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hil lee Aug 21. 2019

1994년 14살 여중생이 포착한 잊을 수 없는 그날

[미리보는 영화] 결코 날개 꺾이지 않는 <벌새>, 따뜻하면서도 슬프다

사회적 참사를 대하는 영화적 태도는 어때야 할까. 답이 없는 질문이지만 무의미한 질문은 아니다. 극영화와 다큐멘터리에서 그간 사회적 비극과 사건을 다룬 작품이 있어 왔고, 앞으로도 있을 것이기에 적어도 창작자 입장에선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물어야 하는 질문이기도 하다.


첫 장편 영화 <벌새>의 김보라 감독의 선택은 자신의 청소년기였다. 1994년, 그러니까 정치적으로는 (문민정부로 대변되는) 민주정부 출범 1기였고 사회적으로는 경제 도약에 대한 희망이 부풀던 때였다. 한창 감수성이 예민할 청소년이 바라본 그때는 사람들이 목놓아 외치던 '희망'과 '성공'에 얼마나 가까이 있었을까.


적확한 대사와 정확한 인물 묘사


대부분 감독의 첫 장편이 그러하듯 <벌새> 역시 감독이 몸소 겪은 체험과 감흥의 흔적이 오롯이 묻어있다. 중학교 2학년, 14세 은희(박지후)로 대변되는 감독의 시선은 그렇게 절망적이지도 그렇게 희망적이지도 않다. 딱 그 나이대가 겪을 법한 혼란과 호기심을 품은 은희는 떡집을 운영하면서 종종 심하게 다투기도 하는 부모, 가부장적 가치관을 그대로 체화한 큰 오빠, 꾸미기를 좋아하고 한창 사춘기에 돌입해 반항 기질을 보이는 언니 수희(박수연) 틈에서 자신의 세계를 품고 있다. 


영화는 은희의 학교생활과 집안생활, 그리고 학원생활을 축으로 그가 관계 맺는 여러사람들을 제시한다. 만화를 좋아하는 은희는 어째 이 세 곳에서 모두 조금씩 위태롭다. 단짝 친구, 남자 친구, 그리고 가족이 종종 그의 믿음을 배신하고 마음에 상처를 낸다. 관계의 단절과 회복의 반복을 통해 우리는 은희라는 아이가 참 보통의, 하지만 적어도 사람에 대한 기대와 사랑을 놓지 않는 착한 심성의 소유자임을 알게 된다. 


<벌새>의 묘미는 정확한 인물 묘사와 적확한 대사들에 있다. "노래방 말고 서울대 가자!"를 주문처럼 조회 시간에 강조하는 담임 선생, 장남인 오빠의 공부와 안위에 더 신경 쓰는 것 같은 아빠, 그런 아빠의 가치관을 고스란히 답습한 채 종종 동생에게 손찌검하는 오빠, 어수룩한 모습과 옷차림으로 종종 은희와 그의 단짝 친구의 놀림감이 되는 보습학원 선생 등이 영화에서 등장하고 사라진다. 


이런 인물들이 은희에게 내뱉는 대사와 보이는 행동들이 하나씩 쌓이면서 영화적 긴장감과 캐릭터의 입체성을 담보한다. 거창한 사건, 사고는 없음에도 관객입장에서는 은희의 마음과 그가 처한 상황에 자연스레 눈과 귀를 집중하게 될 법하다. 


매우 미괄식이다. 일반의 상업 장편 영화처럼 사건의 강약을 통해 긴장감을 담보하지 않고, 하나씩 은희와 그의 상황, 주변 인물의 반응을 전하는 방식은 후반부에 등장하는 성수대교 붕괴 장면에 이르러 어떤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그 감흥이 어떤 것일지는 관객마다 분명 다를 것이다. 다만, 종합하면 우리가 겪었지만 잊고 있던 1994년의 공기, 나아가 왠지 1995년 6월 29일에도 2014년 4월 16일에도 벌어졌던 그 사건들의 원인이 무엇인지 어렴풋이 돌아보게까지 한다. 


 

    


▲<벌새> 스틸컷ⓒ (주)엣나인필름

 

오랜 꿈의 흔적


'대체 우린 무얼 잊고 있었고, 무엇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을까'. 영화 <벌새>의 김보라 감독이 오랫동안 품고 있던 질문이다. 이 영화의 시작은 감독의 미국 유학 시절 무렵이었다고 한다. 반복된 꿈, 그 꿈에 등장한 자신이 어릴 때 겪었던 일들과 몇 가지 장면이 동력이 된 경우다. <벌새>에 앞서 그가 내놓은 단편 <리코더연주>에 초등학생 은희가 등장하는데 그 작품이 바로 <벌새>의 프리퀄이라 할 수 있다. 


그때로부터 좀 더 자란 은희에게 반복적으로 주변 사람들이 제시 혹은 주입하려 한 건 성공이라는 어떤 막연한 가치다. 왜 공부를 해야 하고 어른의 말을 잘 들어야 하는지, 왜 학원을 열심히 다녀야 하는지 궁금증과 호기심을 가득 품은 은희에게 대부분은 그래야 성공하니까 답한다. 당장 은희가 원하고 필요한 건 진심어린 관심과 사랑이다. 그리고 자신 역시 진심을 다한 사랑을 주고 싶다. 콜라텍에 다니고, 종종 담배를 피는 은희를 누군가는 날라리라고 하지만 누구보다 은희는 마음 다해 사람을 대하고 있다. 


마음을 다한다. 어쩌면 감독이 말하고 싶던 '우리가 잊고 있었던 것들'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다행스럽게도 은희는 마냥 상처만 받지 않는다. 병원에 입원했을 때 병실 아줌마들은 유독 은희를 귀여워 했고, 놀림감이 되던 보습학원 남자 선생 후임으로 온 영지 선생(김새벽)은 은희를 미성숙한 어린 존재가 아닌 하나의 사람으로 대하려 했다. 언뜻언뜻 보이는 이 따뜻함 역시 1994년 그때 존재했던 하나의 진실한 풍경이다. 


끊어질 듯 이어지는 마음과 마음은 은희가 스스로를 치유하고 현재를 살게 하는 힘이다. 사람이 살 수 있는 건 돈도 권력도 좋은 학교도 아닌 우리가 맞대고 살아가는 소중한 존재들과의 교감이라는 아주 평범한 진리를 은희라는 평범한 아이를 통해 감독은 말하고 있다. 지금까지 반복되는 사회적 참사 역시 마음을 다하지 않은, 엉뚱한 성공과 겉치레만을 바라본 결과가 아닐지 감독은 은희를 통해 묻는다.


그렇기에 후반부 은희의 눈물이 더욱 특별하게 다가온다. 함께 슬퍼해야 할 때 슬퍼하지 못한 사람들, 고의인지 우연인지 알 길은 없지만 미처 애도하지 못한 어른들의 슬픔을 은희가 안고 대신 울어주는 듯한 모습에 함께 눈물이 날 법하다. 마음껏 울어도 좋겠다. 그럴 수 있다면 당신 역시 희망이 있다. 영화 제목인 벌새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새지만 누구보다도 많이 날갯짓하며 꿀을 찾는 동물. 감독에 따르면 벌새라는 생물은 희망, 포기하지 않는 생명력을 뜻한다고 한다.



한 줄 평:  잊고 있던 걸 되찾게 하는 놀라운 마법같은 영화
평점: ★★★★☆(4.5/5)


             

영화 <벌새> 관련 정보


감독: 김보라
출연: 박지후, 김새벽, 정인기, 이승연
제작: 에피파니 & 매스 오너먼트
제공 및 공동배급: 콘텐츠판다
배급: 엣나인필름
러닝타임: 138분
관람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개봉: 2019년 8월 29일
 



이전 08화 <항거>와 유관순... 왜 배우들은 죄송하다고 했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