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yunseok Min Mar 19. 2016

무언가 완주하기

마라톤 하면서 배운 포기하지 않고 완주하는 법

대학원 시절이 그랬다. 앞도 뒤도 보이지 않었던 시기.. 무언가를 사려고 줄을 섰는데 그 줄의 끝에서 무엇을 파는지도 모르고 줄을 슨거 같은 시기.. 점점 내 뒤에 줄 슨 후배의 수가 내 앞으로 이 줄에 서 있던 선배의 수보다 많아질 때쯤 난 무엇을 위해 이 줄을 섰는지조차 기억에 없고 줄의 끝에 갈 수 있을지 안 보였다. 포기하거 싶었지만 지금까지 쓴 과거가 아까워 미래를 포기해 버리고 있던 시기였다. 옆에 같이 웃으며 서 있던 천재같은 친구들은 이미 떠난 버린 자리에서 지친 나에게 누군가 알려주어 시작하게 된 마라톤이란 운동.. 이 운동은 나에게 단순히 건강 이상의 것을 알려줬고 그 덕에 난 그 긴 터널을 무사히 걸어나 올 수 있었다.


마라톤이란 운동의 목적은 기록이 아니라 완주다. 물론 마라토너에게는 아니겠지만 나같은 이에게 기록은 무의미했다. 이런 마라톤을 완주하기 위해 해야할 제 1 법칙은 남과 비교하지 말고 자신의 경기를 하라는 것이다. 첫 하프 마라톤때의 일이다. 70대의 할아버지가 나보다 앞으로 뛰어나가셨다. 20대인데.. 저런 흰머리 할아버지에게는 뒤쳐지면 쪽 팔린데.. 남들이 날 어떻게 볼까.. 이런 생각이 머리에 스치면서 어떡게든 그 할아바지를 이기고자 했다. 곧 난 지쳤고 한동안을 뛰지 못 하고 걸어야 했다. 겉모습보단 경험과 능력에 따라 존재하는 나의 페이스를 알지 못 하고 남의 시선때문에 오버페이스를 하면 곧 포기하게 된다. 대학원도 회사도 그랬다. 남과 비교하면 페이스를 잃게 되고 페이스를 잃으면 곧 포기하게 되어 있다. 남이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을 하고 그런 것보다 내 호흡으로 내 연구를 진행해야 결과가 나온다. 급히 억지로 쓴 논문에는 언제나 실수가 있어 오히려 내 연구때문이 아닌 실수로 리젝을 당하게 되었다.


두번째 법칙은 42.195킬로미터 혹은 하프마라톤 21. 095킬로 미터의 숫자가 아니라 거기까지 가는 과정을 머리에 그릴 수 있고 즐길 수 있어야 한다. 골 지점만 보고 달리기엔 하프 두시간 풀코스 대여섯시간은 짧지 않았다. 하프의 경우 한시간을 뛰어도 한시간이 남아있는 상황이였다. 짜증만 났다. 준비를 완벽하지 못 했기에 더 화가 났었다. 왜 이걸 했을까... 왜 이리도 길까.. 그런데 알고보면 마라톤도 그렇지만 인생도 준비가 완벽한 적이 없었다. 그래서 늘 짜증이 났다. 그런데 알고 보면 10킬로나 잘 갔던 것이였다. 그걸 모르고 찌증만 냈던거다. 남들보다 좀 늦게 저널 논문이 나왔지만 난 나대로 좋은 학회 논문을 쓰고 준비가 완벽하진 못 했지만 나대로 골을 향해 가고 있었던 거였다. 단지 좀 지쳐서 그걸 몰랐던 거 뿐이였다. 각 과정을 알고 즐길 수 있다면.. 목적지까지 더 쉽게 완주할 수 있었다. 하프 마라톤의 경우 17킬로 지점에서 꼭 위기가 왔다. 다리는 무거웠고 연습 부족과 많은 몸무게로 무릎에 무리가 오는 시기였다. 그러나 몇번의 경험을 통해 그갈 안 이후에는 화가 나지 않았다. 그것만 지나면 완주를 할 수 있다는 걸 알기에 즐겁게 그 고통을 지나보냈다. 논문 작업도 그랬다. 마지막 과정은 늘 힘들었다. 몇십번의 탈고끝에야 논문이 나왔다. 그 때마다 힘들다기 보다 당연한 과정이라 생각하니 더 편해졌다.


세번째 법칙은 작은 것.. 일상적인 것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근육을 키우는 것과는 달랐다. 10번 1세트씩 몇세트 하는 운동과는 달랐다. 같은 동작을 수만번 해야 하는 운동. 신발 안의 작은 돌 하나가 얼마나 아픈지 알게 되는 운동.  작은 버릇 하나가 어깨 통증을 유발하고 그냥 옷과 살과의 쓸림이 피가 나는 상처를 유발하는 운동.. 인생도 그랬다. 로또같은 인생은 별로 없었다. 작은 버릇이 시작되어 큰 실패로 끝나고, 작은 고민이 쌓여야 문제를 풀수 있었다. 매일하는 작은 버릇 하나가 모여 일년후 십년후엔 큰 자산이 되어 있다. 작은 동작 하나 작은 버릇 하나를 바르게 많이 반복할 수 있는 것이 완주의 비결이였다. 로또같은 아이디어는 늘 학회 논문에서.. 회사에서도 아이디어로 끝이 났다. 저널로 상품으로 가기엔 수많은 문제를 보였다. 작은 것을 하나하나 가다듬어야 했다. 사소해 보이는 수정 작업을 몇십번 몇백벚해야 했다. 그것에 집중할 수 있어야 했다. 인생이란게 그런게 아닐까 싶다.


대학원이란 작은 경주를 완주해보고 느꼈다. 긴 인생도 몇시간짜리 마라톤도 같다는걸..


요즘들어 졸업한지 몇년되지도 않았는데 그걸 자꾸 까먹어 글로 남겨본다.

다시 달리고 싶지만... 작은 부상때문에 쉬고 있지만.. 그렇다고 인생을 쉬고 있는 것도 아닌데 배운 것들을 까먹었다.

작가의 이전글 대체 가능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