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가 박동수 Feb 28. 2020

71. <산책하는 침략자>

원제: 散歩する侵略者
감독: 구로사와 기요시
출연: 나가사와 마사미, 마츠다 류헤이, 하세가와 히로키, 다카스기 마히로, 츠네마츠 유리
제작연도: 2017

 영화의 설정은 단순하다. <신체강탈자의 침입>(1956)처럼 외계인들이 어느 인간들의 몸을 빼앗아 지구를 침략할 준비를 한다. 그 준비는 침략 대상인 인간들을 파악하기 위해 그들의 개념을 모으는 것이다. 침략자들은 사람들에게 이미지화된 개념을 빼앗는다. <산책하는 침략자>는 소유, 가족, 일, 자신, 타인 등의 개념이 사라지고 언어화되어 흩어졌기에 모두 백지화하고 개념에 대해 재고해야 한다고 말하는 영화처럼 보인다. 침략자인 신지나 아마노는 개념을 빼앗긴 인간들을 보고 행복해 보이지 않느냐고 말한다. 인간들이 지니고 사는 개념들은 온갖 언어에 의해 해체되었고 변질되었다. 언어로써 설명될 수 없는 개념을 이미지로 떠올렸을 때 침략자들은 개념을 약탈해간다. 개념을 빼앗긴 인간은 그제야 비로소 언어로서 설명될 수 없는 개념의 굴레에서 해방된다. 영화 말미에 이르러 결국 침략이 시작된다. 나루미는 신지에게 사랑이라는 개념을 가져가 달라고 이야기한다. 신지는 사랑이라는 개념을 빼앗아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침략은 멈춘다. 영화는 그로부터 두 달 뒤, 침략 이후 재건되는 어느 마을에서 마무리된다. 신지는 나루미가 입원한 병실을 찾는다. 앉아있는 둘은 서로 시선이 엇갈리게 앉아있다. 침략자들은 인간은 가질 수 없던 개념, 특히 사랑이라는 개념을 꽤나 즉각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한다(혹은 그런 것으로 보인다). 언어를 통해 어그러질 대로 어그러진 개념을 인간들은 조금씩 회복하고 있지만, 유독 사랑을 빼앗긴 나루미는 그렇지 못하다. 신지와 나루미의 엇갈린 시선은 다시 마주할 수 있을 것인가? 의사는 어떻게든 치료법을 찾을 것이라 말하지만 엇갈린 시선은 그 가능성마저 무시하는 것 같다. 어쩌면 <산책하는 침략자>의 결말은 사랑을 이야기하는 <우주전쟁>(2005)의 따뜻한 가족주의처럼 느껴질 여지도 있다. 그러나 나루미와 신지의 시선은 냉소적으로 그 가능성을 비웃는 기요시의 시선처럼 느껴진다.

 <산책하는 침략자>를 이야기하면서 같은 세계관을 바탕으로 제작된 6부작 드라마 <예조: 산책하는 침략자>(2017)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방영 이후 같은 제목으로 극장판이 제작되기도 한 이 작품은 2018년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극장판이 국내에 소개되기도 했다. <산책하는 침략자>에서 신부로 특별출연했던 히가시데 마사히로가 외계인 마카베로, 소메타니 쇼타가 그의 파트너 타츠오로, 카호가 타츠오의 아내 미유키로 출연했다. 두 작품은 유사한 이야기를 하고 있으나, <예조>는 훨씬 비관적인 톤을 띈다. 사실 같은 세계관이라고는 하지만, 두 작품의 이야기가 동시에 벌어지고 있다고 보기도 애매하다. 드라마판과 다르게 극장판에 삽입된 몇몇 꿈 장면과 살짝 달라진 편집 순서는 '그럼에도 사랑'을 이야기하던 <산책하는 침략자>와는 다르게, <예조>는 '그럼에도 불가능한 사랑'을 이야기한다. 짝을 이루는 두 작품은 각기 다른 명제를 가져와 충돌시키며 사랑에 대한 관점을 확장한다. 

이전 20화 70. <굿 타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