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황금별 Jan 01. 2022

눈덩이처럼 돈 불리는 마법의 부자되기!

복리의 마법 '72법칙'

2022 임인년  귀하디 귀하다는 호랑이 중에서도 흑호, 검은 호랑이 해가 열렸습니다. 신년 목표와 계획은  세우고 계신가요? 저도 2017년부터 매년마다 가족과 회사 그리고  개인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5가지를 구체적으로 엑셀에 적어서 체크해가고 있습니다. 올해로 5년째 해오고 있는데, 매년  성과를 체크해보면 보통 3가지 이상은 달성하고, 1~2가지 정도는 실패하더라구요. 그래도 매년 꿈과 목표를 적어서 기록해가니  과정을 통해 이렇게  하나 이뤄가는 구나 라는 만족감과 함께  이룬 목표에 대한 반성도 하니까 도움이 되더라구요. 여러분도 아직 세우지 못하셨다면 조용히 혼자만의 시간을 통해 구체적인 꿈과 목표를 세워서  이루시길 기원드립니다.


여러분은 왜 경제적 자유를 꿈꾸시나요? 제가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이유는 나의 소중한 시간을 내가 좋아하는 일에 모두 사용하기 위함인대요. 내가 돈을 벌기 위해 나의 소중한 시간을 내가 하기 싫은 일에 사용하고 있다면, 당신은 여전히 경제의 노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대해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72법칙에 대해 들어보셨을 텐대요. 복습한다 생각하시고 영상을 한 번 더 시청해주세요.

72법칙은 간단히 말해서 투자한 원금이 두 배가 되는데 걸리는 기간을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72를 연이자율이나 투자수익률로 나눈 숫자가 바로 원금이 두 배가 되는 기간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살펴볼게요. 이자율이 2%인 은행에 예금을 들었다면 72 나누기 2%는 36년 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즉 투자원금이 2배가 되려면 36년이 걸린다는 의미죠.


만약 여러분이 부동산 임대소득으로 연간 4%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면, 72 나누기 4%는 18년이 됩니다. 제가 작년에 미국배당주 투자를 통해 투자원금대비 약 5%의 수익을 거뒀는대요. 매년 이렇게 5% 배당소득을 거두게 되면 제 투자금이 2배가 되는데 14.4년이 소요됩니다. 만약 배당소득 외에 시세차익 등을 감안해서 총 20%의 투자수익을 거뒀다면, 원금이 2배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엄청나게 단축되서 3.6년이면 투자금을 2배로 불릴 수 있습니다.


결국 얼마나 높은 수익률을 올리냐에 따라 복리의 법칙은 무섭게 투자금을 불려주게 됩니다.

72법칙을 제시한 사람은 천재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입니다. 아인슈타인은 복리는 세계 9대 불가사의 중 하나라고 말하며 72법칙을 제시합니다. 이 이론을 토대로 주식이나 각종 자산에 투자하면 우리는 큰 수익을 올려서 자산을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재테크는 복리이므로 투자금을 꾸준하게 늘리는 것이 중요하고 수익은 지속적으로 나와야 복리로 빨리 불어납니다. 다만 마이너스 손실도 복리로 줄어들기 때문에 위험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복리란 시간에 투자하는 것이므로 긴 호흡으로 인내심을 가지고 오랜기간 꾸준하게 투자해야 합니다.


아인슈타인이 제시한 복리의 마법 72법칙을 깨닫고 꾸준하게 투자한다면 여러분은 분명 성공한 투자자가 되실 수 있을 것입니다.

72법칙은 아인슈타인이 제시했지만, 유명하게 된 건 피터린치 덕분입니다. 피터린치는 1977년부터 1990년까지 마젤란 펀드를 운용하며 2700%라는 경이적인 수익률로 연평균 29%라는 복리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이 피터린치의 방식대로 물가상승률을 계산해본다면, 우리나라의 지난 20년간 식료품 물가상승률은 3.9% 정도입니다. 이 계산을 적용하면 식료품의 가격은 18.5년마다 2배가 된다는 건대요.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과자인 새우깡은 1974년에 50원이었고, 1997년에 10배인 500원이 되었고, 지금 판매가는 1,500원입니다. 1974년에 비해 새우깡의 가격은 30배나 올랐고, 새우깡의 공급이 부족해서 희소가치가 상승한 것이 아니라 그동안 돈의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미래에 새우깡의 가격은 하락할까요? 아마 새우깡의 가격은 계속 올라갈 것입니다. 이를 경제학적 이론으로 정리한 것이 #화폐수량이론 인데, 화폐가 늘어난 만큼 화폐가 흔해져서 가치가 떨어지기에 자산의 가격은 올라간다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란 시중에 발행되는 화폐량의 증가로 인해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전반적인 물가가 꾸준히 오르는 경제현상입니다. 즉 돈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것입니다. 작년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기로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국가가 양적완화를 실시하며 돈을 많이 찍어냈고 이는 시중으로 유통되는 화폐량의 증가로 이어져서 부동산과 주식시장의 가격을 끌어올렸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라는 시스템, 특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이해를 해야 성공하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 시대에서 살아남으려면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가치가 상승할 자산의 소유권을 얻어야 합니다. 그런 가치있는 자산이 바로 세계 최대의 자본시장인 미국의 최고기업들이 모여있는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지금 한국은 공무원이나 안정적인 공기업 등을 제외하면 이미 45세에서 50세에 정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파이어족은 결단력이 강하고, 현재의 행복을 추구하고, 자기 절제가 가능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아무 준비 없이 은퇴를 맞이한 사람들보다 미래에 대한 위험성도 더 적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지금 이 영상을 시청해주시는 분들이 만약 20대나 30대 초반의 젊은 분들이라면 파이어족이 되기 위해 지나치게 투자에만 몰두하는 것은 경계해야 합니다. 투자를 하더라도 5년 10년 이라는 중장기적인 구체적 목표를 세우고 한 발 한 발 전진해가는 건전한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데, 주식이나 코인 등을 통해 일확천금만 노리는 투자는 아주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시장 앞에서 늘 겸손하고 단기간에 큰수익을 쫓는 행운을 바라지 말고, 꾸준히 시장을 학습해가시기 바랍니다. ‘성공한 투자자는 자기만의 투자방식을 찾은 사람입니다.’ 우리 모두는 각자 연령이나 성별, 가진 자산이나 투자성향 등 모든것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세운 목표대로 한 걸음 한 걸음 전진해가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 한해도 성공한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은 유튜브를 통해서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NVjaqd2RtC0


이전 01화 트리니티연구소의 '4%의 법칙'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