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화 <클로저>,  사랑 낯선 그 이름

지극히 현실적인 영화 <클로저>. 낯선 사람을 우연히 만나 사랑하게 되고, 가장 가까웠던, 심지어 절대 떨어지려 하지 않았던 둘 사이가 한순간에 변질되는 과정. 우리는 이러한 사랑의 패턴을 현실에서도 충분히 겪어왔고 현재에도 겪고 있으며 앞으로도 겪게 될 것이다. 과연 '영원한 사랑'이란 현실에서 존재하긴 하는걸까, 에 대한 질문은 인류가 지속되는 한 영원히 이어질 듯 하다.


국경은 물론, 심지어 신분조차 뚜렷하지 않은 이와 사랑에 빠지고 '사랑스럽다'고 말하고 행동하면서도 다른 이와 사랑에 빠지는 우리. 어이없기도 하고, 멀리서 바라보는 제3자의 입장에서 보면 우스꽝스럽기까지 한 연애사. <클로저>는 이러한 모습들은 냉소적으로 그려낸다. 첫눈에 반하는 사랑, 로맨틱한 순간들, 다른 이에게 느껴지는 사랑의 감정, 이별의 예감 등 사랑의 다양한 코드를 읽을 수 있는 <클로저>는 '어른들의 로맨스'다. 그들은 오래토록 만나온 연인의 행동에 담담하게 대처한다. 이미 겪어 볼만큼 겪어 본 이들의 로맨스는 확실히 매혹적이다.


<클로저>는 많은 관객들에게 사랑받는 작품이다. 하나의 작품을 감상함에도 불구하고 '언제 보느냐'에 따라 다른 관점을 표현하는 모습들만 봐도 이 영화가 '매력적인 작품'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20대 초반(이성과의 사랑 경험이 다소 부족한 때)에 볼 때는 '이해가 안 됐던' 작품이 20대 후반, 30대, 그 이상으로 갈수록 '마치 나의 이야기'라 느껴지는 작품이라고나 할까. 이미 우리가 겪고 있는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클로저>에 끊임없이 빠져있는 이유는, 이 영화가 연애와 이별을 반복하는 우리들에게 '괜찮다'며 공감과 위로를 전해주기 때문일테다.




출처: DAUM 영화



댄: 사랑해.

앨리스: 어디있어?

댄: 뭐?

앨리스: 보여줘. 사랑이 어디 있어? 볼 수도 만질 수도 느낄 수도 없어. 몇 마디 말은 들리지만 그렇게 쉬운 말들은 공허할 뿐이야. 뭐라고 말하든 이젠 늦었어.



출처: DAUM 영화



할 때는 열렬하지만, 끝이 나면 공허하고 아픈 사랑. 이름조차 알지 못하는 낯선 이와의 감정이 사랑이라면, 사랑의 존재 자체가 무의미하고 허망하다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사랑을 갈망할 수밖에 없는 인간이기에 끊임없이 순간의 충동과 허망함의 감정을 타인과 나누고 있다.



출처: DAUM 영화



물론, 영화의 OSTDamien Rice의 'The Blower's Daughter'는 <클로저>를 논할 때 절대 빠뜨릴 수 없는 매력 요소다. 사진으로 우리의 삶을 포장, 왜곡하는 것처럼 우리는 사랑을 단지 '아름다운 것'이라며 미화하고 쉽게 말하곤 한다. 과연 사랑에는 아름다움만 존재할까. 슬픈 질문이겠지만, 우리는 모두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위해 반복되는 사랑의 경험을 반복한다고 생각한다. 낯선 이와 나누는 왜곡(미화)된 희로애락의 경험을 말이다.

이전 08화 영화 <줄리 앤 줄리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