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유 Feb 28. 2023

우리는 언제나 다시 만나

다시 만날 때마다 꼭 안아줄게

주말에도, 서너시간이라도 꾸준히 일을 해야지,

하루라도 건너뛰면 감도 잃는 것 같고 일하는 모드로 들어가는데에 한참이 걸린다.


서너시간인데, 아이아빠가 그정돈 걱정 말라고 무던하게 아이를 맡아주면 참 좋을텐데, 아이는 아이대로 낮잠시간에 엄마가 없으면 운다고 하고, 주말에 밀린 잠을 자고싶었던 아이아빠는 부루퉁한 얼굴로 나를 맞아, 일하느라 진빠져 온 나를 맥빠지게 한다.


그럼 낮잠시간을 피해 일하면 될텐데, 아이가 쌩쌩할 땐, 주말인데 어디라도 셋이 놀러갔다 와야할 것 같아서.

세가족 노는 시간도 필요하고 일도 해야 하고 남편은 그럼 난 언제 쉬냐고 하고. (그럼 난 언제?)


어쨌든 고심해 찾아낸 해결책이 주말 중 하루 남편이 아이만 데리고 시댁에 다녀오는 것이다.


시부모님은 손주 봐서 좋고, 남편은 부모님이 아이 봐주는 동안 쉴수 있어 좋고, 난 밀린 집안일도 하고 작업도 할수있고.


문제는 아이가 엄마 없이 아빠와만 긴 외출을 한적이 (두돌이 지난 여태껏!) 없었다는 건데.


지지난주, 첫 시도 땐, 엄마만 남겨두고 집을 나서면서는 어색해하더니, 차안에선 의외로 평온했고, 시댁 가선 잘 놀다가 졸리니 엄마 찾으며 울었다고.


집에 돌아온 아이 앞에 달려나가, 쭈그리고 앉아 눈을 맞추고 표정을 살폈다.


외출했다 오면 집이 덥다며 외투부터 벗으려고 부산을 떠는 아이가, 가만히 미소지으며 지긋이, 한참이나 내 눈을 들여다보며 서있었다.


그 얼굴이 낯설면서도 너무 예뻐 나도 눈을 못 떼고 마주보고 있었는데. 5초나 10초쯤 지났을까? 끄덕끄덕, 고개를 두번 끄덕이는 아이.


엄마는 여기 잘 있었구나. 나도 잘 다녀왔어. 눈으로 말하는듯 했다.

그 눈빛과 표정, 그때 받은 감동이 잊혀질까봐 벌써부터 아쉽다.

오래 기억하고 싶어 글로 적어둔다.

맘같아선 집 여기저기cctv라도 달아, 인상적인 순간들은 모두 영상으로 남겨두고 싶지만.​

그럼 그순간이 그리 애틋하진 않았을 것 같다.


지난주말, 부자만의 두번째 시댁방문은 시작부터 수월했다. 엄마 다녀오세요! (다녀오는건 너야 ㅎㅎ) 씩씩하게 인사하고 나서더니, 시댁 가서도 신나게 놀았고, 울음 없이 할머니 품에서 낮잠도 잘 잤단다. 돌아와서의 애틋한 눈맞춤은 두번다신 없었다. ㅎㅎ


"우리는 언제나 다시 만나"


친구한테 물려받은 거 말고, 서점 가서 내가 직접 고른 첫 아이 책 제목이다.


송이야. 우리는 잠시 떨어져 있어도 곧 다시 만나.

이젠 너도 그걸 알고 있고, 믿고 있는 것 같다.

그 믿음이 네게 편안함과 힘을 줄 수 있으면 좋겠다.

엄마에게 그런것처럼 말야.


어린이집 봄방학은 짧은데 길고, 길지만 짧구나.

벌써 내일이 마지막 날이고, 모레부턴 새학기다.


새학기에도 우리, 잘해보자.

아침엔 서로를 응원하며 헤어지고, 저녁엔 서로를 환대하며 다시 만나.

매거진의 이전글 28개월+1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