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란도 Oct 26. 2024

메밀꽃필 무렵, 우리는 무엇으로 대화하는가

        



나뭇가지 잎사귀가 바람에 서로 맞부딪히는 소리가 파도에 자갈이 구르는 소리처럼 들린다. 바람은 기억의 저편을 흔든다. 바람은 그 어느 곳과 연결시킨다.  

   

<이효석 문학관>으로 가는 오솔길을 오르면서 그때의 봉평 장을 생각하지만, 끝없이 길게 펼쳐진 메밀밭 사이로 난 오솔길을 걷는 달빛 아래의 두 보부상 그림만 떠오른다. 전지적 구도이다. 달과 메밀밭 두 보부상이 한 번에 잡히는 시선이다. 영화적 시선이자 책의 시선이다.  

   

어제 넷플릭스에서 '신의 분노'를 보았다. 

영화는 어떤 시선에 대한 것은 끝내 풀어놓지 않았다. 

모호한 채로 장막 사이에 그대로 둔 것이다.     

문학관 주변의 오솔길을 산책하였다. 

소설이란 인간에게 무엇일까? 

창조자 관점에서 보자면 피조물에 대한 이해이지만 

피조물의 입장에서는 대체일 뿐이다. 

다만 피조물은 그것을 모르고 끝없이 갈등하는 것이다.

소설이 신의 관점을 떠나서는 구성될 수 없듯이 

모호한 장막 안에 갇힌 것은 한 세계이고 그 세계는 그 자체로 존재한다.     

한 장소에 이원의 세계를 덧씌우는 것은 신의 관점이며 창조자의 관점이며 전지적 작가 관점이다. 

환상은 그때 어디에 있는가. 

그대의 머릿속에 나의 머릿속에. 

공통적으로 공유한 것이 서로 맞물리지 않았다면 환상은 존재할 수 없다.      

이효석의 단편소설을 내가 공유하지 않는다면 

이효석이 투사한 세계를 내가 공유할 수는 없다. 

작품이란 바로 그러한 것 

소통의 매개체로서의 스크린과 같은 것.     

우리는 무엇으로 대화하는가! 

메밀밭에서 우리는 환상을 공유하고 그것으로 교감한다. 

현실의 관광지는 구실일 뿐

자기 머릿속 판타지로 그 공간을 체험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중첩된 그 이원적인 세계가 없다면

우리는 반쪽처럼 공허해지는 것이다. 

공허하니까 아마도 그 반쪽을 복제해 내는 것이다. 

비로소 완전해지는 세계를 체험하게 되니까 말이다.     


지나다 보니 봉평이었다

막국수를 지나칠 수는 없는 일이다

무심결에 봉평에서 

그 언젠가의 봉평축제를 떠올리며 나는 

이렇게 말했다     

"그때 내가 막걸리 마신다고 하니까 못 마시게 했지?"

"결국 마셨잖아, 거기서 오래 있을 수 없으니까 그랬지!"

"그 생각밖에 안 나, 오래가네"

"딴 데로 이동해야 하니 그랬지!"     

이리 기억이 다시 떠올랐으니 

그때의 막걸리 삐짐은 이제 기억 저쪽으로 밀어 놓아도 좋으리라 

기억 하나가 더 추가되었다 

그런데 무엇이 더 강력한 기억인지는 기억만이 안다 

그 언젠가 봉평을 다시 떠올리면 또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그때 내가 막걸리 마신다고 하니까 띠띠 한 표정으로 못 마시게 했지!" 

라고 말이다 

생각날수록 세세해지고 살이 붙는 기억!      

하지만 지금처럼 킥킥거리며 웃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이다 

막걸리 마시면서 투덜대거나 

마시고 있는 내 표정까지 세세하게 소환되는 풍경에서

그들은 그곳에서 내내 존재한다

하나의 각인처럼 새겨지는 장면들

안녕! 내내 잘 지내! 하며 책을 더...

어떤 애상함이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그것을 못내 놓고 온 듯한 그런 허전함

손에 잡히지는 않고 기억되는 그런 것들......     




















이전 01화 사람이 산다는 것은 온기인가 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