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9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부재'와 '채워짐'

모짜르트 피아노 협주곡 23번 2악장을 들으면서....

by 마주보기 Aug 05. 2021

모짜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3번 2악장을 듣고 있습니다.


철학자 김진영은 [이별의 푸가]에서 이렇게 썼습니다.

나는 기다리지도, 한탄하지도 않는다. 두려워하지도, 주문을 외우지도 않는다. 그건 모두 이별을 재회로 바꾸려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에게 재회는 없다. 당신의 부재가 두 번 다시 당신으로 채워질 수 없다는 걸 나는 안다. 그래서 나는 당신의 부재 속에서 재회를 꿈꿀 수가 없다. 그렇다고 당신의 부재 공간을 떠날 수도 없다. 때문에 나는 차라리 당신의 부재를 인정한다. 그 부재의 자리에 스스로 붙박인다. 그러면 돌아오는 당신이 아니라 떠나는 당신이 또렷이 보인다. 당신은 점점 더 멀리 떠나가고, 멀어지면서 사라진다. 하지만 사라지는 게 없어지는 건 아니다. 당신은 사라지면서 대기가 된다. 나는 숨을 쉬고 그 대기를 마신다. 당신을 들이마신다. 그리고 알게 된다. 왜 돌멩이에도 뿌리가 생기는지, 왜 돌멩이도 광합성을 하면서 살아가는지를.


너무나 지금 시점에서 내 맘에 와 닫는 글입니다.

모짜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3번 2악장의 음악을 들으며 이 글을 읽자니...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 “당신이 멀리 있으면, 당신의 모습은 점점 더 커져서, 온 우주를 다 채운다. 대기가 되어 내 몸을 가득 채운다.” 」


글이 떠오릅니다.


'부재'와 '채워짐'을 동시에 느끼지만... 그래도 아직은 '부재'의 공허함이 더 큽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채워짐'이 커지겠지요.


https://www.youtube.com/watch?v=j8e0fBlvEMQ

Hélène Grimaud – Mozart: Piano Concerto No. 23: II. Adagio
추천 브런치
작가의 이전글 우울하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