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수희 May 26. 2016

우리가 입는 방식

옷은 우리 자신에 대한 많은 것을 드러낸다.

대학교 3학년 이후였나, 그때부터 갑자기 선후배들이 나를 찾기 시작했다. 그 전에는 있으나마나 한 존재, 좋은 말로 아웃사이더, 정확한 말로 왕따였기 때문에 아무도 나를 찾기는커녕 나라는 사람을 아는 이도 드물었다. 그런데 3년 정도 내가 돌아다니는 꼴을 보다 보니, 생각보다 무서운 사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대체 내가 왜 무서웠는지는 모르겠지만. 나야말로 학교와 선배와 동기와 후배들을 무서워하고 있었기 때문에 의아했다. 

그들이 나를 찾은 이유는 일을 시키기 위해서였다. 몇 번은 영화의 의상 담당이었고, 배우였던 적도 있다. 처음 출연한 영화는 의붓아버지에게 성폭행을 당하고 자살을 결심했으나 미래에서 온 자신의 아들을 만나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는 여고생이 나오는 그런 영화였는데, 내가 바로 그 여고생 역할이었다. 무려 14년 전의 일인데 지금도 그 영화와 나의 발연기를 생각하니 얼굴이 빨개진다. 또 한 편은 후배의 장편영화였는데 내 역할은 여형사. 그 후배는 얼마 전 하정우와 <더 테러 라이브>를 찍었다! 


아무튼 내가 의상 담당으로 캐스팅이 된 이유는 “네가 옷을 재미있게 입어서”였다. 잘 입는 것도 아니고, 멋지게 입는 것도 아니고, 센스가 있는 것도 아니고, 재미있게 입는다니. 그게 대체 무슨 말인지. 


나는 그런 사람이었다. 옷을 재미있게 입는 사람. 돌이켜 보니 그 시절 나는 거의 발악이라도 하듯이 이상한 옷을 입고 다녔다. 처음엔 힙합바지부터 시작했다.(그렇다. <건축학개론>에 나온 그 힙합바지 말씀이다.) 인도에서 산 티베트 원피스도 입고 다녔다. 군복 천을 떼어다 외할머니의 재봉틀로 대충 박아 무릎길이 스커트를 만들어 입기도 했다. 입으면 시베리아 곰처럼 보이는 갈색 아크릴 털코트도 입고 다녔다. 쇼킹 핑크색 카디건도 입었고, 배꼽이 다 드러나는 짧은 티셔츠도 입었다. 지금 생각하니 너무 부끄럽다. 그때 사진을 많이 찍지 않은 것이 정말 다행이다 싶다. 


그런데 나더러 옷을 재미있게 입는다고 한 사람들은 아직도 <영웅본색> 포스터와 주윤발의 바바리코트가 바람에 나부끼는 시절인 줄 착각하고 사는 사람들이었으니 내가 재미있어 보였을 수도 있다. 아무튼 나는 옷 입기에 관심이 많았다. 


왜 그랬느냐 하면 유치했기 때문이다. 나 자신이 너무 초라하게 느껴져서 옷으로 초라함을 감춰 보려고 했다. 어느 날 복도에서 1년 후배였던 배두나를 마주쳤는데 그 애는 1980년대에나 입던 빛바랜 청셔츠에 청치마를 입고 있었다.(그렇다. 요즘 유행인 그 청청패션!) 그런데도 배두나는 어쩐지 있어 보였다. 한창 밀리터리룩이 유행일 때 내가 동대문에서 산 싸구려 밀리터리 벨트를 하고 학교에 가자 사람들이 그 벨트 멋있다며 감탄하더니 “어제 배두나가 하고 온 벨트는 크리스찬 디올 거라던데 확실히 차이가 나네.”라고 덧붙였다.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배두나와 나는 사실상 대화 한 번 나눠본 적이 없고 그 사람은 내 존재조차 모를 테지만, 나는 내심 나의 라이벌을 배두나로 꼽았다. 아니다. 사실 그렇지 않다. 나는 포기가 빠르고 질투심에 몸부림치느니 내 멋에 사는 쪽을 택하는 스타일이다. 그 편이 정신건강에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 배두나야 어떻게 살든 관심도 없었다.(흥!) 


이제 나는 옷을 재미있게 입는 사람이 아니다. 잘 입는 사람도 아니다. 내가 패션에 한창 꽂혀 있던 20세기 말과 지금은 격세지감이라는 사자성어의 뜻이 팍팍 와 닿을 정도로 달라졌다. 20세기 말의 남자들은 염색이라곤 하지 않았고, 파마 같은 것도 하지 않았고, 얼굴에 뭘 바르지도 않았고, 그저 폴로 티셔츠와 벙벙한 청바지에 이스트팩 백을 메고 다녔다. 20세기 말에는 구하기 힘들었던 글로벌 트렌드의 옷과 가방과 구두들을 지금은 너무나 쉽게, 그것도 엄청나게 싼 가격으로 득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오히려 나는 패션에 관심이 적어졌다. 요즘은 그냥 손에 잡히는 대로 입는다. 거의 매일 청바지에 티셔츠다. 이제는 내게 어떤 옷이 어울리고 어떤 옷이 어울리지 않는지도 대충 감을 잡게 되었다. 그러니 더 이상 실험을 하지도 않는다(오로지 뱃살을 가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어쩌면 게을러진 건지도 모른다. 


그런데 내가 요즘 재미있게 생각하는 옷 입기는 일러스트레이터 안자이 미즈마루의 방식이다. 그는 별로 특별하게 옷을 입는 사람은 아니었지만 항상 구겨진 옷만 입고 다녔다고 한다. 새 트렌치코트를 사면 입은 채로 샤워를 해서라도 구깃구깃하게 만들었다고도 한다. 그런데 그게 또 그렇게 멋있었단다. 


이제 나는 마흔을 앞두고 있다. 솔직하게 이야기하자. 이 나이에 로맨스가 닥칠 가능성은 거의 없다(심지어 예나 지금이나 남자들은 나를 싫어한다). 가슴은 납작해지고 배는 나날이 부르고 있다. 다들 내가 뭘 걸치고 다니든 그냥 날 ‘아줌마’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니까 내가 뭘 어떻게 입든 남의 눈까지 신경 쓸 이유는 거의 없을 것이다. 뭘 입든 내 자유다. 남자에게 잘 보일 필요도 없다. 정말 좋다. 


그러니까 나도 일부러 구겨진 옷을 입어 봐야지. 전에 자라 매장에서 본 할머니처럼 흰 머리에 은색 타이즈를 신고 그 아래 나이키 운동화를 신을 수도 있을 것이고, 횡단보도에서 마주친 할머니처럼 표범무늬 원피스에 긴 목걸이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머리를 짧게 잘라보고 싶기도 하다. 남편은 남자 같다며 질색을 하겠지만 뭐 어때(흥!). 남자처럼 입든, 요부처럼 입든 아무도 내게 관심 없을 텐데. 

무슨 옷을 입어도 그 옷이 내 몸에 피부처럼 착 달라붙었으면 좋겠다. 그다지 많은 옷도 필요 없다. 그냥 내가 좋아하는 옷이 열 벌 내외로 걸린 옷장 하나만 가졌으면 좋겠다. 별로 고민할 것도 없이 그 옷들로 살았으면 좋겠다. 걸레가 될 티셔츠 같은 건 이제 좀 그만 샀으면 좋겠다. 그 티셔츠 다섯 벌쯤 살 돈을 모아 진짜 좋은 셔츠 한 벌을 샀으면 좋겠다. 하지만 문제는 다섯 벌의 티셔츠를 사는 기쁨을 버려야 한다는 일이다. 다섯 번 기쁠 걸 한 번 기뻐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제 좀 좋은 것 좀 입어봐야지, 라고 다짐하고 산 옷은 몇 번 입고 나면 왜 이걸 돈 주고 샀지? 라는 생각이 들게 하기 마련이다. 아, 어쩌면 좋을까. 


갸랑스 도레라는 프랑스 여자가 있다. 직업은 일러스트레이터, <사토리얼리스트> 블로그의 스콧 슈먼과 한때 연인이었다. 1달러짜리 페도라에 남자친구의 흰 셔츠와 고무 슬리퍼로도 멋을 낼 수 있는 여자다. 그런 열린 태도가 마음에 든다. 


옷은 우리 자신에 대한 많은 것을 드러낸다. 또 다르게 말하면 그것은 우리가 가진 많은 것을 감춰줄 것이다. 사실 갸랑스 도레는 열린 태도를 갖추지 못했으나 열린 태도를 꾸며내는 테크닉을 가진 여자일 수도 있는 것이다. 


나는 외모가 왜 중요하냐, 내면이 중요하지, 라는 말을 별로 믿지 않는다. 인간에게 눈이 달린 이유는 어쩌면 눈으로 판단하기 위해서일 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가 누군가의 외모나 피부색이나 옷차림으로 그를 판단하는 건 어쩔 수 없는 인간의 간사한 본능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나답게 옷을 입는 것은 살아가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다. 


나다운 것이란 무엇일까? 나는 무엇을 좋아할까? 또 무엇을 싫어할까? 내가 되고 싶은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나는 어떤 사람일까? 그런 고민의 결과가 우리의 스타일이 된다. 어쩌면 스콧 슈먼이 말했듯이 그런 고민의 과정이야말로 진짜 스타일일지도 모른다.  

매거진의 이전글 IKEA의 세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