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형일 Jul 10. 2022

죽은 자의 집 청소, 어금니 깨물기

#22.6.19 김완,  김소연

김완(20.5.30). 죽은 자의 집 청소김영사

“누군가 홀로 죽으면 나의 일이 시작된다” 

 죽음 언저리에서 행하는 특별한 청소 서비스,  쉽사리 볼 수도, 치울 수 없는 곳을 청소하는 특수청소업체 ‘하드웍스’ 대표 김완의 죽음 에세이다. 현장 이야기를 주로 다루는 1장에는 픽션이라고 생각될 만큼 비현실적인 현실 이야기가 펼쳐지고, 2장에선 특수청소부로서 느낀 힘듦과 보람부터 직업병, 귀신에 대한 오컬트적인 이야기까지 다채로운 에피소드가 기록되어 있다. 어느 특수청소부의 직업 현장을 따라가다 보면 고독사의 현실, 민낯을 마주하게 된다. 노인뿐만 아니 중년 그리고 청년에게까지 엄습하는 쓸쓸한 죽음. 세대와 성별을 가리지 않는 고독한 죽음 이야기를 하나둘 접하다보면 고정관념이 점점 깨진다. 생을 포기하기 직전까지 어떻게든 살아보려 삶의 절벽 끝에서 아등바등하던 흔적이 현장 곳곳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일상에 치여 하루하루 허덕거리는 어느 여름, 가끔 하늘을 보고 "나는 어떤 죽음을 맞을 것인가?" "그리하여 나는 어떤 삶을 살 것인가?"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


건물 청소를 하는 이가 전하는 그녀는 너무나 착한 사람이었다. 그 착한 여인은 어쩌면 스스로에게는 착한 사람이 되지 못하고 결국 자신을 죽인 사람이 되어 생을 마쳤다. 억울함과 비통함이 쌓이고 쌓여도 타인에게는 싫은 소리 한마디 못하고, 남에겐 화살 하나 겨누지 못하고 도리어 자기 자신을 향해 과녁을 되돌려 쏘았을지도 모른다. 자신을 죽일 도구마저 끝내 분리해서 버린 그 착하고 바른 심성을 왜 자기 자신에겐 돌려주지 못했을까? 왜 자신에게만은 친절한 사람이 되지 못했을까? 오히려 그 바른 마음이 날카로운 바늘이자 강박이 되어 그녀를 부단히 찔러온 것은 아닐까?  p.27

그의 쓰레기를 대신해서 치우는 것 같지만 사실은 내 삶에 산적한 보이지 않는 쓰레기를 치우는 것 같다. 내 부단한 하루하루의 인생은 결국 쓰레기를 치우기 위한 것인가?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해답도 없고 답해줄 자도 없다. 면벽의 질문이란 으레 그런 것인지도 모른다. 질문이 또 다른 질문을 끊임없이 초대하는 세계, 오랜 질문들과 새로운 질문들이 만나 서로 인사를 나누고 건배를 제창하는 떠들썩한 축제 같다. p.65

케이지 안에는 칸마다 서로 다른 고양이의 털가죽이 눌어붙어 있다. 회색 털은 러시안 블루라 불리는 묘종猫種, 크림색 털은 샴, 밝은 갈색에 군데군데 흰 줄무늬가 있는 것은 아메리칸쇼트헤어…. 평소 고양이를 사랑해온 인간으로 이 참담한 상황에서 털만 보고 종을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에 스스로 기가 막히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했던가? 그 속담 뒤에 스며 있는 명예 지상주의와 지독한 인간 본위의 세계관이 늘 못마땅했다. 이름과 가죽을 남기는 일 따위가 죽음 앞에서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가? - p.80

어질러진 것을 치우고 비운다. 그 점에서 내가 하는 일도 식탁 치우기와 다를 바가 없다. 식탁 위에 차렸던 것을 주방으로 옮기듯 그저 집에 있는 것을 끌어모아 집 바깥으로 내보내는 것이다. 매일 지구상의 모든 가정과 식당에서 일어나는 식탁 치우기는 내 일과 본질적으로 같다. p.134

그곳이 어디든, 우리가 누구든, 그저 자주 만나면 좋겠다. 만나서 난치병 앓는 외로운 시절을 함께 견뎌내면 좋겠다. 햇빛이 닿으면 쌓인 눈이 녹아내리듯 서로 손이 닿으면 외로움은 반드시 사라진다고 믿고 싶다. 그 만남의 자리는 눈부시도록 환하고 따뜻해서 그 어떤 귀신도, 흉가도 더 이상 발을 들이지 못하리라.  p.165

나는 아직 배에서 내리지 않았다. 우리는 여전히 함께 배를 타고 있다. 그것만큼은 오래도록 잊지 않을 것이다. p.185


김소연 (22.6.5). 어금니 깨물기사랑을 온전하게 보는 방식마음산책.

“엄마는 엄마를 끝내고 나의 자식이 되어 유리 벽 너머에 앉아 있었다” 

엄마에 대한 오랜 애증의 마음, 어머니의 기나긴 투병생활, 그 ‘어금니를 깨물며’ 버텼던 날을 떠올리게 하는 글들로 빚어진 산문집. 


증오심이 성장기의 내게는 얼마간 유용했다. 덕분에 내 마음대로 내가 되어갈 수 있었다. p. 16

내가 숨기는 것들이 엄마에게 보일까봐, 바깥에서 내가 만난 사람과 보낸 시간과 해본 경험들이 엄마에게 읽힐까봐,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엄마가 다 알아버릴까봐, 엄마를 얼마나 싫어하는지 들킬까봐 싫었다. p. 18

숟가락이 입속을 들락거릴 때에 치아와 부딪치는 소리 또한 좋아한다. 수프나 뜨거운 국물을 떠 마실 때의 느낌을 특히 좋아한다. 젓가락을 쓸 때에는 손에게 쾌락을 주는 느낌이라면, 숟가락을 쓸 때에는 크게 벌린 입에게 쾌락을 주는 느낌이 든다. 숟가락에 그득 담긴 찰랑찰랑한 액체를 입에 넣으면, 어쩐지 물약으로 된 해열제를 나에게 떠먹이던 어릴 적 엄마가 눈앞에 있는 것만 같고 나는 곧 회복될 것만 같다. p.27쪽

장소라는 말과 공간이라는 말은 엄연히 구별된다. 장소는 시간이 부여해준 가치와 역사가 부여해준 이야기를 함께 담은, 고유한 이름이 있는 공간이다. p. 61쪽

기억나지 않아서 다행이었다. 거기가 어디였는지를 기억할 수 있었다면 찾아오지 않았을 기억들을 되찾을 수 있어서. 기억나지 않는다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백한 사물 하나가 증거물처럼 내 앞에 있다는 그 사실을 나는 시로 쓰기 시작했다. 명백한 것과 명백하지 않은 것의 간격 사이에서 비가 쏟아져 내리고 있었다. p. 70

이러한 나를 견디다 견디다 공책을 펴고 연필을 들고 나는 시를 쓴다. 시를 쓰면서 또다시 치명적인 순간을 경험한다. 어떤 단어는 도망치고 싶어 하고, 어떤 단어는 자책하고, 어떤 단어는 애닳아하고, 어떤 단어는 어쩔 줄을 몰라 한다. 나는 더 어쩔 줄을 몰라 한다. p. 73쪽

아름다움에 매료되지만 아름다움이 어딘지 모를 비린내를 품고 있다는 것에 낙담하는 과정을 겪고, 괴로움인 줄 알았으나 괴로움이 종내는 비겁함의 다른 얼굴이었음을 확인하는 과정을 겪는다. p.75쪽

아버지의 맨 처음 직업은 농업 교사였다. 저녁이면 야상 점퍼를 입고 다방에 나가 음악을 들었다. 그는 담배 피우는 법과 당구 치는 법을 배웠다기보다는 담배를 멋있게 피우는 법과 당구를 멋있게 치는 법을 배웠다. 멋있게 하는 법을 배우면 외롭지 않았다. 쉽게 누군가와 친해질 수 있었다. 어떤 사람은 다가와 인사를 건넸고 어떤 사람은 힐끗거렸다. 가장 무뚝뚝했던 사람에게 궁극의 구애를 펼쳐 그는 결혼을 했다. p. 105쪽

아버지는 자식들의 우상이었던 적이 없었다. 능력도 제로였지만 권위나 억압도 제로였기 때문에 아버지는 가족의 평등한 일원에 가까웠다. 하지만, 오래 기억하고 이야기 나눌 이미지 몇 가지를 확실하게 선물해주기는 하셨다. 이를테면 전나무 같은 것. 12월이 시작되면 잘생긴 전나무를 가져와 마루 한쪽에 세워두고 자식들에게 크리스마스 장식물을 매달게 했다. 반짝이는 크리스마스 전구에 휩싸인 전나무의 모습은 아버지의 모습이기도 했다. 플라스틱이 아닌, 진짜 전나무. 크리스마스 시즌에만 잠시 빛나던. pp. 109~110

기다렸던 문장은 언제고 한 걸음 늦게 내게서 구현될 것이고, 그것을 구현하는 나는 언제고 다른 것을 기다리는 사람이 되어가는, 시차와 낙차를 경험하는 자가 될 것이다. 나는 시차와 낙차를 발견하는 자이고 그것을 자주 경험하는 자일 것이다. p.170



매거진의 이전글 고독사 워크숍, 저만치 혼자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