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정답 보다는 질문 & 관점이 더 중요한 시대가 왔다.

by 이승훈 Hoon Lee Dec 20. 2024


오늘 한국에서 공교육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분들과 미국 산마테오 오피스에서 짧게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현 시대에 맞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의 방향성 및 AI 활용법'에 대한 주제에 대해 솔직한 의견을 나눌 수 있었다.


나는 내 의견을, MBA 에서의 경험, 그리고 Ringle 을 하면서 느끼고 있는 점을 토대로 아래와 같이 말씀드렸다.  


==


내가 경험한 Stanford MBA 수업의 특징은 아래와 같았다. (다른 Top MBA 도 유사할 것이라 생각한다)

  - Case Study 중심의 수업 (이론을 배우기 보다는, 특정 주제에 대해, 실제 회사의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 

  - 수업 내 약 10~50명의 학생, 교수님, 그리고 Guest Speaker 가 참여 (Guest Speaker 는 Case Study 의 실제 주인공인 경우가 많음) 

  -수업 진행 시간은 보통 1시간 45분 소요 (1개의 Case 에 대해, 1시간 45분 간 1) 학생들 간 토론, 2) Guest 의 설명, 3) Q&A 방식으로 진행) 


위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는 MBA 수업 관련, 함께 수업을 듣는 동기들 중 수업의 Quality 를 한 단계 높여주는 친구들이 있었는데, 해당 친구들은 2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 적절한 타이밍에 꼭 필요한 & 중요한 질문을 던져서, 수업이 맞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게 돕는다.

   - 수업 중, 본인의 과거 경험을 토대로, 본인의 솔직한 생각 & 관점을 전달하여, 토론이 입체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다.


MBA 뿐 아니라, 회사에서도, 좋은 결과물 및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사람들은, 1) 좋은 질문을 적절한 시점에 던져주는 사람, 2) 현상에 대한 돌파구를, 본인만의 관점을 바탕으로 제시하는 사람, 3) 원하는 성과/결과물이 나올때까지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학교에서의 평가 체계는, 그리고 회사에서의 평가 체계는 1) 질문의 가치, 2) 내 관점의 가치를 평가하지는 못한다. 학교에서의 평가 체계는 누가 주어진 시간 내 더 많은 문제를 정확하게 맞히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고 (질문을 잘하는 사람 보다는, 정답을 빠르게 말하는 사람을 선호한다), 회사에서의 평가 체계는 주어진 일을 다 했는지? 해당 일을 잘 했는지?에 (잘 했는지의 기준은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fit이 얼마나 잘 맞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한다) 주안점을 두고 있다.


앞으로 AI 시대가 되면 될수록, 질문을 잘하는 것, 그리고 나만의 관점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의 가치는 더 중요해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해당 부분을 교육시키는 것이 교사의 주된 영역이 되리라 믿고, AI 보다는 사람이 더 잘 교육시킬 수 있는 부분이 되리라 생각한다.  


==


오늘도 스타트업 현장에서는 1) 팀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질문을 적절한 타이밍에 잘 공유하고, 2) 내 관점을 토대로 답을 만들어 나갈 줄 아는 사람을 애타게 찾고 있다. 이런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교육이, 교사/교수를 중심으로 교육 현장에서 잘 진행될 수 있기를 바란다!! Ringle 역시 교육 현장에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회사이니 만큼, 유저 분들이 위와 같은 역량을 내재화 할 수 있는 교육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겠다고 오늘도 다짐한다 (Ringle 교재는 질문이 참 좋아. Ringle 튜터들은 다들 본인만의 관점을 가지고 이야기 하는데, 그래서 많이 배워 등등)

작가의 이전글 팀과의 생산적 협업을 위해 실천하면 좋을 6가지 팁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