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음은 콩밭에 Apr 02. 2024

(독서)젠가

정진영

조직 이야기. 원전 비리, 미생 처럼 기업 내에 벌어지고 있는 사내 정치, 승진을 둘러싼 협잡과 갈등, 인간사의 온갖 악의 에너지들이 집적된 회사 이야기. 뭐 그런 느낌인데 어느 누구도 선인으로 그리지 않고, 적당히 교활하고 이기적이며 욕망투성이인 사람으로 그려놓은 것이 인상적이었고 매우 많이 현실적으로 느껴졌다. 


적나라하게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이야기가 주는 불편감이란 게, 저자의 연령대/젠더 감수성/사고방식을 어느정도 추론할 수 있게 전개되기 때문인건진 모르겠는데(저자의 문체, 존재감이 자꾸 행간으로 불쑥 튀어오르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의 속도감, 날렵함, 필치를 배움. 


사내 정치 이야기가 문학이 될 수 없는 이유랄 게 있을까. 너무 풍속/세테적이어서? 보편적인 문제라고 볼 수 없어서? 드라마에나 어울리는 소재라서?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어서? 잘 모르겠는데 맨 앞부분의 승진을 두러싼 사내 정치 이야기는 활자로 읽기가 버거웠음. 


작가의 말이 좋다. 


황야에 홀로 선 개인의 운명은 위태롭다. 우리가 조직을 만들어 협력하는 이유는 예측가능성을 높여 일상을 지키기 위함이 아닐까. 그렇다면 조직 논리는 공공의 이익과 선을 추구하는 공동체 의식에 바탕을 둬야 할 것이다. 과연 대한민국의 조직 논리가 그런 공동체 의식에 바타을 두고 있는가. 대한민국이라는 거대한 조직 안에서 우리는 연대하고 일상을 지킬 힘을 얻을 수 있는가. 그에 관한 의문이 이 소설을 쓰게 된 이유다. 

작가의 이전글 (독서)내게 무해한 사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