균이나 진드기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고 불안한 마음을 진정시켜주어 불면증을 치료해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해 준다.

편백나무에 함유된 사비넨 성분은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여 피부를 재생시키며 피부 질환을 예방해 주며, 새집 증후군을 유발하는 포름알데히드를 최대 99%까지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편백나무에서 분비되는 피톤치드 향은 강력한 살균 효과가 있어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개선하고 면역력을 향상하며 집안의 악취 제거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편백나무는 물에 닿으면 향이 더 강하고 지속되는 성질이 있어 디퓨저나 스프레이로 사용하면 효과가 더 좋다.


여기서 한 가지 편백나무와 측백나무가 거의 비슷하다. 편백나무와 익숙하지 않은 나에게 측백나무가 오히려 친숙하다.


편백나무 / 측백나무

위 사진에서 보는 것과 같이 편백나무 잎과 측백나무 잎이 거의 흡사하다.


편백나무는 일본이 원산지라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무였던 데 반해 측백나무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보던 나무이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편백나무에 대해 나는 자세히 알지 못한다.

편백나무 열매 / 측백나무 열매

측백나무는 우리 아파트에도 많이 있고, 부모님 산소 앞에서 자라고 있고, 국민학교 교정에도 있던 나무였기 때문이다. 국민학교 시절 운동장에서 놀다 심심해서 측백나무 열매를 따 먹어본 기억이 있다. 작은 열매 속 아주 작은 씨를 무심코 입에 넣고 씹었다가 그 떫고 쓴맛이 오래도록 남아 고생한 적이 있다

노송나무 꽃의 꽃말은 '불멸', '변하지 않는 사랑', '기도'.이다.


작가의 이전글 12월 30일 탄생화 납매 / 음력 섣달에 피는 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